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사랑방/2006년 6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랑방
사랑방
 2006년 6월 
새로 고침 / 보존 문서

6월의 캠페인

6월의 위키백과 사용자 캠페인은 NPOV 사용자 문서입니다. :$ 개인의 사용자 문서에는 다른 사용자들이 참고로 할 수 있는 정보나 개인적인 작업 내용을 적는 게 원래 목적이었는데, 언제부터인가 다른 사람에 대한 직접/간접적인 공격, 특정 단체나 모임을 적대시하는 등의 내용이 채워지기 시작했습니다. :(

개인적인 편집을 제한하는 것은 아닙니다만, 위키백과는 홈페이지 계정을 제공하는 곳이 아니니만큼 지나치게 개인적이거나 비중립적인 내용은 넣지 않도록 합시다. --Klutzy 2006년 5월 30일 (화) 00:00 (KST)답변

2006년 월드컵 각국 선수/감독 이름 표기

월드컵의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 월드컵 본선 진출 32개국의 감독/선수 이름 읽는 법을 파일(아래아한글 포맷)로 공개했습니다. 이름과 관련된 내용을 만드실때 참고하기 위해 여기 글을 남깁니다. 현재 위키백과에 올라와 있는 이름과 다른 것도 좀 보이는군요. --crypto 2006년 6월 1일 (목) 01:30 (KST)답변

delete 틀

  1. {{delete}}와 {{delete-category}}를 합쳤습니다. 이제 문서 따로 분류 따로 헷갈릴 필요가 없습니다 :P 분류에 delete를 붙이는 경우 자동으로 분류:삭제 신청 분류에 들어갑니다.
  2. {{delete}}를 붙일 때, 되도록이면 기존의 문서를 지우지 말아 주세요. delete 틀이 붙은 이유를 따로 확인해야 해서 처리가 약간 많아집니다. 그리고 틀을 붙인 이유도 되도록이면 적어주시고요. 이렇게만 해도 일처리가 훨씬 쉬워집니다. :)

Klutzy 2006년 6월 2일 (금) 01:19 (KST)답변

저기요, 어려운 위키백과 표 편집 방식을 조금 바꾸면 어떨까요?

저기요, 위킴백과 편집을 조금씩 바꾸면 안되요? 표, 인물 페이지 등을 편집하기 어려워서요.

먼저, 표는 이상한 영어 문장을 넣지 말고 그냥 표 맨 첫 부분은 ({표 시작)으로 하고, 표가 다 끝날 때는 (표 끝})으로 하면 안될까요? 그리고, 인물 페이지 표도 그냥 어렵게 하짐 말고 ({인물 페이지 시작)으로 하고, 끝날 때는 (인물 페이지 끝})으로 하면 안될까요? --2006년 6월 2일 16:05 사용자:이한결

혹시 어떤 특정 문서를 보고 하시는 말씀인가요? 화학 원소들의 경우 그 많은 표들을 다 옮기려면 안그래도 꽤 많은 시간이 소비가 되는데, 한글로 번역까지 하려면 너무 일이 많아질것 같아서 영어로 놔둔걸로 알고 있어요. 표나 틀 편집은 위키백과 활동을 많이 했거나 이런 코드 습득력이 빠른 사람 아니면 힘들긴 합니다. 하지만 당분간은 어쩔 수 없을것 같네요. Yuyudevil 2006년 6월 7일 (수) 09:31 (KST)답변

항목의 정렬에 대하여

많은 항목들이 아직도 정렬이 되어있지 않은 듯 합니다. 많은 위키어님들이 손을 보고 있다고는 하지만, 고쳐지지 않은 항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한국의 역사 드라마와 같은 특별한 경우는 제외하고 일반적인 항목들을 다 찾아서 정렬을 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曹操孟德(寧我不人毋人不我)2006년 6월 3일 (토) 20:02 (KST)답변

대문에서 알고계십니까는 몇주마다 갱신하나요?

알고계십니까가 갱신된지 오래된 것 같아서.. 궁금하네요.. 뉴스는 그래도 자주 바뀌던데...

알고계십니까는 그냥 바꾸고 싶으면 바꾸고 아니면 말고 수준입니다.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건 아니죠. 오래된 내용들이 많기는 한데 전 마땅히 바꿀만한 내용이 생각이 안나네요. :( Klutzy 2006년 6월 6일 (화) 02:37 (KST)답변

대문 투표

대문을 바꾸자는 제안은 토론:대문에서 작년부터 ..나온 이야기인데요, 일단 바꾸고 나중에 또 괜찮은 제안이 나오면 바꾸는 식으로 하려고 합니다. 다음 목록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걸로 한표씩 뽑아주세요. 목록에 빠진 게 있거나 새로 만든 게 있으면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Klutzy 2006년 6월 6일 (화) 07:08 (KST)답변

제 표까지 계산해서 :P 사용자:Only2sea/대문으로 바꾸겠습니다. Klutzy 2006년 6월 9일 (금) 23:12 (KST)답변

투표 기한은 언제까지입니까? 오늘(9일)까지였습니까? - LERK (회화 / 기여) 2006년 6월 9일 (금) 23:46 (KST)답변
기한이 딱히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3일 정도면 적당한 기간이라 생각했고 그렇게 한 것이었습니다. Klutzy 2006년 6월 9일 (금) 23:49 (KST)답변
그렇습니까. 고맙습니다. 1주일 정도 기간이 있었더라면 좋았겠는데요... 이 투표가 있는 걸 오늘이야 알았습니다. :) LERK (회화 / 기여) 2006년 6월 9일 (금) 23:58 (KST)답변
음, 다음부터는 기간을 좀 늘리도록 하겠습니다. 나름대로 오래 기다린 것 같았는데 생각해보니까 3일은 너무 짧았네요 :) Klutzy 2006년 6월 10일 (토) 00:00 (KST)답변
그냥 대문으로 하는 게 낫습니다. 영어로 Main Page나 하는 것을 여기에 넣으면 완성되지 못한 것으로 봅니다. --61.85.59.48 2006년 7월 15일 (토) 17:24 (KST)답변
무슨 말씀이신지? -- 파란로봇군 2006년 7월 15일 (토) 17:27 (KST)답변

함경북도 행정구역 변경에 따른 한문 반영 등

함경북도 새별군 등이 원래 이름으로 환원되었지만 본인이 한자를 몰라 알고 계신분은 반영해 주시길 바랍니다. (?으로 갈음해 두었음), 추가적으로 함경남도 흥남시가 함흥시로 환원되어 관련 자료를 보완해야 하니 반영 바랍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Mailzzang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UN 경제사회이사회의 인권위원회가 인권이사회로 승격됨

관련 뉴스자료는 풍부하므로 작성에는 문제 없음, 다만 쿠바와 같은 국가들이 인권이사회의 국가로 선임됨에 따라 반영여부를 고민해 반영해야 함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Mailzzang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Mailzzang님 글 남긴 후에는 반드시 서명을 남겨주세요. 일일이 역사를 뒤져 누가 썼는지 확인하는 것은 다른 사람들을 배려하는 자세가 아닙니다. 그리고 쿠바가 인권이사회의 국가로 선임되었다면 반영해야 합니다. 고민할 문제가 아닙니다. 사실을 적시하는 것이 백과사전이지, 사실을 다른 기준으로 필터링해서 (이 경우에는 쿠바는 나쁜 공산주의 국가이고, 인권탄압국이라는 것이겠죠? 인권탄압국이라면 그에 대한 증거가 있어야 하겠지만 말입니다) 올리는 것이 백과사전이 할 일이 아닙니다. 쿠바가 인권이사회 국가로 등재되어 있다면, 당연히 사전에도 그렇게 써놔야 합니다. 반영 여부를 고민할 필요가 없는 사안입니다. --WaffenSS 2006년 6월 6일 (화) 18:29 (KST)답변

대전도시철도 1호선 각 역별 자료 정리(미 개통역 제외)

방금 개통된 역에 한해 자료를 정리해 올렸습니다. 현재, 대전도시철도 1호선 틀 부분이 크게 오류가 있으나 고치는 방법을 몰라 보완해 주시길 바라며, 기타 보완사항이 있으면 즉시 보완해 주시길 바랍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Mailzzang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편집하려고 했더니

글을 편집하려고 했더니

미리보기
마지막으로 편집한 후 시간이 너무 많이 지나, 과거의 세션 기록이 사라졌습니다. 다시 시도해 주십시오. 그래도 계속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글을 백업한 후 로그아웃한 다음 다시 로그인 해 보십시오.

