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사랑방/2021년 제50주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2년 전 (와바기님) - 주제: 네이마르 문서 복구
사랑방
2021년 제50주
2021년 12월
48 29 30 1 2 3 4 5
49 6 7 8 9 10 11 12
50 13 14 15 16 17 18 19
51 20 21 22 23 24 25 26
52 27 28 29 30 31 1 2

데스크톱 개선. 새로운 변화! (2)[편집]

Hello! The change I mentioned in 데스크톱_개선._새로운_변화 will be made this week. Thank you! SGrabarczuk (WMF) (토론) 2021년 12월 13일 (월) 10:40 (KST)답변

안녕하세요. Unfortunately, for technical reasons not dependent on us, we were not able to make the change. Because of the holidays, no updates will happen until January anyway. Therefore, the closest time we're able to make the change is January. I'm very sorry for this inconvenience. I'll continue informing you. 감사 해요 SGrabarczuk (WMF) (토론) 2021년 12월 20일 (월) 21:17 (KST)답변

제 사토 하위문서좀 만들어주세요.[편집]

사토:밀크맛 우유/보존문서좀 만들어주세요. 그냥 점(.) 하나 정도만 써주시면 제가 작성할게요. 제가 ZEM이라서 시각편집기로만 문서 생성이 가능한데.. 토론문서는 시각편집기가 없어서요.. 백:작성에 요청하긴 좀 그래서 여기 올립니다. --MILK ⍤⃝♬ 2021년 12월 13일 (월) 14:14 (KST)답변

@밀크맛 우유:밀우님의 사문의 하위문서를 만드신 후, 이동 도구를 이용해 사토 이름공간으로 옮겨주시면 만드실 수 있습니다. 잘 이해가 안 되셨다면 핑해주세요. 전 학원땜에 이따 4시 10분쯤에 답 드릴게요. By 키페(//) 2021년 12월 13일 (월) 14:19 (KST)답변
@KeySpace: 아! 이름공간을 옮기면 되는군요! 감사합니다. --MILK ⍤⃝♬ 2021년 12월 13일 (월) 14:21 (KST)답변
@밀크맛 우유:제가 자주 사용하던방법이여서.. 추천해 드렸습니다. By 키페(//) 2021년 12월 13일 (월) 16:14 (KST)답변

에디터톤[편집]

내년1월31일00시부터 내년12월31일24시까지저의 첫 에디터톤이 개최됩니다. 많은참가 바랍니다.메소드연기 (토론) 2021년 12월 13일 (월) 21:25 (KST)답변

@메소드연기: 기간이 너무 긴것같아요.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3일 (월) 22:18 (KST)답변

그러면 1월31일24시까지로 하겠습니다. 메소드연기 (토론) 2021년 12월 14일 (화) 07:17 (KST)답변

@메소드연기: 이번엔 너무 짧네요. 내년 2월 28일 정도가 적당할것같습니다. 문서인간 2021년 12월 14일 (화) 15:30 (KST) 그정도로 할게요.--메소드연기 (토론) 2021년 12월 14일 (화) 20:46 (KST)답변

이름 변경 의견[편집]

광개토왕의 문서 제목을 "광개토대왕"으로 바꾸자는것을 요청합니다. 근거로 ,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사회책에서 고구려 전성기 설명때도 광개토왕이 아닌 광개토대왕으로 나옵니다.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3일 (월) 22:17 (KST)답변

이미 토론:광개토왕#광개토대왕의 위키백과 이름에 관련 논의가 있으며 해당 토론 문서에서 제목 변경 논의를 추가로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ted (토론) 2021년 12월 13일 (월) 22:24 (KST)답변

대가성 편집자의 대가성 편집 공개 의무를 정책화할 것을 제안합니다.[편집]

트루스포럼 문서와 같이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이익을 위한 편집 등에 대한 규정을 정비해서 막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익을 위한 편집 등을 금지를 하거나 아니면 모두 사용자 문서나 다른 공간에 공개하게 하고 단체의 간부의 경우 급료가 없더라도 대가를 받는 편집으로 의제된다는 조건도 넣어야합니다. 황동기시대 (토론) 2021년 12월 14일 (화) 01:23 (KST)답변

이미 위키미디어의 이용 약관, 위키백과:이해관계의 충돌 이 2가지로 공개적인 공표 없는 대가성 편집, 이익성 편집을 정책상 금지하고 있습니다. 만일 댓가성, 이익성, 이해관계자의 편집이라면 틀:대가성 편집자을 붙이도록 강제도 하고 있고요. 정책이 알려지지 않는 것이 문제입니다. L. Lycaon (토론 / 기여) 2021년 12월 14일 (화) 09:50 (KST)답변
규칙이 있어도 일부러 배째라 무시하면 소용이 없습니다. 이익을 위해 편집하거나 행동하는 일을 가급적 하지 말아야 하며 그런 일을 한다면 숨길 권리는 없으며, 어딘가에 투명히 공개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확립해야할 것 같습니다. 황동기시대 (토론) 2021년 12월 15일 (수) 01:12 (KST)답변

대가성 편집이 예전에는 아예 금지였지만, 이용 약관이 개정되어 wmf: Terms_of_Use/ko#4._특정_행위_금지의 "공표하지 않은 대가성 편집" 문단처럼 공개 의무화로 바뀌었습니다. 한국어 위키백과의 정책이나 지침엔 아직 제대로 반영되어있지 않은데 이 기회에 정비했으면 좋겠네요. -- ChongDae (토론) 2021년 12월 15일 (수) 11:25 (KST)답변

위키백과에 성차별적인 단어가 너무 많습니다.[편집]

관리자 분들[편집]

요즘 천사나연이나 똥태훈같은 사용자들을 차단하시느라 힘드실거 같은데 힘내세요! 문서인간 2021년 12월 14일 (화) 15:28 (KST)답변

총의를 구하고자 합니다[편집]

안녕하세요, 키페입니다. 지금 새 정책에 대해 총의를 구하고자 합니다. 이번에 제가 제안할 정책은 백:계정명에서 특정 기업명이 불가능하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저는 특정 게임명도 불가능하게 만들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정책은 사용자:이너슬로스는 허용하지 않고 있지만, 사용자:어몽 어스는 허용하는데, 저는 사용자:이너슬로스사용자:어몽 어스둘 다 허용하지 않으면 좋겠다는 말입니다. 이런 정책이 필요한 이유는 예를 들어 로블록스는 게임 명이자, 또 기업명이기 때문에 애메하기 때문입니다. 그런 이유로 저는 명도 금지하면 좋겠습니다. By 키페(//) 2021년 12월 14일 (화) 16:11 (KST)답변

