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봇/등록 신청/TedBot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여총편집횟수다른 언어판의 기여통합 계정 목록기록(문서 이동 기록차단 기록권한 기록공통 권한 기록) • 차단플래그 부여

  • 봇의 이름  : TedBot
  • 프로그래밍 언어  :
  • 자동/수동  : 반자동 또는 수동
  • 자세한 기능 설명  : 사용자:TedBot/기술적 설명 참고 (유지보수 틀 날짜 정리, 잘못된 미완성 목록/부분 토막글 틀 사용 정리,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긴 토막글 문서 정리, 생존 인물 분류 및 전거 통제 틀 추가, 생몰년 틀 풀기)
  • 봇 플래그가 있는 다른 언어판의 봇  : 없음
  • 추가 정보 (임의)  : 봇의 정상 동작은 확인했습니다. 이 중 틀 이름과 스타일 정리가 주가 될 것 같으며, 충분히 테스트하였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기여 내역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현재는 봇 권한이 없어 정책에 따라 분당 3차례로 진행하고 있으나(이 부분은 정책을 잘못 이해한 것으로, 1분에 한 차례로 수정하여 봇에 반영), 봇 권한을 획득한 뒤 조금 더 빠른 기여 속도가 필요합니다. --ted (토론) 2015년 10월 26일 (월) 06:42 (KST)[답변]

토론[편집]

한 가지 걱정되는 부분은 다른 언어판에서는 보이지만, 한국어 위키백과에는 펄(Perl)로 등록 신청한 봇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문제가 없기를 바라며, 궁금한 점이 있으면 말씀해 주시면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나중에 승인 범위 확장이 필요하면 추가적으로 승인 절차를 밟도록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ted (토론) 2015년 10월 26일 (월) 06:42 (KST)[답변]

찬성 @Ykhwong: 사용자:TedBot/기술적 설명을 읽고 기여 일부를 확인해 본 결과 문제가 없습니다. 봇 동작에 대한 기술적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인상적입니다. 바로 권한 부여를 해도 별 문제가 없겠습니다.
"마지막 문단에 미완성 목록/부분 토막글 틀이 놓여있는 경우, 일단 치환하지 않음"에 대해 의견이 있습니다. 마지막 문단에 해당 틀이 있고, 그 뒤에 글자([A-Za-zㄱ-ㅎ가-힣]+ 등등)가 나온다면 단락이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렇지 않고 그 뒤에 바로 틀(대체로 둘러보기 틀)이 나오거나, <references/>가 나오거나, 분류가 나온다면 문단이 비어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봇 개선에 도움이 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일단은 의견을 남깁니다. 봇 권한을 부여받으시면 이론상으로는 최대 분당 10~12회 가량 편집을 할 수 있으나 분당 6~8회 편집이 권장됩니다.--콩가루 · 토론 2015년 10월 31일 (토) 20:54 (KST)[답변]
말씀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사항 참고하여 설명을 보강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ted (토론) 2015년 10월 31일 (토) 21:03 (KST)[답변]
정보 wikitech:Help:Tool Labs 위키미디어 재단에서는 원격 서버에서 봇 등을 구동할 수 있는 Tool Labs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혹시 봇을 데스크톱에서 구동하고 계시고 연속적인 작업이 필요하시다면 봇을 Tool Labs에서 구동하시는 것은 어떠신가요?--콩가루 · 토론 2015년 10월 31일 (토) 21:22 (KST)[답변]
의견 감사합니다. 참고로, 제가 신청한 봇의 언어는 펄입니다. 제시해 주신 도움말 설명이 파이썬에 편중되어 있는데, 펄에 대하여 Tool Lab에서 기술된 리소스가 있으신가요? 파이썬 언어도 다룰 수는 있지만 천 줄이 넘어가므로 당장은 재작성 시 들어가는 비용이 많습니다. 고맙습니다. --ted (토론) 2015년 10월 31일 (토) 22:19 (KST)[답변]
Perl에 대한 문서는 제가 아는 것이 없습니다. Pywikibot이 python으로 작성되어 있어서 python을 중심으로 서술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해당 Instance에 Perl은 설치가 되어 있기 때문에 python 명령어를 Perl 명령어로 바꿔서 이해하셔도 무방하실 것 같습니다.--콩가루 · 토론 2015년 10월 31일 (토) 22:28 (KST)[답변]