이렇게 나오네요. 마지막으로 편집한지 하루도 되지 않았는데, 왜 이러죠? 다시 로그인해도 마찬가지입니다.

-- Chulk90 2006년 6월 7일 (수) 05:21 (KST)답변
혹시 로그인한 상태에서 그 글로 가서 ‘미리보기’를 누르면 어떻게 되나요? --Puzzlet Chung 2006년 6월 7일 (수) 05:26 (KST)답변
'미리보기'를 누르면 저 경고문이 뜨지 않고 정상적으로 나옵니다. 하지만 특정 글에서만 이러는게 아니라 모든 글에서 그럽니다 -- Chulk90 2006년 6월 7일 (수) 05:30 (KST)답변
쿠키가 지워졌을 때, 또는 한 창에서 편집하는 동안 다른 창을 통해 로그아웃했을 때 (또는 반대의 경우)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그런 현상이 세션을 다시 시작한 뒤에도 계속된다면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Puzzlet Chung 2006년 6월 7일 (수) 05:32 (KST)답변
다시 시작했는데도 계속 그럽니다 :'( -- Chulk90 2006년 6월 7일 (수) 05:40 (KST)답변
음 혹시 어떤 브라우져 쓰시는지? 인터넷 익스프로러가 좀 말썽을 부릴때가 있는데, 이 쿠키 삭제/못읽음 현상은 왜 그런지 모르겠네요... (위키백과에서 '로그인' 을 누르려 하면 링크가 화면 왼쪽으로 도망 가버립니다. 파이어폭스에서는 안그러는데도요..) Yuyudevil 2006년 6월 7일 (수) 09:25 (KST)답변
저는 파이어폭스 쓰고 있습니다. 혹시나 해서 익스플로러로 해봤는데도, 똑같은 문제가 발생하네요 :'( -- Chulk90 2006년 6월 7일 (수) 10:23 (KST)답변
저도 저 메시지는 자주 봤습니다만, 무시하고 그냥 저장 버튼 누릅니다. 그렇게 해도 아무 문제 없었습니다. 저 같 경우엔 sessionsaver라는 파이어폭스 확장 기능을 사용하는데, 이 기능은 브라우저 종료 후 다시 실행시키면 탭 별로 마지막 페이지를 그대로 다시 불러옵니다. 그래서 편집 중이라도 그 상태 그대로 불러오는데, 클라이언트 단에서 처리하는 걸로 생각해서 저런 메시지는 전 그냥 무시합니다.--WaffenSS 2006년 6월 7일 (수) 10:35 (KST)답변
음 지금 보기엔 편집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는 것 같습니다. 그냥 쓸까요? -- Chulk90 2006년 6월 7일 (수) 10:46 (KST)답변

특별시, 광역시 소속 구(區)에관해

위키백과토론:위키프로젝트 대한민국의 행정구역에 이동했습니다.--효리♪ (H.L.LEE) 2006년 6월 8일 (목) 08:47 (KST)답변

위키백과 탈퇴하는 방법에 대해서

위키백과를 사용하다가 탈퇴하는 방법을 알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환경설정을 뒤져봤는데 탈퇴항목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자유로이 가입을 할 수 있으나, 자유로이 탈퇴를 할 수 없다는 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탈퇴방법에 대해서 논의 했으면 좋겠습니다. 여우비 2006년 6월 8일 (목) 00:19 (KST)답변

관리자에게 사용자 정보 (아이디와 비밀번호 뿐이지만) 삭제와 사용자 페이지 삭제를 요청하시면 되지 않을까요? --WaffenSS 2006년 6월 8일 (목) 00:59 (KST)답변
미디어위키 소프트웨어에는 계정 삭제 기능이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마도 계정 삭제 기능을 만들면 문서 기록들이 이상해져서..) 제가 현재 가입 되어있는 미국계 사이트들도 (제가 아는바로는) 사용자가 직접 탈퇴할 수 있는 기능 자체가 없고요. 위키백과 활동을 중단하고 싶으시다면 단순히 계정을 쓰지 않으시면 됩니다. --Yuyudevil 2006년 6월 8일 (목) 09:06 (KST)답변

미디어 위키 설치에 대해

지금 제가 제 도메인으로 웹호스팅(서버 호스팅이 아니라)을 사용하는 중인데, 미디어위키 설치에는 별 문제없을까요? 전에 함 시도해봤더니 서버 설정을 셋팅해야 한다는 메시지가 나와서 (제가 손댈 수 없는 영역이더군요) 일단 중지했는데 말입니다. --WaffenSS 2006년 6월 8일 (목) 00:59 (KST)답변

어떤 메시지였나요? 권한 설정 정도는 ftp로 조정할 수 있거든요. Klutzy 2006년 6월 9일 (금) 19:50 (KST)답변
php register_global에 관한 메세지는 무시하셔도 됩니다. 그러나 MySQL 데이터베이스를 설정 할 수 없는 웹호스팅이라면 좀 문제가 있겠네요. http://byus.net 이나 http://mireene.com 에 저렴한 PHP+MySQL 지원 호스팅들이 많이 제공되고 있습니ㅏㄷ. --김용호 (+, ) 2006년 6월 12일 (월) 14:55 (KST)답변

2006년 7월 1일 부터 제주도가 제주특별자치도로 변경됩니다.

제주특별자치도특별법이 7월 1일부터 발효됨에 따라 제주도가 폐지되고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합니다. 이에, 타국가의 예를 보아 "특별자치도" 부분을 추가하고 그 항목에 제주특별자치도를 넣어야 할 것 같습니다. 물론 제주도가 폐지됨에 따라 도 항목의 제주도는 삭제하고 제주도는 존속시켜 제주특별자치도와의 차별성을 구성 역사로서 기록하게 함이 좋다 봅니다. direct-h 2006년 6월 8일 (목) 23:33 (KST)답변

예제 사용자

보통 매뉴얼에 등장하는 "홍길동"과 같은, 위키백과:도움말에 예제로 사용할 만한 사용자 이름을 공모합니다. (아무래도 홍길동은 외국인들은 못알아볼 것 같아서..) 원래 "위키백과" 같이 쓰면 딱 좋은데, 이미 있더군요. -_-; 백과도 있고 말입니다. ... 괜찮은 이름이 생각나면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Klutzy 2006년 6월 9일 (금) 19:50 (KST)답변

키위또는 키딕(위키의 키, 사전에서의 딕)은 어떨까요? 허허, 그리고 위키에 푹 빠진지 얼마 안되었는데 수능 준비령이 내려져서 내년 1월 1일까지 못들어옵니다.(음성적인 통로로 들어올 수도?) ㅠ.ㅠ direct-h 2006년 6월 9일 (금) 23:26 (KST)답변

category - 분류가 오역인가요?

예전부터 나오던 클레임인데, 이를 위해 위키백과 사용자 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현재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서는 "category"라는 단어를 "분류"로 번역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category의 정확한 번역은 아니지만, 한국어로 번역하기에 마땅한 1:1 번역이 없어서 분류로 번역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사용자:아흔 씨가 이것은 잘못된 번역이다는 클레임을 거셔서, 여러분들의 의견을 묻습니다. Category를 "분류"로 번역한 것이 오역이라고 생각하시나요? 현재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뿐만이 아니라 모든 미디어위키 프로그램에 쓰고 있는 단어라서 중요한 문제입니다. 여러분의 의견에 따라 용어를 조정하겠습니다. Klutzy 2006년 6월 10일 (토) 02:44 (KST)답변