찬성 --MILK ⍤⃝♬ 2021년 12월 14일 (화) 17:23 (KST)답변
기업명을 계정명으로 하는 것을 금지하는 이유가 단순히 헷갈리는 것도 있지만 공유 계정으로 의심을 받을 수도 있고, 위키백과를 특정 단체나 기업 등의 선전을 위해 이용하는 것은 인정되지 않기 때문인데, 게임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금지해야 할 필요가 있을까요? — Ddxfx 2021년 12월 14일 (화) 17:28 (KST)답변
@Ddxfx: 기업의 선전으로 이용한다는게 문제라면, 전 사실 게임에 대한 선전으로 이용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만..? By 키페(//) 2021년 12월 14일 (화) 18:00 (KST)답변
찬성 동의합니다. 뭐 팬심에 할 수 있다는 논리가 등장할 수는 있겠지만, 그 논리는 기업명에게도 동일시 적용할 수 있겠죠. 가령 "나는 삼성전자가 좋으니까 계정명을 삼성전자라고 한다"던지요. 기업명을 계정명으로 가능하게 풀면 모를까 기업은 막고 게임은 되고 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 생각합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12월 14일 (화) 20:18 (KST)답변
의견 게임은 기업에서 출시한 서비스(상품)이기 때문에 게임 이름을 계정명으로 이용하는 것을 금지한다면 게임 이름 뿐만 아니라 삼성 갤럭시 버즈 2 처럼 상품의 이름도 금지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그렇게 되면 수많은 계정 명이 바뀌어야 할텐데 그게 현실적으로 가능할지가 의문이고 사용 불가능한 계정 명이 너무 많아지는 것이 문제일 듯 합니다. --과학 8호기 2021년 12월 14일 (화) 20:40 (KST)답변
기업명은 단체계정명이지만, 게임명은 단체계정명이 아니기 때문에 금지까지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단체계정명을 정책적으로 막는 가장 큰 이유는 공유계정을 방지하기 위해서라고 알고 있습니다. 위키백과:사랑방/2011년 제43주#대구광역시교육청 홍보담당관실입니다. 같은 사례처럼 특정 단체 차원에서 위키백과를 편집하는 일이 종종 있는데, 이때 단체 이름을 계정명으로 사용하면 그 사용자가 단체 전체를 대표하는 듯한 혼동을 줄 수 있고 실제로 여러 사람이 그 계정을 이용해 편집을 할 수가 있기 때문에 계정명의 변경을 권고합니다. 반면, 게임 이름을 계정명으로 사용한다고 해서 그 사용자가 게임 전체를 대표한다는 혼동을 준다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게임의 선전을 위해 가입한 광고성 계정은 문제가 되겠지만, 그런 계정은 위키백과:이해관계의 충돌이나 위키백과:계정 이름#광고에 따라 이미 규제 대상이기 때문에 게임명 계정 전체를 금지할 실익은 없을 것 같습니다. Bluemersen (+) 2021년 12월 15일 (수) 22:14 (KST)답변
Bluemersen 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데니스3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21:29 (KST)답변

기후변화/지구온난화 문서 관련 개편 프로젝트가 필요합니다[편집]

메타위키에서 진행중인 기후변화 토론에서 한국어판은 검토 결과 약간의 수정 부문이 필요하며, 현 내용도 낡아서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점진적으로 새롭게 업데이트 될 내용을 가져와 추가하러고 하는데, 이에 대하여 혼자만으로는 힘들어 임시로라도 단체로 모여 관련 부문을 보충하고 정비하는 임시 프로젝트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L. Lycaon (토론 / 기여) 2021년 12월 14일 (화) 23:44 (KST)답변

좋은 아이디어네요. 프로젝트가 생기면 연말 연휴에 한번 참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토트 2021년 12월 15일 (수) 00:01 (KST)답변
사실 이전에 온라인 에디터톤에 토론이 부족하고 주제의 핵심보다는 가지에 더 많은 편집이 되고 있다는 생각(최근에 K팝 에디터톤이 개최되었지만 정작 K-pop 문서는 편집되지 않은 것처럼요.)이 들어서 한 주제를 정하고 그 주제의 핵심 문서(지구 온난화가 주제라면 지구 온난화기후변화)와 그 문서에서 갈라져 나온 문서들(지구 온난화 문서에 있는 빨간 링크로 된 본문 틀 달린 문서가 그 예입니다.)을 중심으로 편집하여 알찬 글/좋은 글 수준으로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를 구상해본 적이 있습니다.
프로젝트 내의 토론 문단에서 집중적으로 편집할 주제를 정하고 어떻게 편집할지(번역인지 미번역인지같은 것을 결정하는 토론과 효율을 높이기 위해 누가 어디를 편집하는지하는 토론 등이요. 편집이 막힐 때 의견을 요청할 수도 있고요.) 정합니다. 가장 중심이 되는 문서나 그에 준하는 문서는 함께 검토하기에 올려서 피드백을 받고요. 프로젝트 문서에 문서 후보 및 재검토 전체처럼 해당 함께 검토하기 토론을 게시해 놓아서 연게시키는 구상입니다. 전부 끝나면 알찬 글/좋은 글 토론에서 최종적으로 재검토를 하여 선정시키는 방안입니다. 다른 토론이 생겨서 잠시 접어뒀는데, 이렇게 입 밖으로 나왔네요. Magika (토론) 2021년 12월 15일 (수) 16:19 (KST)답변
그러면 한번 에디터톤과 함께 연계하여 내년 초를 시작으로 하는 기후 변화/지구온난화 프로젝트+에디터톤을 운용하면 좋을 것 같네요. 계획 진행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L. Lycaon (토론 / 기여) 2021년 12월 16일 (목) 23:43 (KST)답변

깨진 서명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있습니다.[편집]

사용자:도바 노비니언 123님이 깨진 서명을 쓰고 있네요. 서명에 대한 정책 제정이 필요합니다. Bulryeok (토론) 2021년 12월 15일 (수) 11:10 (KST)답변

서명이 깨진 경우, 해당 사용자의 토론에 알려주면 되지 않을까요? 정책까지 필요한 상황은 아닙니다. -- ChongDae (토론) 2021년 12월 15일 (수) 11:19 (KST)답변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 소식지 21년 4호[편집]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 소식지 21년 4호가 나왔습니다.

컨퍼런스부터 편집활동까지 지난 3개월 간 어떤 활동이 진행되었을까요? 청소년들이 참여한 위키위키 프로그램에 대한 인터뷰도 읽으실 수 있습니다!

