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사랑방 (기술)/2016년 10월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7년 전 (ㅂㄱㅇ님) - 주제: 서명 시간대
기술 사랑방
기술 사랑방
 2016년 10월 
새로 고침 / 보존 문서

ORES 도입[편집]

한국어 위키백과에도 m:ORES를 도입하면 어떨까요?--표리부동(D·C·L) 2016년 10월 2일 (일) 00:31 (KST)답변

해당 기능이 무엇이고, 한국어 위키백과에 도입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ted (토론) 2016년 10월 2일 (일) 11:07 (KST)답변
제가 영어를 잘 몰라서 탈이네요.--표리부동(P·D·C·L) 2016년 10월 2일 (일) 14:04 (KST)답변
무슨 기능인지 모르는데 그걸 왜 도입해야 하는지 이유도 듣기 어렵다면 도입 제안에 동의할 수 없네요.--커뷰 (토론) 2016년 10월 2일 (일) 15:01 (KST)답변
영어판 위키백과에서는 (한국어로 언어 바꾸면)베타에 이게 나오는데 거기에는 아래처럼 나와 있습니다.

ORES는 최근 바뀜과 주시문서 목록에서 잠재적으로 해로운 편집을 표시하는 인공지능 기반 도구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메타의 원문을 확인하면 되겠습니다.--표리부동(P·D·C·L) 2016년 10월 2일 (일) 17:46 (KST)답변

베타기능으로 도입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 Jeresy723 토론 · 기여 2016년 10월 6일 (목) 15:22 (KST)답변
@Jeresy723: 영어판 위키백과등에는 베타기능으로 도입되어 있습니다.--일반 문서 기여 1000회를 향하여!(P·D·C·L) 2016년 10월 10일 (월) 15:59 (KST)답변
미리보기가 있으면 좋을텐데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10월 10일 (월) 16:01 (KST)답변
간단히 설명을 드리자면 ORES는 이 편집은 문서 훼손인지, 선의의 편집인지, 되돌릴 필요가 있는지 자동으로 판단해 주는 시스템입니다. 한번 도입해 보면 편리한 기능 같습니다.--콩가루 (토론) 2016년 10월 19일 (수) 22:42 (KST)답변
우와, 좋네요. 그런데 잘못 판단할 가능성은 없나요? 어떤 기준으로 판단되는 것인가요? Nt 2016년 10월 19일 (수) 22:47 (KST)답변
시스템을 가동하기 전에 문서 훼손 편집을 골라내서 시스템에 넣어 두면 인공지능을 통해서 판단하는 시스템입니다. 잘못 판단할 확률도 존재하지만 미리 집어넣는 데이터 수를 늘리는 것으로 보완이 가능할 것 같네요. 사람도 실수를 하는 만큼 이 시스템을 참고 용도로 사용하는 것은 좋을 것 같아요. 자세한 원리는 m:ORES를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콩가루 (토론) 2016년 10월 19일 (수) 23:00 (KST)답변
네, 잘 읽어봐야겠네요. :) Nt 2016년 10월 20일 (목) 01:14 (KST)답변
도입에 동의합니다. — devict 2016년 10월 26일 (수) 00:00 (KST)답변

좋은 편집과 나쁜 편집에 대한 로그가 쌓여야 합니다. 단순 도입하면 문서 되돌리기라는 것만 판단할 수 있네요. 사전 데이터를 어느 정도, 어떻게 쌓는지 알아봤으면하네요. -- ChongDae (토론) 2016년 10월 26일 (수) 10:20 (KST)답변

서명 시간대[편집]

백:서명#서명 시간대에서 한국 표준시를 사용하는 것도 문제가 있습니다. --ㅂㄱㅇ (토론) 2016년 10월 4일 (화) 20:08 (KST)답변