유지 : 결국 대문하고 똑같은 문제 아닐까요. 어쨌든 분류분류 같은 경우로 no-smok에서 사용되기 시작했고, 그게 현재까지 적용되어 있는 경우중 하나라고 봅니다. 그냥 정립되어 있는거, 그냥 그대로 씁시다. - Ellif 2006년 6월 10일 (토) 16:15 (KST)답변
유지 : 원래 낱말과는 다른데 매우 적절한 표현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영어 원래 뜻을 집착하는 필요는 없겠죠.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에서 아흔님께서 "분류"라는 낱말을 쓰지 말라고 말씀하신 까닭이 겨우 알게 됐습니다.) - LERK (회화 / 기여) 2006년 6월 10일 (토) 21:03 (KST)답변
유지 : 왜 분류라는 번역이 그렇게 불편한지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오역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를 좀 더 듣고 싶습니다. 분류라는 번역은 아래에도 써 놓았듯이 노스모크의 김창준의 번역입니다. 김창준씨는 전문번역가는 아니지만, 꽤나 신중하게 번역을 하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분류라는 번역이 어디가 특별히 거슬리는지 아흔씨의 의견을 더 듣고 싶습니다. xAOs 2006년 6월 13일 (화) 19:38 (KST) ps: 오랫만에 반갑습니다. // 덧붙여 씁니다. 아흔씨의 뜻은 충분히 알겠지만, 중국어 위키백과에서도 Category를 분류로 번역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매우 잘못된 번역으로 생각되지 않습니다. 그래도 거슬린다면 범주가 아닌 카테고리로 변경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xAOs 2006년 6월 15일 (목) 10:54 (KST)답변
중립 : 범주 또는 부류라는 말이 좋지만, 분류라는 말이 관습적으로 온라인에서 쓰였기 때문에, 저로서는 판단하기 힘드네요. (분류한 것이 범주라고 이해했습니다.) 다른 곳에서는 그냥 외래어로 차용하는 경우도 있군요. (디렉토리, 카테고리 이런식으로) --Seyoung73 2006년 6월 11일 (일) 12:46 (KST)답변
유지 : 위키만이 아니라 오랜동안 쓰여온 단어입니다. 굳이 오역이라고 할 것도 없습니다. --WaffenSS 2006년 6월 12일 (월) 10:08 (KST)답변
유지 : 저는 오히려 분류가 딱 맞는다고 생각합니다만.. -.-;; --Truelight (토론기여) 2006년 6월 13일 (화) 00:22 (KST)답변
의견 : 틀린 것이 있으면 의견 수렴을 통해 바로 잡는 것이 당연하지요. 다만 저는 더 좋은 대안이 떠오르지 않으며, '카테고리'로 쓰는 것보다는 '분류'로 하는 편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활동 경력이 더 오래되었다는 점을 은근히 강조하면서, 다른 사용자를 무시하는 듯한 태도는(제가 잘못 판단했기를 바랍니다) 지양했으면 합니다. 작은 힘들이 모여서 큰 일을 이루어내는 것이고, 지나가던 독자가 잘못된 바깥고리 하나 수정하는 것도 소중한 활동이라고 생각합니다. 내용이 좀 엇나갔군요. :) --정안영민 2006년 6월 13일 (화) 00:56 (KST)답변
오역 : '범주'가 더 적절해 보이는 군요. 아흔님 의견이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 Shotgunlee 2006년 6월 13일 (화) 10:57 (KST)답변
오역 : 저도 별생각 없이 분류라는 말을 사용했는 데요. 곰곰히 생각해 보니 분류와 범주는 개념상,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일단 분류나눈다라는 의미가 강하고 범주묶는다는 의미가 강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동물을 계,문,강,속,종 등등으로 나누는 것을 분류(Classification)라 하고, 전두환 노태우 김대중 노무현을 대통령으로 박찬호 양준혁 이종범을 야구선수로 묶는 것을 범주(Category)라 하는 것 아닐까요? 그러므로 카테고리의 정확한 의미를 살리려면 기존의 분류라는 명칭은 범주로 바꾸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 리듬 2006년 6월 13일 (화) 12:20 (KST)답변
오역 : 범주가 옳다고 생각합니다. 범주보다는 분류가 일상어에서 흔히 쓰이기 때문에 어색할지도 모르지만 차차 익숙해지겠지요. --Kanie 2006년 6월 13일 (화) 14:42 (KST)답변
오역 : 저도 범주가 옳다고 생각합니다. 분류도 괜찮을 거라 생각했는데,위엣분의 설명을 들으니 범주가 더 정확한 표현이네요. --이승에서의추억 2006-06-18T04:09+09:00
유지 : 영어 뜻에 집착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생각합니다. 위키스페이스 명칭은 정확한 번역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고 봅니다. --Yes0song 2006년 6월 22일 (목) 00:35 (KST)답변
의견 : 그냥 카테고리라고 쓰면 안될까요? 요즘 한국의 사이트들을 가보면 카테고리..카테고리 하면서 번역을 안하고 많이 쓰는 것을 보았습니다. -- Allen R Francis 2006년 6월 22일 (목) 00:43 (KST)답변

유지 6표에 오역 4표로 의견이 완전히 통일되지는 않았지만, 현재 기본값인 "Category"->"분류"로 계속 유지하겠습니다. 이것은 위키백과뿐만이 아니라 위키미디어의 모든 프로젝트, 그리고 미디어위키의 기본값에 적용됩니다. --Klutzy 2006년 8월 5일 (토) 07:07 (KST)답변

'카테고리'의 잘못된 번역에 붙이는 글

영어 낱말 'Category'가 누구에 의해 언제 그리고 어떻게 "분류"라는 이름으로 번역되었는지 먼저 간단히 그 역사를 밝힙니다.

  • 사용자:Xaos께서 위키백과의 '선구자'로서 'PHP' 메시지에서 네임스페이스 'category'를 '페이지 항목'이라는 이름으로 번역하였습니다.
  • 사용자:PuzzletChung의 제안 '분류' (2004년 9월 6일 11:13 UTC): 몇 명이 이 제안에 찬성을 하였는지 여기 살펴보시기를.
    • 사용자:Klutzy의 주장: "한국어로 번역하기에 마땅한 1:1 번역이 없어서 분류로 번역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용자의 위키백과 첫 기여: 2005년 7월 11일 (월) 18:53. 어디서 언제 누구에게 이런 말을 들었는지 신기하군요. (Klutzy와 나와의 짧은 의견 교환 여기 참고)
      • 분류라는 번역은 노스모크의 김창준씨의 것입니다. 퍼즐맅정(저와 마찬가지로 노스모크를 통해 위키위키를 접함)님은 노스모크 환경에서 익숙하게 보아왔던 그 단어를 위키백과로 가져온 것입니다. 참고를 위해서 적어 놓습니다. xAOs 2006년 6월 13일 (화) 19:38 (KST)답변
  • 사용자:PuzzletChung에 의해 도움말 카테고리 다시 편집됨 (2005년 11월 15일 화 22:01).그 이유: "지우고 새로 씀" (문서 역사 참고). 관리자의 신분으로서 문서의 내용을 적절한 이유없이 완전히 지우고 다시 쓰는 것, 혹시 '카테고리'라는 뜻을 올바로 설명한 것이 마음에 꺼림직해서인지 의문이 되는군요.
  • 말싸움을 하기 위해서 위의 지난 일을 들추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먼저 양해 구합니다.
  • 붙이는 글
    1.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cateogry'가 '분류'로 잘못 번역된 후, 여기에 적응된 사용자들에게는 이 번역이 편하다는 것 이해합니다.
      그러나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category'를 '분류'라고 계속 쓰는 것을 마치 표준으로 삼아 다른 한국어 위키프로젝트에 강요나 권고를 하지 않기를 부탁드립니다. 한국어 위키백과는 문서 수나 문서의 질, 그리고 참여자의 수에서 아직 '걸음마 단계'에 머물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2.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한국어 국어 국립 연구원 웹사이트를 흔히 판단 기준으로 삼는 것으로 아는 데 거기에 그리고 다른 한국어 사전 및 영어 사전에 '카테고리' 또는 'category'가 어떻게 번역되었는지 살펴보셨으리라 여깁니다.
      다른 위키백과나 웹 사이트를 예로 삼지 않기를 부탁합니다. 그 곳에서 '하늘'을 '땅'이라고 부르면 따라서 그렇게 믿을 생각이십니까?
    3. 외국어의 잘못된 번역이 때와 장소에 따라서는 그대로 별 탈 없이 쓰인다는 것 흔히 볼 수 있는 일입니다. 편하고 어떻게 보면 맞는 것 같이 보이기도 하는 번역을 구태어 잘못되었다는 이유로 곧바로 바꾸기를 바라지 않습니다. 다만 특정 외국어의 번역은 때에 따라서는 이와 같은 골치 아픈 일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시고 투표나 의견 수렴을 거쳐 번역을 획일화 시키는 일이 없기를 부탁드립니다. --아흔(A-heun) 2006년 6월 13일 (화) 00:16 (KST)답변
      • '카테고리'가 가진 뜻을 이미 위의 사용자:리듬께서 그리고 아래의 사용자:Klutzy께서 부분적으로 바르게 설명한 것으로 보입니다. 덧붙일 말은 '카테고리'는 주어진 개념에 따라서 나누어진 '무리' 혹은 '울타리 안'이며, '분류'는 주어진 개념들을 나누는 바로 그 사실을 뜻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때문에 가령 Category:한국 페이지를 열어서 '한국'이라는 개념 밑에 들어가 있는 낱낱의 무리, 곧 문서들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가령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아우르는 한국에 대한 분류"라는 글을 이 페이지에서 읽으면서 이 말이 무엇을 뜻하는지 물론 짐작은 하지만, 실제로 이 말은 뜻이 없는 것이라고 여겨집니다. 다시 말해 "한국에 대한 분류"가 아니라 '한국'이라는 주제를 분류 기준으로 하여 모아 놓은 문서들의 무리 혹은 한자어로 그와 같은 '부류'라는 뜻으로 누구나 풀이할 것입니다. 때문에 "이 분류에 28 개의 하위분류가 있습니다" 또는 "이 분류에 14개의 문서가 있습니다"라는 말 역시 '한국'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혹은 '한국'이라는 주제 밑에 다시 한국과 직접 간접으로 관련된 다른 작고 큰 주제를 바탕으로 나누어서, 즉 분류하여서 문서들을 모아 놓은 무리에 들어 있는 수로 풀이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한국'이라는 개념은 다른 나라들을 밖에 둔 '울타리'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가령 '아시아의 나라'라는 넓은 혹은 높은 '카테고리'를 만들었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한국', '아시아의 나라'는 나누는 사실, 곧 '분류'가 아니라 나누어서 묶은 '무리' 혹은 나누어 세운 '울타리'라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 카테고리가 가진 이와 같은 뜻 때문에 한국에서 'category'를 얼핏 들어 비슷하게 이해되는 '분류'라는 낱말로 번역하지 않고, 번거롭게 '범주'라는 어려운 한자어를 쓰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거듭 말하지만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쓰고 있는 '분류'라는 번역을 고치라고 주장하지 않습니다. 다만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할 뿐이며, 그리고 다른 한국어 위키프로젝트에 이를 강요하지 않기를 부탁드립니다. --아흔(A-heun) 2006년 6월 14일 (수) 01:59 (KST)답변