--이강철 (WMKR) (토론) 2021년 12월 15일 (수) 11:36 (KST)답변

지금 위키데이터 접속 가능하신분..?[편집]

안녕하세요, 키페입니다. 제가 독도 문서를 보다가 위키데이터 설명 (?)이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일본 또는 한국의 섬이다' 로 표기되어 있던데,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한국의 섬이다' 로 바꿔주세요.. 이건 약간 위키데이터 반달같네요.. By 키페(//) 2021년 12월 15일 (수) 22:59 (KST)답변

아무래도 중립성 때문에 그렇게 표기한 것이 아닐까 싶은데요. 비슷한 예로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독도 문서 표제어가 독도도 다케시마도 아닌 리앙쿠르 암초죠. 양념파닭 (토론) 2021년 12월 15일 (수) 23:01 (KST)답변
물론 저는 독도는 한국의 땅이라고 생각하지만, 외국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단지 한국과 일본 사이의 분쟁이 있는 섬 정도로 여기죠. 무조건 반달일 것 같지는 않습니다. wikidata:Special:Diff/1538847908. 해당 편집을 한 사용자가 일본어 계정명을 가지고 있긴 합니다. — Ddxfx 2021년 12월 15일 (수) 23:05 (KST)답변
일단 그 부분은 최대한 중립성에 맞게 수정을 하였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12월 15일 (수) 23:07 (KST)답변
어느 나라의 섬인지 표기하지 않는 것도 방법이겠죠. Magika (토론) 2021년 12월 15일 (수) 23:06 (KST)답변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 한다는 정도면 충분히 중립적인 표현이라 보고 그렇게 수정했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12월 15일 (수) 23:07 (KST)답변
@양념파닭: 감사합니다~ By 키페(//) 2021년 12월 16일 (목) 08:18 (KST)답변

한푸 문서 내용 논란[편집]

@Yoyoma88:한푸 문서에서 "최근에는 만주족의 전통복장인 치파오조선족의 전통복장인 한복중국 소수민족의 복장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확대되고 있다."라고 정의가 되어있고, 본래 제시되어졌던 근거 자료로 다음과 같은 소스를 제공하고 있는데[1], 해당 소스에는 위의 내용과 관련된 내용을 찾을 수 없습니다. 또한 해당 문서인 한푸는 신조어에 해당하며, 한나라 사람들이 입었던 복식의 개념과 최근 한푸부흥운동으로 과거 한족들이 입었던 복식의 새로운 개념들이 다른 이민족들의 복식까지 포함하고 있다고 설명하는 해당 본문 내용들이 모순점이 너무 많고 오류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까닭으로 본 문서의 해당 내용을 삭제하고자 하는데, 한푸 이외에 중국 관련문서를 지속적으로 편집해오고 계신 해당 유저께서 반복적으로 문서를 복구하시고 계십니다. 많은 토론 참여 부탁드리겠습니다. Strayacj (토론)

@Hlovekorean: 2021년 1월 25일 (월) 23:34‎ 판 귀하의 편집으로 여기까지 왔네요. 해당 기사 링크를 최초로 올리셨는데 이에 대해 답변 부탁드립니다. Yoyoma88 (토론) 2021년 12월 16일 (목) 16:40 (KST)답변

대학교 문서 관련 편집 지침이 개정되었습니다.[편집]

토론이 첫 진행된 7월 26일부터, 본격적으로 이어진 9월에 이르러 사실 어느 정도 총의는 모였다고 봅니다. 토의 결과 다음에서 드러난 것처럼

  1. 백:회사에 따라, 불필요한 조직도 등의 나열성 목록 문단은 금지한다. 단, 학교장 (학과장의 경우 수장) 급의 간단한 목록은 허가한다.
  2. 학교 및 관련 역사는 '연혁' 등의 한 줄짜리 나열이 아닌 산문체로 서술한다

를 골자로 하는 편집 지침에 기존 참여자이신 Dreamyden님, Exj님을 비롯하여 호로조님, Twotwo2019님, 제가 지지하였습니다. 학교의 경우 하과 또는 단과대학 나열이 필요하다는 Sadopaul님, 양념파닭님, 99LJH님의 소수 의견이 있었으나, Sadopaul님은 Twotwo2019님의 의견 이후 다수 의견에 승복한다는 의견을 밝히셨습니다. 또한 대략적인 의견 표명 후 99LJH님과의 추가 토론이 있었으나, 이전에 있었던 내용의 반복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백:정책과 지침에 따르면, 주요한 정책 및 지침 도입 시 가능한 모든 관련자에게 통보해야 하며, 토론 닫기는 다른 분께 맡기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제가 Sotiale님, Asadal님 등 여러 분께 의견 요청을 넣었음에도 일주일이 지난 현재까지 통보가 없으니만큼, 부득이하게 제가 닫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10월의 대략적인 토론 이후로 벌써 2개월이 지난 지금 더 오래 지속하는 것이 더 이상 의견 수렴에 도움이 되지 않고, 그동안 의견 요청을 통해 지속적으로 공동체에 관심을 환기시켰던 만큼 할 수 있는 홍보는 다 했다고 생각됩니다. 그럼 이로써 대학교 편집 지침 개정안이 통과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현재 알찬글, 좋은 글에 있는 대학교 문서의 학과 문단의 나열식 정보를 전부 삭제하겠습니다. 대략적인 문단 구성도 편집 지침에 제시되어 있으니 확인 부탁드립니다. Reiro (토론) 2021년 12월 16일 (목) 15:07 (KST)답변

덧붙이자면, 현재 사실상 단과대 홈피 디렉토리로 운용되는 학과 나열식 서술은 백:아님#목록백:아님#디렉토리에도 어긋나는 것임을 알립니다.--Reiro (토론) 2021년 12월 16일 (목) 15:11 (KST)답변

위키백과의 아시아의 달 종료[편집]

2021년 위키백과 아시아의 달이 종료되었습니다!

Sangjinhwa님이 아시아 지역에 대한 40문서를 한국어 위키백과에 작성하면서 아시아 대사로 선정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30문서 이상을 기여한 2번째 사용자도 아시아 대사가 될 수 있습니다. 내년에 많은 도전을 부탁드립니다 :) --이강철 (WMKR) (토론) 2021년 12월 16일 (목) 16:41 (KST)답변

10명의 편집자들이 아시아 관련 문서 96개를 새로 한국어 위키백과에 작성했습니다. 어떤 문서들이 있는지 함께 살펴보시는 건 어떨까요?

--이강철 (토론) 2021년 12월 16일 (목) 18:57 (KST)답변

위키백과에 추가된다면? - 1편[편집]

"'위키백과에 이런 기능이 추가되면 좋을거같네요!'"

중요는 볼드체합니다.