새로이 제작된 봇이라면 신뢰성의 검증은 결국 실제 가동으로써 할 수밖에 없으며, 이것이 완벽히 확보될 때까지 플래그 부여를 보류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을 것 같습니다. 다만 프로그램이라는 것은 언제 오동작할지 모르니만큼, 혹여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문제의 추가 확산을 방지할 수단은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다른 봇도 마찬가지지만요). 이를테면 봇의 사용자 토론 문서에 새 메시지가 남겨지면 동작을 중지한다거나, 가동 중에는 운영자가 빠른 응대를 할 수 있는 채널(사용자 토론이든 IRC 등이든)을 열어두는 등의 조치가 있을 수 있겠네요. 사용 프로그래밍 언어가 파이썬인지 펄인지는 봇의 신뢰성과 직결되는 문제는 아니며, 단지 파이썬으로 작성된 Pywikibot이 수많은 사용자에 의해 검증되었기에, 그리고 비교적 강력한 기능과 간편한 사용법을 두루 갖추었기에 주류를 차지할 뿐일 것입니다. --IRTC1015 2015년 10월 31일 (토) 23:10 (KST)[답변]

제가 작성한 스크립트 파일을 공개합니다. 사용자:TedBot/wiki.pl 파일을 실행하여 검증해 주시기 바랍니다. 지속적으로 유지 보수 중인 스크립트이므로 내용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유지보수 틀에 날짜 추가하는 일은 끝이 났습니다. (동일 틀이 다중으로 사용된 문서 제외) 특정 연도에 태어난 인물의 경우 '기원전 1'과 'D'를 입력하여 실행하시기 바랍니다. 왜냐하면 기원후 인물은 모두 정리했기 때문입니다. 공식 웹사이트 틀 정리 기능은 현재 쓰이지 않습니다. 이 기능은 검증하지 말아 주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ted (토론) 2015년 11월 1일 (일) 00:39 (KST)[답변]
IRTC1015님의 의견에 따라 사용자토론 변경 시 자동으로 일시 정지하는 기능을 추가했습니다.[1] 테스트해본 결과 정상 동작합니다. 누가 무슨 메시지를 남겼는지까지 표시되게끔 했습니다.[2] 봇 신청 요청을 위해 추가로 요청하실 사항이 있으면 말씀해 주세요. --ted (토론) 2015년 11월 1일 (일) 11:05 (KST)[답변]

검증 시간과 봇 권한을 받는데 시간이 얼마나 오래 걸릴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사용자:TedBot/검증에서 검증 결과를 일부 올려두었으니 참고해 주세요. --ted (토론) 2015년 11월 5일 (목) 12:42 (KST)[답변]

봇 승인의 지연은 봇에 대한 정보가 불충분해서일 수도 있지만, 사무관의 확인 자체가 지연되는 경우에도 발생합니다. 참고 바랍니다. --IRTC1015 2015년 11월 6일 (금) 23:20 (KST)[답변]

기여에 문제가 없기에 권한을 부여하는데에는 찬성합니다. 다만 최근 100개 기여만 봤습니다만, 이와 같은 틀 추가삽입 에러가 보이는데, 이에 대해 인지하고 계시는지나, 봇 권한을 부여받으면 이에 대해서 잘 인지하고 있어야 봅니다. 이러한 내용을 인지하고 있고 매 편집을 감시하는등의 대처할 방안이 있는지 묻고 싶습니다.--분당선M (토론) 2015년 11월 28일 (토) 11:58 (KST)[답변]

언급해 주신 사항은 제가 봇을 중단하고 다른 코드를 삽입하여 테스트한 것입니다. 테스트를 위한 고의적인 사항이고, 제가 그 즉시 되돌리기한 것입니다. 해당 봇이 1분에 한 차례씩 수행되지만, 해당 시점 바로 전에 몇 분 간의 텀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으며 이것이 증거입니다. 또, 사용자:TedBot/검증에서 보시면 diff를 언제나 별도 파일로 생성해 두기 때문에 기여가 있은 뒤에도 빠른 대처가 가능합니다. --ted (토론) 2015년 11월 28일 (토) 12:02 (KST)[답변]
확인해본 결과 1분 간격으로 계속 진행될 때에는 오류가 없음을 확인했습니다.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분당선M (토론) 2015년 11월 28일 (토) 12:15 (KST)[답변]

예Approved 찬성 의견이 여럿 있었고, 해명해 주신 내용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보아 권한을 부여합니다. 봇 권한을 가지고 봇을 작동하는 초기에는 1분에 3~4회 가량의 편집등으로 작동이 잘 되고 있는지 확인하면서 안정화가 되도록 하는 것을 권합니다.--분당선M (토론) 2015년 11월 28일 (토) 12:18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