국어사전에서의 정의

참고로 한컴 국어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군요. 토론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분류(分類) - Classification 범주(範疇) - Category

①종류에 따라서 가름. '나눔'으로 순화.
¶분류 기준/분류 방법/도서 분류/율격에 의한 시의 분류/교통사고의 유형별 분류.

②유개념의 외연에 포함된 종개념을 명확히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



①동일한 성질을 가진 부류나 범위.
¶범주 안에 들다/같은 범주에 속하다/현대 사회에서 관찰할 수 있는 현상들은 대략 몇 가지 범주로 묶어 볼 수 있다.

②사물의 개념을 분류함에 있어서 그 이상 일반화할 수 없는 가장 보편적이고 기본적인 최고의 유개념(類槪念).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여 술어화된 것으로, 분류의 기준과 구체적인 분류 내용은 철학자들마다 다르다. ≒오성 개념.

-- 리듬 2006년 6월 13일 (화) 00:41 (KST)답변

저도 category와 classification의 정의는 예전에 찾아본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능동/수동과 비슷한 의미로 볼 수 있지 않을까요? "xx는 yy 카테고리에 속한다"(xx belongs to yy category)는 의미는 "xx를 yy 범주분류하다"(categorize xx to yy)는 의미가 됩니다. 실제로 category를 능동적 의미로 보는 categorize, categorization를 영어 위키낱말사전에서 찾아보면 "분류"가 나옵니다. (한컴사전에서도 그렇게 나오고요.) 영어 위키백과에서 category 관련 category의 이름도 en:Category:Wikipedia categorization이고요. 이것을 사전식 단순 1:1 번역으로 보는 것은 "e-mail has been sent"를 "이메일을 보냈습니다"가 아니라 "이메일이 보내졌습니다"로 번역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Klutzy 2006년 6월 13일 (화) 18:26 (KST)답변
아흔님의 말씀은 잘 알겠습니다... 몰랐었는데 생각해보니 그렇네요. 분류는 나눈다는 동사적인 뜻이군요. 그런데 사실상 지금의 한국어에서는 "분류"라는 말에 이미 "어떠한 기준에 의해 나눈(분류한) 범주"라는 의미가 있다고 하면 너무 성급한 결론인가요? 범주를 쓰면 안된다는 것은 물론 아닙니다. 다만 분류라는 말이 "틀렸다"고 할 수 없지 않나 하는 것입니다. --Truelight (토론기여) 2006년 6월 14일 (수) 02:28 (KST)답변


국립국어원에서 발간한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예문도 포함되어 있군요.

분류(分類) - Classification 범주(範疇) - Category

분류03 (分類) [불-]
「명」「1」종류에 따라서 가름. '나눔'으로 순화. ¶분류 기준/분류 방법/도서 분류/율격에 의한 시의 분류/교통사고의 유형별 분류.§ 「2」『논』유개념의 외연에 포함된 종개념을 명확히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
「참」 구분06.

분류-되다
[불-되-/불-뒈-]「동」【…으로】 =>분류03〔1〕. ¶위험 지역으로 분류되다/일반 의약품으로 분류되다/코끼리는 멸종 위험이 가장 높은 동물로 분류된다./회화는 소재에 따라 정물화, 인물화, 풍경화로 분류될 수 있다./근년 들어 우리는 우리 자신조차 다 기억할 수 없는 여러 종류의 집단 또는 계층으로 분류되었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

분류-하다02
[불---]「동」【…을 …으로】 =>분류03〔1〕. ¶자료를 세 종류로 분류하다/영화를 청소년용과 성인용으로 분류하다/식물을 형태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하다/우편물을 지역별로 분류하다/어머니는 냉기가 도는 마루방에서 누더기를 산더미처럼 쌓아 놓고 분류하고 있었다.≪박완서, 오만과 몽상≫/그 당시 규는 일본 교사를 두 갈래로 분류하고 있었다.≪이병주, 지리산≫ §

범주05 (範疇) [범ː-]
「명」 「1」동일한 성질을 가진 부류나 범위. ¶범주 안에 들다/같은 범주에 속하다/현대 사회에서 관찰할 수 있는 현상들은 대략 몇 가지 범주로 묶어 볼 수 있다.§ 「2」『철』사물의 개념을 분류함에 있어서 그 이상 일반화할 수 없는 가장 보편적이고 기본적인 최고의 유개념(類槪念).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여 술어화된 것으로, 분류의 기준과 구체적인 분류 내용은 철학자들마다 다르다. ≒오성 개념.


제 짧은 생각으로는 분류를 나눔으로 순화했다고 하므로 만약에 카테고리를 모두 나눔으로 한다면 어색할 것 같습니다. --Seyoung73 2006년 6월 14일 (수) 04:53 (KST)답변

문화어 표기에 대해서

위키백과 문서들을 보면 표제어 뒤에 문화어표기가 달린 것을 봅니다. 그런데 위키백과의 정책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제 생각에는 여러가지 언어표기법을 다는것은 그 표제어와 관련이 있을 때만 달아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윌리엄 토머스 코즈그레이브와 같이 말입니다. 그는 아일랜드인이기 때문에 영어,아일랜드어 표기를 넣는것입니다. 만약에 표제어와 관련이 없는 언어들의 표기를 넣는다 하면 언어가 몇개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수백가지?의 언어를 다 하나하나표기해야되지 않을까요? 따라서 저는 표제어와 관련 없는 문화어표기는 제거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Allen R Francis 2006년 6월 10일 (토) 23:52 (KST)답변

잉글랜드 영어랑 아메리카합중국 영어도 발음하는 것이 다르듯이 따로 입력해야 하지 않을까요? 잉글랜드에서는 전자계산기를 컴퓨터라고 발음하지만, 아메리카합중국에서는 컴퓨러라고 대답하지 않습니까? 삼국사기에 의하면 중국의 역사가 사마천도 흉노의 왕을 카한으로 적었고, 신라의 김부식도 눌지왕을 표기할 때 매금, 이사금으로 표기하였습니다. 문화어 표기에 대해서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Korealife 2006년 6월 11일 (일) 10:46 (KST)답변
England의 '전자계산기' = Computer로 표기합니다. USA의 '전자계산기' = Computer로 표기합니다. 둘 다 똑같은데 왜 따로 입력합니까? -- Allen R Francis 2006년 6월 11일 (일) 10:56 (KST)답변
문화어는 표준어와 마찬가지로 한국어의 한 표기법입니다. 위키백과에서는 이 두가지 모두를 한국어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두 가지를 모두 표기해주고 있습니다. 물론 다른 언어들은 관련이 없다면 표기하지 않는 것이 좋고요. 프랑스인인데 아무 이유 없이 러시아어 표기가 달려있다든지.. 하면 그런건 그냥 제거하면 됩니다. Klutzy 2006년 6월 11일 (일) 12:54 (KST)답변