  1. 자동 서명 기능 : 귀찮게 여러번 서명하지 말고 그냥 자동으로 서명해보는건 어떤거같나요?
  2. 위키위키앱(?) : 위키백과 전용 앱을 만드는것도 나쁘진 않는거같아요. 그거에ㅜ따른 전용 혜텍도 주면 더 좋고요!
  3. WikiHTML : 위키백과에 HTML 을 추가하면 어떨까요? 귀찮게 <span></span> 문을 사용하지 않고 이걸 사용하는것도 어느정도 좋을거 같아요.
  4. WikiStyles : <span></span> 를 대채할 새로운 구문을 상상하고있어요. <css> 로 시작해서 </css>로 끝나고 <styles></styles> 문으로 특성을 설정하는 특징이죠.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6일 (목) 17:17 (KST)답변

2번은 이미 있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12월 16일 (목) 17:42 (KST)답변
1. 답변 기능을 통해 답을 하면 자동으로 서명됩니다. 3&4. 어떤 HTML 마크업을 원하시는거죠? HTML은 제대로 쓰기 어려운 마크업 언어예요. ChongDae (토론) 2021년 12월 16일 (목) 17:53 (KST)답변
1번이랑 2번은 이미 다 있는 내용이고, 3번과 4번도 크게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겠습니다. 오히려 HTML과의 호환이 되지 않아서 배우기도 힘들고, 이득보다 손실이 더 많을듯 하네요. --White.t. 2021년 12월 16일 (목) 18:08 (KST)답변
@Whitetiger0423, 양념파닭, ChongDae: (2번) 어떤 앱이요?
@ChangDae, Whitetiger0423: (1번) 하지만 전 사랑방 / 질문방도 포함해서 이야기한거인걸요? 그리고 3번은 span 을 통해서 글자크기를 줄이고 늘리고 이런걸 줄이자라는 뜻에서 이야기한거고 4번은 span 의 불편함을 줄이자라는 뜻에서 이야기한건데요? (4번) 그리고 정 <css> 태그 다는게 불편하면 빼내고 <styles> 태그만 붙이면 되잖아요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6일 (목) 18:23 (KST)답변
@ChangDae, Whitetiger0423: 그리고 3 4번도 어느정도 쓰이긴 할가같은데 만드는것도 좋지 않을까요?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6일 (목) 18:25 (KST)답변
2번은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에 위키백과라고 검색하면 다운로드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 사랑방과 질문방에서도 아마 답변 기능을 쓰실 수 있을 겁니다. — Ddxfx 2021년 12월 16일 (목) 18:25 (KST)답변
사랑방에서도 답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3번과 4번도 특별한 중요성을 느끼지 못하겠습니다. 이미 있는 좋은 태그를 내버려두고 굳이 또 만들 필요가 있을려나요. --White.t. 2021년 12월 16일 (목) 19:22 (KST)답변
저걸 한다고, 이미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거라 해도, 실익이 별로 없을 것 같습니다. --Y.S. (Suggesting, Location tracking) 2021년 12월 16일 (목) 21:15 (KST)답변
3, 4와 같은 CSS 설정 같은 경우, 해킹 위험성 때문에 위키미디어 재단에서 특정 허용 범위 내 코드만 동작하도록 제한하고 있습니다. 1번 같은 경우는 자동 서명 가능한 토론란 작업이 진행중이고, 2번은 어플리케이션이 꽤 많이 있긴합니다.--L. Lycaon (토론 / 기여) 2021년 12월 16일 (목) 23:46 (KST)답변
@Twotwo: 어플리케이션이 많이 있으면 위키백과에서 공식적으로 만든건 없나요?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7일 (금) 22:06 (KST)답변
@HANsClickings: 백:모바일. --White.t. 2021년 12월 18일 (토) 07:48 (KST)답변

위키백과에 추가된다면? - 2편[편집]

"위키백과에 이런 기능이 추가된다면?" 이번엔 테마편을 가져왔습니다. 모든 기능이 모두 위키백과 테마 관련이기 때문에 위키백과 테마에 대해서만 이야기할게요.

중요한 내용은 볼드채합니다.

  1. 루나 테마 : Windows XP 테마를 어느정도 들고오면 어떨까요? 아 , 저작권에 걸리겠네요. 마이크로소프트에 허락맡으면 될수도..?
  2. 에어로 테마 : Windows Vista 의 테마를 들고오면 멋지지 않을까요? 아 , 루나테마와 똑같이 저작권에 걸리겠네요. 얘도 허락맡으면 될거같은데.. 허락맡고 만들어보면 어떨까요?
  3. 커스텀 테마 : 직접 테마를 만들어서 배포하면 좋을거같아요. 특히 그냥 위키백과 자체에 설정으로 만들어서 배포하면은 두배 더요!
  4. 윈도우 기타 테마 : 다른 윈도우의 테마들도 가능하게 하는것도 나쁘진 않을거같아요. 특히 메트로 UI , 9598SE도 많이 쓰일거같아요.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6일 (목) 18:37 (KST)답변

정말로 마이크로소프트가 자기 디자인을 그대로 베껴서 적용하게 하용해줄까요? — Ddxfx 2021년 12월 16일 (목) 18:42 (KST)답변
@Ddxfx: 지금은 안쓰는 디자인이잖아요. 시도해보는것도 나쁘지 않나요? 그리고 "허락맡고" 라는 말도 했습니다. 그리고 3번은 어떤가요?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6일 (목) 18:52 (KST)답변
참고로 "허락맡고"라는 말 때문에 말한 겁니다. — Ddxfx 2021년 12월 16일 (목) 19:02 (KST)답변
허락을 받을 주체도 애매하고, 기술적으로 아직 벡터 테마도 완성이 안된 상태인데 단순히 예뻐보이기 위해서라는 이유로 벡터보다 이 테마들의 개발을 우선시 할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또, 이런 기술적인 사항은 백:기술에서 다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White.t. 2021년 12월 16일 (목) 19:25 (KST)답변
"허락 맡고"는 저작권에 걸리면 안좋고, 안 걸리면 그만이고 하는 것은 옆동네 나무위키 저작권과 같이 무질서하고 부적절한 것 같습니다. 이미 있는 것으로 충분하며, 또한 위키백과는 "백과사전"으로 굳이 테마를 만들어야 할 필요성을 못 느끼겠습니다. ---Y.S. (Suggesting, Location tracking) 2021년 12월 16일 (목) 21:18 (KST)답변
뭐, 나무위키는 그래도 테마로 어느정도 성공하긴 했죠. 하지만 이렇게 여러 언어판이 있는 위키백과에서 해당 설정을 모두 추가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봅니다. --White.t. 2021년 12월 16일 (목) 21:48 (KST)답변
@Whitetiger0423: 한국어 위키백과"" 이였는데... 범위를 안말했었네요. 한국어 위키백과 입니다.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6일 (목) 22:16 (KST)답변
그러기엔 기술적으로 어려운 부분도 있고, 역시 필요성이 느껴지지 않습니다. --White.t. 2021년 12월 16일 (목) 23:09 (KST)답변
위키백과에서 윈도우 테마를 꼭 써야할 필요성은 느껴지지 않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12월 17일 (금) 04:44 (KST)답변
@양념파닭: 커스텀 테마는요?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7일 (금) 08:04 (KST)답변
@HANsClickings: 커스텀 테마는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 쓰는 테마인가요..? By 키페(//) 2021년 12월 17일 (금) 13:10 (KST)답변
@KeySpace: 그렇게 생각하실거같지만 특징이 어떠한 글자에 따라 색까지 다르게 만들수 있는 신기한 테마입니다.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7일 (금) 17:45 (KST)답변
@HANsClickings:반대하지는 않습니다만 루나, 에어로 등은 제목 표시줄, 작업 표시줄 등에만 사용되는 테마인데 웹에 적용하기는 좀 어렵지 않나요?--🐱괭이는냥이🐱 (🗨️🐱) 2021년 12월 17일 (금) 14:40 (KST)답변
@괭이는냥이: 그..그런가요? 이 토론은 괜히 만들었네요..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7일 (금) 17:44 (KST)답변

스마트폰 문서들의 사진 변경[편집]

요즘 스마트폰의 베젤이 얇아지고 비슷한 생김새를 가지면서 전면 디자인만으로는 문서에서 설명하는 기기의 디자인을 잘 알기가 어려워졌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는 스마트폰 모델에 대한 문서의 사진을 해당 기기의 후면 사진으로 체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엄청난 양의 문서들의 사진을 교체해야되고 필요한 비자유 저작물을 모두 구하기도 거의 불가능에 가깝기도 합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과학 8호기 2021년 12월 16일 (목) 22:26 (KST)답변

자료가 있다면 전후면 모두 사용하고 그렇지 않다면 있는 자료 최대한 활용하면 될 일이라 생각합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12월 17일 (금) 04:45 (KST)답변
@양념파닭: 의견 감사합니다. --과학 8호기 2021년 12월 17일 (금) 17:19 (KST)답변

위키미디어 송년회 알림[편집]

한국어 위키미디어 커뮤니티 사용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올 연말 위키미디어 송년회가 오프라인으로 열립니다!

12월 26일 오후 2시, 하이서울유스호스텔에서 올해의 위키인을 시상합니다.

올해 뛰어난 활약을 보인 위키인을 축하하기 위해 많은 참석을 부탁드립니다.

시상식 이후에는 커뮤니티의 의제를 토론하는 언컨퍼런스가 진행됩니다.

--이강철 (WMKR) (토론) 2021년 12월 17일 (금) 11:35 (KST)답변

지난 컨퍼런스처럼 온라인으로는 안 하나요..? 제가 학생 신분이라 그쪽까지 가기 어렵습니다.. By 키페(//) 2021년 12월 17일 (금) 13:08 (KST)답변
@이강철: —— Melon. T. 2021년 12월 18일 (토) 06:05 (KST)답변
@KeySpace: 이번 행사는 유튜브 중계만 있는 듯 합니다. 저번 컨퍼런스 처럼 줌을 이용한 쌍방향 행사를 한다는 말은 없네요. --White.t. 2021년 12월 18일 (토) 14:28 (KST)답변
@Whitetiger0423: 그럼 유튭 중계 보면서, 실시간 채팅으로 소통해야겠네요 :) By 키페(//) 2021년 12월 18일 (토) 14:35 (KST)답변

위백 봇을 만들까나 합니다[편집]

주의! 이 문단은 봇 둥록 신청도 , 봇 만들어달라고 요청하는것도 아닙니다

다양한 문서를 빵빵하게 채우는 그런 봇을 만들려고 생각하고있습니다. 봇 이름도 생각해뒀죠. "AdvancedWikiBot"

하지만 제가 Java만 할줄 압니다. 다른 언어를 사용할줄 몰라요. 그래서 Java 로 만들어야하는데 쉬운게 없는것같더라고요.

여러분이 많이 쓰는 Java 위키백과 봇 라이브러리를 알려주세요.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7일 (금) 22:31 (KST)답변

다양한 문서를 빵빵하게 채운다면, 내용을 알아서 추가하는 인공지능 봇인가요? 기대하겠습니다. 지금까지 TedBot 같은 영화배우 정보 특정 사이트에서 끌어오는 봇은 봤습니다만, 그런 봇은 못 본 것 같네요. 인공지능이 점점 더 발달하면 그런 봇이 활발히 활동하는 시대가 오겠죠? 위키백과와 인공지능 기술이 합쳐지면 얼마나 많은 변화와 혁신이 있을지 기대됩니다. — Ddxfx 2021년 12월 17일 (금) 22:39 (KST)답변
@Ddxfx: 어느정도는 가능할겁니다. 다만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종류와 마인크래프트 , 하이픽셀 문서를 가장 많이 편집할거같네요. DEV , Pre-Alpha , Alpha , Beta , Pre-Realse (마인크래프트의 프리릴리즈와 같은 개념입니다) , Realse 순서로 버전이 올라갈거고 2.0 전까진 제 지식으로 채우다가 기술이 발전하면 2.0 으로 버전을 높여 그렇게 만들거같네요. 그래서 라이브러리는요?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7일 (금) 22:42 (KST)답변
@HANsClickings: 엇 초성이 AWB랑 같ㄴ.. 사실 외부 사이트에서 정보를 끌어오려면, TedBot 처럼 펄 스크립트 정도는 되야 가능할 듯요.. 윈도우 컴 있으시면 걍 AWB로 간단하지만 지루한 작업 돌리세요. 정규식 조금만 공부하시면 쉽게 조작 가능하십니다. 저도 처음에 파이썬으로 PyWikiBot 시도하다가, 안쓰는 윈도우 콤퓨타에 AWB 깔아서 작업 중입니다. By 키페(//) 2021년 12월 17일 (금) 23:40 (KST)답변
+)펄도 완벽하진 않습니다. 그리고 지금 봇을 만드시는 것보다, 제 봇인 KeySpace Bot와 같은 다른 봇에게 작업을 부탁하는것이 낫습니다. 간단한 작업하려고 힘들게 봇을 만들 이유가 없죠. 덧붙여, 이제 Java, C의 시대는 끝났습니다. 차라리 Python을 배우세요. By 키페(//) 2021년 12월 17일 (금) 23:48 (KST)답변
실제로 어떤 언어도 완전한 언어는 없습니다. 언어의 학습 난이도, 성능, 안정성, 프레임워크 지원 등 여러 변수가 있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있고 해당 언어를 지원하는 미디어위키 API를 올바르게 지원하는 프레임워크가 있다면 그 언어를 사용하면 됩니다. 미디어위키에서 봇을 구동하는 이유의 대부분은 문자열 처리라고 생각합니다. 글을 올리고 수정하는 행위도 문자열 처리가 수반됩니다. 현실적으로 문자를 가장 효율적으로 가장 빠른 속도로 다루는 것만 따지자면, 여러 벤치마크를 통해 검증된 바, 태생적으로 문자열 처리를 위해 태어난 펄을 이길 수 있는 언어는 없습니다. 심지어는 파이썬조차도 이 부분에서는 펄을 따라올 수 없습니다. C에서조차도 강력한 펄의 정규 표현식을 위해 PCRE를 사용하고 있는 형편입니다. 그러한 이유로 TedBot이 펄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말씀하신대로 미디어위키에서 파이썬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잘 지원하고 있고, 파이썬이 배우기 쉬운 언어이기 때문에 처음 사용자에게 파이썬을 권유하는 것은 바람직합니다. 다만, Java는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언어의 하나이기 때문에 시대가 끝났다고 표현하기에는 아직 이릅니다. C는 여전히 많은 곳에서 사용 중이고 무엇보다도 성능이 가장 중요하고 프레임워크 의존 없이 봇의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것을 다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해당 언어를 마다할 필요가 없습니다. 자바스크립트에 익숙하다면 웹 브라우저에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직접 작성하여 봇을 구동하거나, 아니면 서버에서 Node.js를 활용해보는 것도 권장합니다. --ted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00:13 (KST)답변
@KeySpace: 제 취미가 프로그래밍이면서 장래희망이 프로그래머이기도 하고 , 한번 해보려는거에요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16:26 (KST)답변
@HANsClickings: 아래 백호님 의견으로 갈음합니다. 자바 라이브러리 목록을 보세요. 어려워도 막상 해 보면 쉬워요. 또 자바를 할 줄 알고 계시니, 파이썬을 배우기 수월하실겁니다 :) By 키페(//) 2021년 12월 18일 (토) 16:30 (KST)답변
그리고 차라리 어렵다면 오토위키브라우저를 쓰세요. 자꾸 자바로 한다고 고집 부리지 마시고요. By 키페(//) 2021년 12월 18일 (토) 16:31 (KST)답변
봇 개발자가 원하는 언어로 하는것이지, "고집 부리지 마시고요"는 강요하는 것 처럼 보입니다. --Y.S. (Suggesting, Location tracking) 2021년 12월 19일 (일) 10:42 (KST)답변
라이브러리들은 도움말:봇 만들기#자바에 나와있네요. --White.t. 2021년 12월 18일 (토) 07:59 (KST)답변
@Whitetiger0423: 제발... 그거 이미 보았고 쉬운거를 하나만 골라주세요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08:38 (KST)답변
@HANsClickings: 난이도에 대해서는 개인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 어떤 작업을 하는지에 따라서도 다를 수 있어, 직접 경험하신 뒤에 선택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마냥 쉬운거만 한다고 해결되는게 아니니까요.
그리고 덧붙이자면, '제발' 같은 단어는 조금 불쾌합니다. 제가 HANsClickings님이 말한 의도를 이해하지 못한 것 처럼 생각하시는 것 같아서 말이죠. 이미 전에도 이런 토론태도에 대해서 지적받고 차단되신 경험까지 있으신데, 그 경험에서 무언가를 얻으셨으면 좋겠네요. --White.t. 2021년 12월 18일 (토) 10:14 (KST)답변