문화어는 한국어/조선어에 대한 또 하나의 표준입니다. color/colour의 예처럼 두 표기를 함께 해 줘야죠. -- ChongDae 2006년 6월 12일 (월) 19:42 (KST)답변

문화어는 북한에서 쓰는 말이고 한국어는 남한에서 쓰는 말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아니었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 -- Allen R Francis 2006년 6월 13일 (화) 01:35 (KST)답변

"한국어"는 대한민국의 한국어와 북한의 한국어를 뜻하는 대한민국측의 낱말이고, "조선어"는 대한민국의 한국어와 북한의 한국어를 뜻하는 북한측의 낱말입니다. 그러니까 표준어문화어도 "한국어"라고 나타낼 수가 있습니다. 혼란이 일어나지 않기 위해서 말씀드렸습니다. LERK (회화 / 기여) 2006년 6월 13일 (화) 11:37 (KST)답변

IP사용자 글 쓰기 문제

아무리 한국어 위키에 사람이 없다고 해도 IP로만 글쓰기를 계속 허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어제도 제 사용자 페이지에 웬 IP가 들어와 훼손해놨더군요(어제 개인 홈페이지 단장하느라 위키에 통 접속안했다가 지금 봤습니다). 계속 IP사용자들이 1차적으로 물의를 일으키고 있는데, 이제 IP사용자들의 글쓰기 차단을 진지하게 고려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WaffenSS 2006년 6월 12일 (월) 10:06 (KST)답변

저도 그 문제에 공감합니다. --Seyoung73 2006년 6월 14일 (수) 04:28 (KST)답변

함부로 편집을 제한하는 것은 위키백과의 정신(?)에 어긋난다고 생각하지만, 장난에 일일이 대응하기도 힘들긴 하죠. 복구는 일반사용자도 가능하지만 삭제는 관리자만이 가능한 만큼 영어위키백과 처럼 IP사용자는 새글쓰기를 금지하는 건 어떨지요. --Truelight (토론기여) 2006년 6월 15일 (목) 02:37 (KST)답변

자유를 위해서 계속 허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충돌이 있겠지만, 그걸 해결해 나갈 장치들(토론공간)이 충분히 있습니다. 그리고 충돌을 토론으로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서만 위키백과사전과 그 공동체가 진화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생각없는 장난질은 간단히 되돌릴 수 있고요. xAOs 2006년 6월 15일 (목) 10:57 (KST)답변

영문 위키백과는 수백 명의 관리자가 있고, 반달리즘에 대항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봇도 있는 상황에서도 어쩔 수 없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정책을 바꾼 것입니다. 우리 상황에서는 아직 이른 것 같습니다. --Puzzlet Chung 2006년 6월 15일 (목) 12:17 (KST)답변

차단의 필요는 없지만, 관리자 선거에서 투표할 수 없거나,삭제의뢰에서 찬반표명(의뢰제출시점을 기준으로 함.의뢰제출 후에 계정을 작성하고 찬반표명을 하는 부정에 가까운 투표가 2건 발견됨.) 할 수 없다 등의 규제는 필요.--효리♪ (H.L.LEE) 2006년 6월 23일 (금) 11:13 (KST)답변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의 현실로서는 IP 사용자의 참여마저도 절실한 시점입니다. 아직 참여가 (상대적으로) 저조한 한국어 위키백과를 발전시키려면 좀 더 열려있어야 하고 접근하기 쉬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IP 사용자를 차단해서는 안됩니다. IP 사용자에 의한 문제는 문서 잠금, 대상 IP 차단 등의 기능을 써서 대응해야 할 거 같습니다. --Johyeongryeol 2006년 7월 1일 (토) 05:18 (KST)답변

새문서 보기

관리자님. 최근 바뀜 상단에 있던 새문서 보기 메뉴가 언제부터인지 사라졌더군요. 이유가 뭔가요? 새문서 보기가 없으니 조금 답답합니다. -- 리듬 2006년 6월 12일 (월) 18:33 (KST)답변

지난번에 최근 바뀜을 처음부터 다시 만들면서 빠졌네요. 일단 추가했습니다. 참고로 지난번에 {{Recentchanges}}으로 실제 내용을 빼 놓아서, 누구나 직접 조정할 수 있게 했습니다. Klutzy 2006년 6월 12일 (월) 18:52 (KST)답변
고맙습니다. -- 리듬 2006년 6월 12일 (월) 19:00 (KST)답변

Template:CURRENTTIME의 사용에 관한 질문

이 시계는 영국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시계같네요. 시차가 -9시간 나는 걸 보면. 한국표준시간(KST)이 아니라서 오늘의 역사가 9시간씩 늦게 바뀌는 것 같습니다만... 한국 시간을 나오게 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 이 의견을 2006년 6월 14일 (수) 06:43에 작성한 사용자는 Seyoung73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LocalSettings.php 에 m:Help:Timezone 를 적용 하면 됩니다. --김용호 (+, ) 2006년 6월 15일 (목) 13:02 (KST)답변

위키백과의 활성화에 대해서...

한가지 제안하고 싶습니다. 아직도 위키백과에 대해서 모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외부 사이트에 위키백과를 은근히 홍보하는 글을 많이 남기면 그만큼 많이들 관심을 가지게 될 거 같네요. 그래서 저는 네이버 "지식인"에 답변을 달 때, 위키백과에서 가져온 글이라든지 아니면, 위키백과 해당 항목을 링크 시키는 방법을 써 보고 있습니다. 다른 분들의 좋은 제안 기다립니다.Nichetas 2006년 6월 16일 (금) 16:01 (KST)답변

출처로서 표시하는 것은 자유입니다만, 홍보는 불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E.C.L. 2006년 6월 17일 (토) 20:05 (KST)답변
홍보를 위해서라는 의도는 좋지만, 네이버 지식iN에 위키백과의 글을 퍼가면 그 글의 저작권/라이선스는 NHN 주식회사에 귀속되어 더이상 GFDL을 적용받을 수 없기 때문에 GFDL 라이선스에 위배됩니다. --Puzzlet Chung 2006년 6월 17일 (토) 21:14 (KST)답변
NHN 약관입니다. NHN 주식회사에 귀속되는 건 아닌 것 같은데요. --Seyoung73 2006년 6월 18일 (일) 11:14 (KST)답변
복사해 놓으신 부분 약관 삭제했습니다. 약관도 저작권이 있으므로 마음대로 복사하셔서는 안됩니다.
Naver이용약관 (Seyoung73님께서 복사하신 부분은 제 14조 부분이였습니다.)
그리고 제 14조는 글쓴이에게 저작권이 귀속되는 경우입니다. 국내에는 GFDL개념을 사용하는 곳이 드물기 때문에 아예 관련 조항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E.C.L. 2006년 6월 19일 (월) 02:00 (KST)답변
약관의 저작권을 생각하지 못한 점 사과드립니다.--Seyoung73 2006년 6월 19일 (월) 02:31 (KST)답변
아, 저작권이 아니라 라이선스가 문제가 되겠네요. GFDL로 배포되는 위키백과 문서를 토대로 만든 2차 저작물이 GFDL 라이선스를 똑같이 적용받지 못하기 때문에 라이선스 위반이 됩니다. --Puzzlet Chung 2006년 6월 19일 (월) 03:00 (KST)답변

사랑방이 이상합니다.

제목이 '미리보기'인 글의 '수정'을 누르면 빈 페이지가 뜹니다. 그 다음글의 '수정'을 누르면 '미리보기'의 '수정' 페이지가 뜹니다. 그 다음글의 '수정'을 누르면 윗 글의 '수정 페이지가 뜹니다. 이런 식으로 한글씩 밀립니다. 저만 이런건가요? --E.C.L. 2006년 6월 17일 (토) 20:03 (KST)답변

한번 글을 쓰고 나니 정상으로 돌아왔습니다 :) --E.C.L. 2006년 6월 17일 (토) 20:03 (KST)답변
미디어위키 버그입니다. == 제목 ==과 <h2>제목</h2>를 같이 쓰고서 이걸 다른 데서 include하면 프로그램이 꼬여 버려서.. 정확히 말하기가 힘든데 :$ 여튼 h2를 어떻게든 처리해야겠네요. Klutzy 2006년 6월 17일 (토) 20:06 (KST)답변

몇 가지 수정 요청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보면, 아래와 같은 문장이 나옵니다.