네이마르 문서 복구[편집]

네이마르 문서가 훼손은 아닌것 같은데 어디서 부터 잘못된 것인지 잘 모르겠어서요 일괄 되돌리기 있으신 분이나 해결 하실 수 있으신 분 복구 부탁드립니다. --와바기 (토론) 2022년 4월 23일 (토) 23:35 (KST)— 이 의견은 지나가던 문서 수정러님이 2021년 12월 17일 (금) 22:33 (KST)에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아 2021년 12월 17일 (금) 22:41 (KST)에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답변

@지나가던 문서 수정러: 반달이 예상됩니다. "은메달" 하나 붙일려고 4번이나 편집했으니 말이죠.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7일 (금) 22:46 (KST)답변

새해가 옵니다[편집]

2022년까지 얼마남았지?
– 2022-1-1
새해 잘지내세요!
현지 시각
(새로 고침)

문서인간 2021년 12월 18일 (토) 10:12 (KST)답변

그러네요... Reiro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15:53 (KST)답변

그때까지 열심히 합시다!!!!!!!!! 메소드연기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16:26 (KST)답변

와우.. 벌써 새해네요..! 이웃집 또털어 2021년 12월 19일 (일) 08:41 (KST)답변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번역 도움 구합니다.[편집]

영어판에서는 아무래도 이전부터 문단별로 딱딱 편집해놔서 지금 양이 충실한데, 한국어판은 영 아니네요;; 문단 나눠서 번역할 사람 구합니다. 줄거리나 등장인물 정도로도 괜찮아요.

주의: 영어판 문서 전체적으로 영화에 대한 스포일러가 글자, 이미지 자료 등 다량 제시되어 있습니다. Reiro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15:53 (KST)답변

분량은 아주 미미하지만 영어판의 '음악' 문단을 번역하여 추가하였습니다. 번역이 처음인지라 출처나 편집 요약 따위를 정책/지침 문서들을 보고 하느라 애 좀 먹었네요.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수정 부탁드립니다. --Blueall(Talk) 2021년 12월 18일 (토) 18:56 (KST)답변
줄거리 추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능하면 캐스팅이나 제작도 채워보도록 할게요. 그리고 영화 개봉할 때마다 이번처럼 공대(?) 꾸려서 편집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아요. 위쪽에 지구온난화/기후변화 관련 문단에 의견 나눈 프로젝트가 있는데, 이거를 개봉하는 영화로 할 수도 있겠죠. Magika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20:16 (KST)답변

이걸 고칩시다[편집]

관리자 차단요청시 당사자가 처리를못하게 합시다. 메소드연기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18:07 (KST)답변

백:차단 정책 문서의 관리자에 대한 차단 문단에서 이미 처리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 데니스3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20:12 (KST)답변

이니 레오님이 자기 사관 차로 된다는데요 사관 48주?47?이정도로 보시면나와요. 🌊🐕👏 (토론) 2021년 12월 19일 (일) 14:26 (KST)답변

몇몇 번역 담당은 이거로요![편집]

프로젝트 "트렌슬레이팅 서포터" 이 봇은 "준비중" 이니 있다고 생각하지는 말아주세요. 번역 담당 봇입니다. AdvancedWikiBot 의 서포트역할을 하는데요 일단 그거는 라이브러리때문에 망했고 이 봇이 만들어지면 어떻게 될지 여러분들의 생각을 알려주세요. 몇몇 문서 번역담당은 이 봇으로 할겁니다.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8일 (토) 22:29 (KST)답변

번역이 제대로 된다거나, 봇이 아닌 사용자가 하는 만큼 할 수 있다면 좋은 영향을 끼칠것입니다. 그러나, 당장 표제어의 문제도 고르기 애매할 수 있는데, 이런 봇은 고도의 능력이 필요할 것 같네요.
또, '몇몇 문서 번역담당은 이 봇으로' 라고 하셨는데, 솔직히 아무 이유 없이 '봇의 분업을 위해서' 봇을 분리시키는 것은 별로 좋아보이지 않습니다. 하는 작업간의 간섭이 없는 한, 봇 계정은 하나만 쓰시길 권장드립니다. --White.t. 2021년 12월 18일 (토) 22:46 (KST)답변
@HANsClickings: 특수:내용번역에서 번역해오는 봇이요..? 그러면.. 가능할 것도 같군요! 아 그리고 내용과는 관계없지만, 사용자 문서에서는 토론을 할 수 없습니다. 그 점 참고 바랍니다. By 키페(//) 2021년 12월 19일 (일) 09:21 (KST)답변
@KeySpace, Whitetiger0423: 구글 번역기를 기반으로 합니다. 그리고 아직 준비중이라서 링크가 걸려있을때 영어 디스플레이를 없애주는 역할만 할겁니다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9일 (일) 09:29 (KST)답변
1. '영어 디스플레이를 없애주는 역할' 이 무슨 뜻인가요? 2. 구글 번역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만, '~입니다'의 투가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는 어떻게 처리하시려고 하시나요? --White.t. 2021년 12월 19일 (일) 10:36 (KST)답변
@Whitetiger0423: [[마인크래프트|Minecraft]]같은걸 [[마인크래프트]] 로 바꿔준다는 겁니다. 기계번역까진 안할거에요.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9일 (일) 15:41 (KST)답변
그런 작업들은 번역 봇이라고 하긴 애매하네요. 또 구글 번역기를 쓰는데 기계번역이 아니라는 것은 무슨 뜻인가요? --White.t. 2021년 12월 19일 (일) 15:44 (KST)답변
@Whitetiger0423: 구글 번역기는 약간 번역해야할 부분인곳만 번역해온다는겁니다 HANsClickings (토론) 2021년 12월 19일 (일) 16:15 (KST)답변
결국엔 구글 번역기를 쓴다면 그것은 기계번역이 됩니다. 기계번역이 꼭 나쁜것만은 아니지만, 적어도 기계번역을 사용할 때에는 백과사전에 어울리게 번역이 되어야 합니다. 또, 봇은 '약간 번역해야 할 부분'을 스스로 인지하지 못한다는 점도 알아두셨으면 좋겠습니다.
결국 봇을 어떻게 만들지는 님의 자유입니다. 저희는 그저 님이 사랑방에 의견을 물어보셨기에 의견을 낸 것이고, 마지막의 최종 결정은 님이 하시는겁니다. 다만, 이런 결정이 공동체에 피해가 가지는 않는 방향이면 좋겠습니다. --White.t. 2021년 12월 19일 (일) 17:07 (KST)답변
@HANsClickings: 사람이 기계번역으로 해도 일종의 번역투가 느껴지는데, 사람이 검토하지도 않은 그런 완전한 기계번역으로 번역을 해도 될까요? 최근에 기계번역 문서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기계로 번역기를 이용한다는 건... 좀 아니지 않을까요? 번역은 사람이 "직접"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Melon. T. 2021년 12월 19일 (일) 14:34 (KST)답변
동감합니다. 사람인 저도 기계번역 조금 사용했다고, 줄이라고권고 받는 판국에 봇이 그것도 대놓고 기계번역 사용이요? 옳지 못한 것 같습니다. --Y.S. (Suggesting, Location tracking) 2021년 12월 19일 (일) 19:40 (KST)답변
@용인 학생, Melon Tree: 그럼 다음사전에서 찾아서 다듬어서 적용하는 방식으로 바꿀까요? with HANsClickings (Locating Tracker) 2021년 12월 19일 (일) 22:57 (KST)답변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면 문제는 없겠습니다. 그러나 아직 작동되는 것 자체도 보지 못했는데, 어떤 방식이 좋고 어떤 방식이 별로인지 다른 사용자에게 묻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일단 작동하는 방식을 보고, 그 문제를 해결해야지, 뭐가 문제인지도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조언만 받는다고 끝날 일이 아닙니다. --White.t. 2021년 12월 19일 (일) 23:13 (KST)답변
@Whitetiger0423: 못보신게 당연하겠죠. 아직 계획단계고 , 그래서 이 토론을 만들었으니까요. with HANsClickings (Locating Tracker) 2021년 12월 20일 (월) 15:27 (KST)답변
@HANsClickings: 그니까, 당연히 못보는건데, 이 못본 상태에서 다른 사용자가 어떻게 적절한 문제점을 지적하냐는겁니다. --White.t. 2021년 12월 20일 (월) 15:44 (KST)답변
@Whitetiger0423: 전 이렇게 설명했었습니다.

이 봇이 만들어지면 어떻게 될지 여러분들의 생각을 알려주세요

— 이 문단 첫번째 글에서.

with HANsClickings (Locating Tracker) 2021년 12월 20일 (월) 16:31 (KST)답변

그래서 생각한 대로 얘기를 하긴 하는데, 아직 작동하는 것을 보지 못했으니 사용자들의 조언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는겁니다. 제가 한 말의 의도를 못 알아들으신건가요? --White.t. 2021년 12월 20일 (월) 22:01 (KST)답변
다른 언어판 이야기지만 일위백에서 기계번역 건으로 문제가 되었던 것으로 압니다. 또한 이력계승(번역된 문서 틀, 편집요약) 등은 어떻게 해결해야 할 건가요? --유미사카 (토론) 2021년 12월 20일 (월) 05:55 (KST)답변
@유미사카: 그부분은 다른 언어판과 비교해서 확인해야죠. with HANsClickings (Locating Tracker) 2021년 12월 20일 (월) 15:27 (KST)답변
그래도 한위백에서도 원 문서와 가져온 판을 표기하지 않는 이력 불계승 번역은 저작권 침해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일위백의 이력 불계승 번역 건도 비교적 최근에 생긴 일이에요. --유미사카 (토론) 2021년 12월 20일 (월) 16:57 (KST)답변
현재특수:내용번역이 있습니다. 🌊🐕👏 (토론) 2021년 12월 22일 (수) 20:18 (KST)답변
@물개박수: 적어도 지금 진행중인 토론의 주제가 뭔진 아시고 코멘트를 다는게 좋지 않을까요? 토론 제목만 읽고 하고 싶은 얘기만 하시는 거, 상당히 보기 안 좋습니다. --White.t. 2021년 12월 22일 (수) 20:30 (KST)답변

힘드네요[편집]

위태기 같아요. 위백 할 때 원래는 하나도 안힘들었는데 이젠 오히려 힘드네요 그래서 지금 한 1주일?정도 쉬었는데도 힘들어요. 슬럼프라는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닌것 같네요 ㅠㅠ --˗S.M ִֶָ☆ˊ 2021년 12월 19일 (일) 11:17 (KST)답변

위백은 의무가 아니니, 시간 나면 편하게 편집하세요 :) 그 누구도 위백을 안했다고 뭐라 하지는 않습니다 ;) --Y.S. (Suggesting, Location tracking) 2021년 12월 19일 (일) 11:20 (KST)답변


학교 문서에 관하여[편집]

이 내용에는 작성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담겨있습니다.

(여러 사용자의 의견이 필요합니다)  

제가 이 문단을 작성하게 된 건 천안시의 초등학교 문서를 편집하다 보니 문서들의 정리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아서입니다.