위키 검색 기능에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잠시 후에 다시 시도해 주세요. 또는 외부 검색 엔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키 검색 기능에 문제가 있어서 이런 문장이 표시되면 모를까, 문제없음에도 불구하고 '위키 검색 기능에 문제가 발생했습니다'라는 문장이 표시되니 간혹 혼란스러울 때도 있습니다. 더구나 '처음 찾아오신 분'의 입장에서는 얼마나 혼란스럽겠습니까. 그래서, 저는 아래와 같은 '가벼운' 문장으로 바꾸어주셨음 합니다.

찾은 결과가 불만족스러우시면 아래의 검색 엔진으로 찾아보세요.

마지막으로 한 개 더, '바로가기'가 아니라 '바로 가기'가 맞지 않나요?

ps. There is no page titled "xxxx". You can create this page. 라는 영어 문장은 왜 표시되는지 궁금합니다. ^^; -- 파란로봇군 2006년 6월 19일 (월) 16:17 (KST)답변

검색 기능은 요즘 말썽입니다. 아마 결과가 한개도 안나오는 경우도 있을걸요? 저 메시지가 나왔으면서 검색이 검색대로 또 잘 되었다면 그건 그것대로 희귀현상(?)입니다.
'바로가기'는 원래 '가기'로 되어 있었는데 며칠 전에 잠깐 바꿔보았습니다. 일단 '바로 가기'로 해 볼게요. 다른 분들도 시스템 메시지에 대한 의견이 있으면 말씀해주세요. 예를 들면 저기 왼쪽 메뉴에 있는 navigation이라든지. --; Klutzy 2006년 6월 19일 (월) 16:25 (KST)답변

저작권 표시 문제

며칠 뜸했는데, 실은 제 개인 홈페이지를 블로그로 개편하면서 데이터 이전 작업 좀했습니다. 그런데 한가지 궁금한게, 제가 이곳에 올렸던 번역글, 예전 홈페이지에 있던 글을 다시 사전 스타일로 다듬어서 올린 것들, 그냥 쓴 것 등등 글들을 제 홈페이지에도 똑같이 올려놓고 있습니다. 네, 당연히 밑에다가는 위키백과의 해당 문서로 링크 걸어놓고 있지요. (뉴욕 징병거부 폭동 같은 경우입니다. 이것 말고도 많습니다). 그러면서 GFDL 표시를 달아야 하는데, 깜박했습니다. 사이트 전체의 글을 GFDL로 할 생각은 없고, 위키에 등록했던 글들은 모두 저걸 적용해야 하는데, 딸랑 제일 밑이나 위에 그냥 "이 문서는 GFDL에 따릅니다" 라고 한 문장만 써놓기만 하면 될까요? 아니면 그때 그때 GFDL 배너 같은 걸(배너가 있나요) 달아야 할까요? --WaffenSS 2006년 6월 19일 (월) 17:23 (KST)답변

저작권이 WaffenSS 님에게만 있는 글이라면 위키백과에는 GFDL로 올리고, WaffenSS님의 blog에는 또다른 라이센스로 올리는 것도 가능합니다. 라이센스를 어떻게 할 것인지는 전적으로 저작권자 마음이거든요. 다만, 위키백과에서 다른 사람이 수정한 내용을 다시 WaffenSS 님의 홈페이지로 반영하는 것은 GFDL 위반입니다. (오타 수정 같은 정도라면 관계없겠지만요..) 물론 이건 엄밀하게 할 때의 이야기고요. -- ChongDae 2006년 6월 20일 (화) 17:33 (KST)답변

일본어족? 좀 설명 부탁드립니다.

예전에는 한국어와 일본어는 알타이어족에 속한다는게 정설처럼 받아들어졌고, 지금도 현재 국사 교과서에 한국어는 알타이어족에 포함된다고 기술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좀 비약이 있는 내용일지 모르겠으나, 위키피디아에서는 한국어는 단순히 논란 있는 언어로만 기술한 반면에 일본어는 꽤 자세하게 일본어족이라고 거의 정의 내리는 듯 합니다. 이것이 신빙성 있는 건지 좀 설명 부탁드립니다. -- 이 의견을 2006년 6월 19일 (월) 23:59에 작성한 사용자는 Miracleezz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일본어와 오키나와어 등을 묶어서 일본어족으로 분류하는거죠. 한국어도 제주말을 사투리로 보지 않고 별도의 언어로 본다면 한국어와 제주어(?)가 한국어족을 이루는 셈이 되죠. 별개의 언어냐, 아니면 사투리냐는 기준도 애매하기는 매한가지입니다. -- ChongDae 2006년 6월 20일 (화) 17:36 (KST)답변
일단 대륙한어-반도한어(한국어)-열도한어(일본어*오키나와어 등)이라는 언어비교학적 연구(아시는 분은 아실겁니다)에 의해 5000여개정도의 단어가 일치하는 걸 확인했으니까, 그 부분을 실어줄 필요도 있습니다. 전적으로 일본어족이라고 하는건 조금 문제가 있지 않을까요.- Ellif 2006년 6월 22일 (목) 12:47 (KST)답변

버젼

문서의 역사에서 변경된 부분을 비교하다보면 '버전'을 '버젼'이라 오기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꼭 1:1 대응되는 단어는 아니겠습니다만, 아예 이 기회에 해당 부분을 '판'이나 '문서'로 바꾸는 것은 어떨까요? --정안영민 2006년 6월 20일 (화) 12:32 (KST)답변

영어 단어의 version과 revision에 대응되는 단어인데, '문서'는 page→문서 번역과 겹쳐서 좀 곤란하고.. '판'/'버전' 중 어떤 것을 쓰는 게 좋을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실제로 두 용어가 혼란스럽게 사용되어서 위키백과 바이링궐 효과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_- 이왕 이야기가 나온 김에 의견을 받습니다. 판/버전 중 어떤 게 더 나을까요? 다음은 사용 예입니다.
  • 특정판 삭제 / 특정 버전 삭제
  • 이전판으로 되돌렸습니다. / 이전 버전으로 되돌렸습니다.
  • 현재판 / 현재 버전
  • 선택한 판들을 비교 / 선택한 버전들을 비교
의견이 하나로 정해지면 깔끔하게 통일하겠습니다. -.- Klutzy 2006년 6월 21일 (수) 14:17 (KST)답변
왼쪽의 용어가 타당합니다.--효리♪ (H.L.LEE) 2006년 6월 21일 (수) 14:23 (KST)답변
왜요? Klutzy 2006년 6월 21일 (수) 14:24 (KST)답변
'판'을 쓰려면 전체 문장(혹은 단어)를 수정해야 자연스러울 듯 싶습니다. --E.C.L. 2006년 6월 22일 (목) 00:23 (KST)답변
둘 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면, 저는 '판'이 좋습니다. --정안영민 2006년 6월 27일 (화) 23:38 (KST)답변

{{Wikisource}}

위키자료집과 연결하는 템플릿을 새로 만들었는데,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해주셨으면 합니다. (__) -- 파란로봇군 2006년 6월 20일 (화) 16:58 (KST)답변

템플릿에 인터위키나 분류를 넣을 때는 onlyinclude 등으로 처리해줘야 하는데 빼먹으셨네요. 그리고 {{위키자료집}} 템플릿이 이미 있습니다. 일단 redirect처리해 놨습니다. -- ChongDae 2006년 6월 20일 (화) 18:17 (KST)답변

{{미래소프트웨어}}

영문 위키백과의 그 템플릿을 가져 왔습니다. 앞으로 나올 소프트웨어 등에 대해서 설명할 때 유용할 것 같습니다. 넣는 방법은 {{미래소프트웨어}}로 하시면 됩니다. 테스트 부탁합니다. -- Peremen 2006년 6월 20일 (화) 17:09 (KST) Peremen님 서명 대신 달아드렸습니다. -- 파란로봇군 2006년 6월 20일 (화) 17:12 (KST)답변

이름이 이상합니다. "출시예정 소프트 웨어"로 바꾸면 안되겠습니까?--성혀니 2006년 7월 13일 (목) 14:12 (KST)답변

IRC밴

제 아이피가 #wikipedia에 불량이용자로 등록이 되어있는것을 지금 확인 하였습니다.