  • 학교 소개박스에 관해서

학교 소개박스에 있는 날짜(년월일), 교목, 교화전체에 파란 링크를 거는 경우 (예시: (대표로)천안초등학교)가 있는데 파란 링크를 거는게 문서마다 다 다릅니다. 아예 날짜에 거는 건 년도에만 걸건지 교목, 교화에는 링크를 걸지 않을건지..


  • 연혁 문단에 관해서

연혁 문단을 보면 대부분의 학교문서는 개교 년월일에만 파란링크를 걸어놓는데 년월일 전부다 파란링크를 걸어놓은 초등학교 문서를 봤습니다. 예시로 (대표로)천안미라초등학교처럼 연혁문단에 있는 모든 년월일에 파란 링크를 걸어도 될지,

(대표로)천안중앙초등학교같은 경우 연혁에 내용이 상세하게 적혀있는데 이렇게 적어도 될지,

대부분의 학교 문서들은 연혁문단에 날짜가 예시: 2021년 12월 19일 로 적혀있는데 (대표로)천안청수초등학교의 연혁문단을 보면 예시: 2021. 12. 19으로 되어있습니다. '년월일'로 쓰는게 나을지 '..'으로 쓰는게 나은지,

위 내용들과 다르게 (대표로)천안일봉초등학교의 연혁문단은 표로 작성이 되어있는데 학교 문서작성에 명확한 기준이 있는건지.


  • 미완성 목록 틀에 관해서

학교 문서 자체에 미완성 목록 틀을 달아야 할지도 궁금합니다. 대부분의 학교 문서들을 보면 학생수&교직원수가 대략 5년 전 기준으로 적혀있습니다.(10년 전 기준도 봤어요) 미완료 목록 틀을 달면 적어도 지금보다는 위키백과 사용자들이 최신 내용을 올려주지 않을까요?


  • 그 외

초등학교 내 병설유치원도 해당 초등학교에 내용을 써야하나요? (예시: (대표로)천안청수초등학교)제가 알기론 유치원, 어린이집은 문서가 없는(아닐수도)걸로 알고있습니다. 초등학교를 설명하는 문서에서 초등학교 내에 있는 유치원의 설립, 반배치, 졸업등을 연혁과 소개에 꼭 써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갤러리문단이 있는 학교문서를 봤습니다. (제 생각) 학교에 관한 사진은 학교 소개박스에 있는 1장으로 충분하지 않을까요? 갤러리 문단같은 경우 있는 경우보다 없는 경우가 더 많아서..


간추려서 설명하자면 문서별로 다 정리방법이 다르다는 겁니다. 학교 문서 작성 기준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제시되어있다면, 학교문서를 정리를 한다면 학교에 대해 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람들이 더 편하게 정보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이미 기준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다면 학교문서를 그 기준에 맞게 편집해야하지 않을까요..?

천안시에 있는 초등학교 문서만 해도 이정도인데 서울이나 부산 등 큰 도시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의견 제시 부탁드립니다. (쓰는데만 1시간 걸렸네요8ㅁ8) 하늘🦋 2021년 12월 19일 (일) 17:31 (KST)답변

일단 위키백과:학교_문서_생성자에게_드리는_말씀에 나와있긴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도 맞춤법 오료가 있어 봇으로 수정하고 있는 중이네요.. --Y.S. (Suggesting, Location tracking) 2021년 12월 19일 (일) 19:44 (KST)답변

문서 이동 페이지 개선 요청[편집]

영어 위키피디아에서 문서를 이동하니 en:MediaWiki:Movepage-moved처럼 편집자가 수행할 다른 작업들에 대한 안내를 해줍니다.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도 이와 같은 안내문이 추가되면 좋겠습니다. ――사도바울 (💬🧾) 2021년 12월 19일 (일) 19:14 (KST)답변

+또한 좌측 배너에 Print/Export가 번역되지 않은 채 영어로 출력되니 확인 부탁드립니다. ――사도바울 (💬🧾) 2021년 12월 19일 (일) 21:40 (KST)답변
Print/export 부분을 포함한 내용은 MediaWiki:Coll-로 시작하는 페이지들에서 다루고 있는데, 번역위키에서 보니 !!FUZZY!!로 되어있어서 수정을 하긴 했습니다. 영어로 표시되는 문제의 원인이 FUZZY 문제인지는 확실치 않습니다. 반영에는 시간이 소요되므로 다음 달 중순 넘어서도 문제가 지속된다면 파브리케이터에 보고해 주세요. (위키백과:사랑방 (기술)의 안내문 참고) 기술적 문제는 우선 이곳 일반 사랑방보다는 기술 사랑방에서 논의하는 것이 추후 이력 확인 시 도움이 됩니다. --ted (토론) 2021년 12월 21일 (화) 11:12 (KST)답변
감사합니다! 기술 사랑방은 깜빡했었네요. 혹시 문서 이동 페이지 개선안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사도바울 (💬🧾) 2021년 12월 21일 (화) 11:13 (KST)답변
한국어 번역이 제공되면 반영이 가능합니다. 물론 한국어 위키백과의 지침/정책, 그리고 최근의 공동체 논의와 상충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가능합니다. --ted (토론) 2021년 12월 21일 (화) 11:18 (KST)답변

위키백과 고민[편집]

(오랫만에 사랑방에 중국 본토 편집자 커뮤니티 이야기를 읽다가 고민하게 된 것에 대해 글을 써봅니다.)

정보전이란 네트워크에 접속된 컴퓨터의 관리자 패스워드를 알아내거나 이를 막아내는 것이 아니라, 열린 생태계를 가진 정보의 총합을 마사지하여 사람들의 의식을 조작해내는 일이 될 것 같습니다. 다음 아고라와 카카오톡 채팅방을 통해 선정적인 언어로 대중에게 깊은 인상을 주는 일을 일상으로 해왔던 한국인들도 이 싸움에서 결코 비전문가가 아닙니다. 어쩌면 전자게시판이 대중에서 소개되었을 때부터 늘상 키보드 배틀은 우리와 함께 있었습니다. 향후 몇 십년간 얼마나 많은 박사학위 논문이 이 주제를 다루게 될까 매우 궁금하기까지 합니다.

—- Now I found it is serious. More eyes are needed on ZHWP. But they said there is no evidence that Beijing government is related. Do you mean it is the same that ENWP has a systemic bias? And there is no neutral point of view? These are serious questions.

“[U]ntil September, the Foundation had only issued 86 bans since 2012, and typically only one at a time. Suddenly, the Foundation's bans and penalties had knocked out a third of the Chinese edition's administrators.”

https://www.fastcompany.com/90692176/chinese-wikipedia

케골(토론) 2021년 12월 19일 (일) 21:35 (KST)답변

재밌는 생각입니다. 후자의 경우는 산발적이지 어떤 구심점이 있지는 않은 것 같아서 '정보전'으로 간주하는건 살짝 어색하네요 ㅎㅎ 정보투(鬪)라 해야할까요 ――사도바울 (💬🧾) 2021년 12월 19일 (일) 21:42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