특별히 밴할 사유가 있으시면 설명해 주시고 그렇지 않다면 풀어주시기 바랍니다. 가포임상옥 2006년 6월 22일 (목) 18:41 (KST)답변

혹시 ZeroIRC 쓰시나요? 위키백과에 볼일 없는 사람들이 채널에 들어와서 쓸데없는 말을 늘어놓고 가는 일이 많이 있었는데, 대부분 ZeroIRC를 쓰고 저희 가운데에는 ZeroIRC를 쓰는 사람이 없어서 한때 밴을 걸어놓았었습니다. 지금 풀었습니다. --Puzzlet Chung 2006년 6월 22일 (목) 18:53 (KST)답변
감사합니다 :D --가포임상옥 2006년 6월 22일 (목) 19:01 (KST)답변
저도 불량이용자로 등록되어 있던데요... ZeroIRC사용하고 있습니다.새벽에 잠깐 들어왔는데.. 제가 무례하게 떠든 것 같네요. 죄송합니다. 다음부터 조심할테니 풀어주시면 안 될까요? --Seyoung73 2006년 6월 23일 (금) 10:46 (KST)답변

사용자 모임 개편

위키백과:사용자 모임을 개편하기 위한 의견을 받습니다. 기본적인 모양은 다른 언어와 비슷하게 2단 구성으로 나누고 각 부분을 종류에 맞게 나누려고 합니다. 예를 들면 대화방 부분에는 사랑방, 삭제 토론, 관리자 요청, 번역 요청 등이 들어가겠죠. 그런데 막상 일을 시작하려고 보니 채울 내용이 그다지 많지 않다는 문제점이 나타났습니다. 다른 언어에서는 뭘로 공간을 채웠나 보니까 대충 다음과 같은 것들이네요.

  • 임의 목록 - 봇을 이용해서 각 문서를 임의로 10개정도 뽑아 놓습니다. 임의 토막글 목록, 임의 POV 목록 등등..
  • 위키백과 관련 뉴스
  • 도움말
  • 자주 쓰는 특수 문서
  • 오늘의 팁

다른 것들은 쉬운 편이고, 임의 목록은 봇 계정을 하나 만들어 가끔 돌려주면 되니까 괜찮은데 "뉴스"와 "팁"이 문제입니다. 뉴스는 말 그대로 위키백과와 관련된 뉴스를 올리는 장소이고 (예를 들면 최근 삭제된 그림의 복구가 가능해졌다는 소식이라든지, 위키백과 사용자가 4800명을 돌파했다든지) 팁은 문서 편집에 유용하게 쓸 수 있는 토막 지식을 올리는 곳입니다. gallery 기능 소개나 주시문서 기능 소개가 이에 해당되겠지요. 이러한 부분들은 사용자 모임 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단 이 정도로 만들어볼까 생각중이고.. 다른 좋은 아이디어가 있으신 분은 아래에 적어주세요. :) --Klutzy 2006년 6월 25일 () 00:11 (KST)

인용/출처 템플릿

위와 같이 인용/출처 표기하는 템플릿이 있습니까? 찾아봐도 없는 것 같은데, 만들기 전에 혹시나해서 질문 드립니다. -- 최담담 2006년 6월 25일 (일) 13:09 (KST)답변

없습니다. 인용 템플릿은 {{Fact}} 삭제한 거랑.. 지난번에 {{출처 필요}} 만든 게 전부입니다. Klutzy 2006년 6월 25일 (일) 19:45 (KST)답변
제가 한 번 만들었던 거 같기도 한데, 지워졌나 모르겠네요. -- 멀뚱이 (토론) 2006년 8월 1일 (화) 15:21 (KST)답변

네임스페이스 번역

미디어위키 국제화 프로젝트에서 알려드립니다 :P 네임스페이스 번역이 일부만 되어 있고 일부는 안되어 있는데, 위키백과:네임스페이스에서 볼 수 있듯이 현재 Media, MediaWiki, MediaWiki_talk, Template, Template_talk가 번역되지 않았습니다. 이 중에서 MediaWiki는 굳이 바꿀 이유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두었고, Media를 "미디어", MediaWiki_talk를 "MediaWiki토론", Template를 "틀", Template_talk를 "틀토론"으로 번역하려고 합니다. 물론 기존의 네임스페이스가 갑자기 깨져서 사용 불능 상태가 되지는 않습니다. :-) 아직도 "Category"가 잘 작동되는 게 그 증거(?)입니다. 반대가 없다면 바꾸려고 하는데,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Klutzy 2006년 6월 25일 (일) 20:02 (KST)답변

그런 번역이 좋겠다고 봅니다. 이 결과를 공용의 한국어 시스템 메시지에도 반영시키려 합니다. - LERK (회화 / 기여) 2006년 6월 26일 (월) 23:16 (KST)답변
‘토론’ 앞을 띄어 쓰는 게 어떨까요? --Puzzlet Chung 2006년 6월 26일 (월) 23:39 (KST)답변

'MediaWiki 토론', '틀 토론', 띄어 쓰는 게 좋겠군요. 그리고, MediaWiki:Nstab-image이는데, '파일'을 '자료(資料)'로 고쳐놓는게 어떨까요? - LERK (회화 / 기여) 2006년 6월 27일 (화) 00:00 (KST)답변

{{프로그램 정보}}

프로그램 정보 템플릿에 미리보기 릴리즈를 추가했습니다. 미리보기 릴리즈가 있는 소프트웨어에 사용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peremen 2006년 6월 25일 (일) 20:50 (KST)답변

질문: 이 정보가 없으면 미리보기 릴리즈 전체를 숨기는 방법은 없을까요?

위키백과:특수 함수를 참조하세요. 꽤나 괴상한 문법입니다 :P --Klutzy 2006년 6월 25일 (일) 23:38 (KST)답변

구약성서 항목들 관련 도움 요청

구약성서 템플릿(Template:구약성서 / 구약성서) 작업하면서 보니, 항목들 대부분이 누군가 이름만 있는 페이지들을 양산해놓고 말았더군요. 언젠가는 채울만한 문서들이라 삭제해버리기는 그렇고 해서, 자, 신의 의지를 널리 전하기 위해 노력할 우리 형제, 자매를 모집합니다(이쯤에서 무신론자인 저는 빠집니다:p). 아무나 머리글 정도라도 번역해서(혹은 직접) 내용을 채워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최담담 2006년 6월 26일 (월) 22:30 (KST)답변

제가 미력하나마 시간이 되는대로 해보도록 하겟습니다. 다른 분들도 지원해주세요! 교회도 잘 안가는 제가 이런걸 다 합니다... 하나님께 칭찬받을까요? :D -- 가포임상옥 2006년 6월 27일 (화) 18:37 (KST)답변
기준이 정해지지도 않았는데 마구 가톨릭으로 밀어버리시는 이유가 뭡니까? 개신교 병기하겠습니다. - Ellif 2006년 6월 30일 (금) 21:00 (KST)답변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기독교에서 어떤 원칙을 세우고 작업하는 게 어떨까요? -- ChongDae 2006년 7월 11일 (화) 11:30 (KST)답변

조선의 왕

조선의 왕은 어진이 남아 있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고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각 국왕 우측 상단에 '[[그림:|150px]]'라고 되어 있는 곳은, 상상도를 그리면 모를까(현 만원짜리 지폐처럼), 장래에도 채워지지 않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따라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전부 삭제할 것을 건의합니다. --정안영민 2006년 6월 27일 (화) 23:37 (KST)답변

어차피 전부 표로 되어 있는 거라서 언젠가는 틀로 전부 통일해야 하겠네요. 시간 나면(-_-) 봇으로 일괄 변환하겠습니다. Klutzy 2006년 6월 28일 (수) 17:08 (KST)답변

저작권위반의 심의 없는 삭제는 문제가 있다.

저작권위반의 기사를 심의없이 삭제하는 것은 문제이다는 지적이 ja:Wikipedia:井戸端#著作権侵害は何故緊急案件ではないのか에서 있고 삭제토론에서 심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적어도 5일정도)

이유는
  • 외부사이트가 위키백과에서 퍼온 것인 가능성이 있다.
  • 저작권자에서 지적이 있을 때 확인하는 필요가 있다.
  • 정말로 저작권침해인지 확인하는 필요가 있다.

--효리♪ (H.L.LEE) 2006년 6월 28일 (수) 09:47 (KST)답변

매번 삭제하기 전에 저작권 침해인지 직접 확인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작권 위반|퍼온 주소}}와 같이 해당 주소를 써 달라고 하는 것이고요. (그런 거 안써놓으면 검색엔진 들어가서 일일히 문단마다 문장 한두개씩 전부 찾아봐야 합니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이라는 데에서 위키백과 문서를 퍼갔을 리는 없겠죠? 그런 게 아니라 개인사이트에서 발견되는 경우에는 일단 삭제하고 글쓴사람에게 확인을 합니다. (혹은 확인을 먼저 하고 삭제하던지요.) 지금의 시스템도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Klutzy 2006년 6월 28일 (수) 17:12 (KST)답변
현재로서는 Klutzy님의 의견에 찬성합니다. --정안영민 2006년 6월 29일 (목) 21:09 (KST)답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옛날버전은 저작권 없어졌답니다. 1919년판이었나요? 정확히 년도는 모르겠는데, 여하튼...저작권 없는 버전이 있답니다. 현재판이 그 옛판 문구 그대로 쓰고 있다면, 역시 저작권 없는 내용이죠. 복사 및 번역사용이 자유롭답니다. -- 멀뚱이 (토론) 2006년 8월 1일 (화) 15:19 (KST)답변

7월 1일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른 문서작성 시작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이 3일 남은 가운데 오늘부터 제주특별자치도에 대한 자료를 업로드 할 예정입니다. 이에, 관련 자료를 지우지 마시길 정중히 부탁합니다. direct-h 2006년 6월 28일 (수) 21:46 (KST)답변

제주도에서 이동에서 대처해야 합니다. --효리♪ (H.L.LEE) 2006년 6월 29일 (목) 13:51 (KST)답변

Template -> 틀

es:Plantilla:Taxobox와 같이, Template에 해당하는 말을 각자의 언어로 바꿀 수 있는 것으로 압니다. 우리도 Template:생물 분류 대신 틀:생물 분류와 같이 바꾸어 주는 것이 어떨까요? 더 늦기 전에 해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정안영민 2006년 6월 29일 (목) 21:08 (KST)답변

이미 생각은 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의견 수렴 과정만이 남아있죠 :P 위키백과뿐만 아니라 미디어위키 전체에 적용시키려고 합니다. #네임스페이스 번역에서 틀토론/틀 토론과 같은 띄어쓰기 의견도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 --Klutzy 2006년 6월 29일 (목) 21:40 (KST)답변
아, 네임스페이스 번역이라는게 그런 거였군요. 이제 제대로 봤습니다. :) --정안영민 2006년 6월 30일 (금) 00:43 (KST)답변

키릴 문자 사용에 대해

69.174.252.80 사용자의 요구로 АК-47, АК-74가 키릴 문자로 바뀌어 졌습니다. 이와 관련된 정책이 있습니까? 제 생각으로는 대부분 한국어 사용자의 경우 키릴 문자 입력이 어렵기 때문에, 제목은 로마자로 하고 본문에 키릴 문자 설명을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여집니다. -- Shotgunlee 2006년 6월 30일 (금) 09:11 (KST)답변

-- 리다이렉션 페이지를 만드는 것이 어떨까요? 저 같은 경우는 키릴 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지만 대부분 사용자는 그렇지 못하죠. --peremen 2006년 6월 30일 (금) 13:03 (KST)답변
키릴 문자로 된 리다이렉션 페이지를 만들자는 이야기 이신가요? (본문 제목은 AK-47이고, АК-47는 AK-47으로 리다이렉트) 그렇다면 찬성입니다. -- Shotgunlee 2006년 6월 30일 (금) 13:24 (KST)답변
AK-47(로마자)이라고 입력할 때 그것이 АК-74(키릴 문자)로 넘어가기만 한다면 어느 쪽으로 하더라도 사용자가 불편한 점은 없지 않을까요? --Puzzlet Chung 2006년 7월 1일 (토) 01:52 (KST)답변
위키백과 안에서 크게 불편한 점은 없을지라도, 외부 검색 엔진의 경우 키릴 문자 때문에 제대로 검색이 안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국어 사용자가 키릴 문자 АК-74로 검색할 가능성은 상당히 희박합니다. AK-47, AK-74의 경우 한국어권에서 키릴 문자로 쓰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굳이 키릴 문자를 쓸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다른 언어 위키백과에서 AK-47에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경우는 키릴 문자 사용 언어와 중국어 뿐입니다. 그리고 69.174.252.80 사용자가 돌격소총에서도 AK를 키릴 문자로 바꾸어 놨는데, 일반적으로 로마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키릴 문자를 쓰는 것은 혼란만 가져올 것 같습니다. -- Shotgunlee 2006년 7월 1일 (토) 02:18 (KST)답변
자주 쓰이는 게 어떤 표기인가요? 많은 언어에서 로마자로 쓰는 것을 보니까 로마자 표기가 자주 쓰이는 것 같기는 한데요. 넘겨주기만 잘 되어있으면 별로 큰 문제는 없습니다. --Klutzy 2006년 7월 1일 (토) 01:54 (KST)답변
저같은 경우 인쇄매체나 인터넷 등에서 키릴 문자로 표기하는 경우를 본 적이 없습니다. 한국어권에선 거의 로마자로 표기한다고 봐도 될 듯 싶습니다. 위에서도 이야기 했지만, 위키백과 안에서는 넘겨주기만 잘 되어 있으면 별 문제 없지만 외부 검색 엔진 관련해서는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Shotgunlee 2006년 7월 1일 (토) 02:18 (KST)답변

키릴 문자 표기에 반대입니다. 본문의 설명에 쓰는 것이라면 모를까요. 로마자가 한국어는 아니지만 아라비아 숫자와 함께 이미 널리 쓰이고 있으니 표제어로 쓰는 걸 문제삼을 수는 없겠지만, 키릴 문자나 한자는 표제어로 적당하지 않습니다. 대부분 입력 방법도 없고요. -- ChongDae 2006년 7월 10일 (월) 12:07 (KST)답변

저도 키릴 문자 표기에 반대합니다. 그 이유는 한국(남한)에서는 키릴 문자가 거의 쓰이지 않아서, 흔히 쓰이는 로마자로 대체하는 게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구 소련국가보안위원회를 КГБ가 아닌 KGB로 쓰는 게 대표적입니다. --Yes0song 2006년 7월 16일 (일) 00:54 (KST)답변

저 역시 키릴 문자 사용에 반대입니다. 단, 본문에서 로마자 표기 옆에 키릴 문자를 병기하는 것은 상관없다고 봅니다. --WaffenSS 2006년 7월 25일 (화) 13:31 (KST)답변

7월1일에서 새로운 Privacy policy 적용

ja:Wikipedia:井戸端 (告知)#Privacy policy 改定에 따르면,wikimedia:Privacy policy가 7월1일에서 개정됩니다. 번역을 하고싶은 사람이 있으면 고맙습니다.--효리♪ (H.L.LEE) 2006년 6월 30일 (금) 14:14 (KST)답변

제주특별자치도 글 지워주시길 바랍니다.

내일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할 예정인 가운데 본래 작성되었던 제주특별자치도 글이 말썽을 부리고 있습니다. 이에, 본래 작성된 문서에 명시된 바와 같이 지워주심과 동시에 현 제주도를 제주특별자치도로 전환해 주시길 바랍니다. direct-h 2006년 6월 30일 (금) 22:05 (KST)답변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른 문서 수정 사항

방금 제주특별자치도 문서 수정 사항에 따른 글을 올렸는데요, 이 것 이외 고칠게 한두가지가 아니라서 관련자료를 한번에 정리해 고치는게 어떨까합니다.

1. 제주도 지도 현 제주도 지도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 폐지된 북제주군, 남제주군 부분이 선명히 나오며 제주도 명칭이 그대로 사용되므로 시급히 고쳐야 함 (대한민국의 행정구역, 제주도 관련 문서 중 그림이 들어간 문서 전체)

2. 도기 및 CI 반영 현재 제주특별자치도가 될 문서인 제주도 문서는 매우 빈약하므로 시급히 개선해야 함

3. 제주도 문서에 대한 역사 부분 정리 연혁 및 역사 부분이 2개 이상으로 이를 하나로 통합해야 함

등이 있습니다. 시급히 고쳐야 함을 제의합니다. -- 이 의견을 2006년 6월 30일 (금) 22:29에 작성한 사용자는 Mailzzang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효리♪ (H.L.LEE) 2006년 7월 5일 (수) 10:21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