@ㅂㄱㅇ: 그러니까요. 한 때는 서명 시간대에 협정 세계시가 적용된 적도 있었는데요... --Jason6494 (討論 | 寄與) 2016년 10월 5일 (수) 09:26 (KST)답변
서명 시간대에 한국 표준시를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어짜피 세계 표준시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중립적인 시간대라는 것은 없습니다. 영국이 세계의 중심이 아니고, 영국 시간대가 중립적인 것은 아닙니다. 결국 특정 시간대 하나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데, 한국어 사용자의 대부분이 거주하는 지역의 시간대를 선택한 것이므로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얼마 전 북한 시간대가 30분 늦어졌는데, 변경 의견을 낼 수는 있겠지만, 토론을 통해 서명 시간대를 30분 늦추자는 총의를 모으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16년 10월 7일 (금) 00:24 (KST)답변
@Asadal: 글쎄요? 물론 '중립적인 시간대'라는 게 존재하지 않기는 합니다만 UTC는 국제 표준어이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UTC가 '그나마 중립적인 시간대'인 것 같습니다. 본래 한국어판에서도 한 때 UTC를 사용했었죠? --Jason6494 (討論 | 寄與) 2016년 10월 7일 (금) 14:56 (KST)답변
한 때 UTC를 사용했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현재 한국 표준시를 사용하고 있는 이유도 존재 하겠죠. 타 언어 위키백과의 경우에도 UTC를 쓰는 경우는 없습니다. 또한 윗분 말씀처럼 세계가 정한 표준시라는 건 애초에 존재하지도 않기 때문에 UTC를 사용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 Jeresy723 토론 · 기여 2016년 10월 7일 (금) 19:50 (KST)답변
UTC협정 세계시입니다. 이는 국제 표준시이기 때문에 중립적인 시간대일 것입니다. 그렇지만 KST(한국 표준시)를 쓰는 나라는 대한민국 밖에 없습니다. (UTC+9라는 동일한 시간대를 쓰는 데는 또 있습니다만) 그러므로 대한민국에 살지 않는 사용자가 괄호 안에 있는 KST를 보고 어느 시간대인지 알기가 쉽지 않습니다. 또한 다른 언어 위키백과 9개(ar:, en:, es:, id:, ms:, pt:, ru:, ur:, zh:)를 확인해 본 결과 이는 모두 UTC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ㅂㄱㅇ (토론) 2016년 10월 7일 (금) 22:30 (KST)답변
UTC를 사용하는 언어판은 매우 많습니다. ㅂㄱㅇ님이 제시한 언어판 외에도 일본어판, 싱할라어판, 고트어판 등이요. --Jason6494 (討論 | 寄與) 2016년 10월 8일 (토) 09:53 (KST)답변
애초에 UTC가 KST로 바뀌어진 것부터가 의문일 따름입니다. 위키백과토론:대문/보존문서1 여기를 보니 2005년만 해도 UTC가 사용되고 있었군요. --Jason6494 (討論 | 寄與) 2016년 10월 8일 (토) 09:56 (KST)답변
@ㅂㄱㅇ, Jason6494: UTC가 아닌 시간대를 서명에 사용하는 언어는 많습니다. 상위권 위키백과 중에도 독일어, 프랑스어, 폴란드어, 이탈리아어, 네덜란드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카탈루냐어 등이 CET/CEST(중부유럽시간)을 서명으로 쓰고 있습니다.-- ChongDae (토론) 2016년 10월 10일 (월) 13:45 (KST)답변
참고로 실 서버의 서명 시간대는 InitialiseSettings.php의 wgLocaltimezone 변수로 설정되고 있습니다. 엄밀하게는 독일어판은 베를린 시간, 프랑스어판은 파리 시간, 폴란드어판은 바르샤바 시간, ... 등이네요. 한국어판은 "서울 시간".(Asia/Seoul)-- ChongDae (토론) 2016년 10월 10일 (월) 13:55 (KST)답변
(편집 충돌) 바꿔야할 필요성을 일체 못느끼겠습니다. 일본어 같은 경우에도 UTC를 쓰는 이유를 이해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한국어 위키백과 이용자 중 대한민국 거주자가 대다수라는 것은 딱 봐도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더군다나 KST라 표기까지 되어있는데요. 편의상 KST를 사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위에 ㅂㄱㅇ 사용자께서 KST가 어느나라 시간대인지 모를 수 있다 하셨는데 대다수 사용자가 모르면 찾아보겠지요. 정 아니면 KST에 한국 표준시로 넘어가도록 링크를 삽입하는 방안도 있겠고요. 단순히 모른다는 이유만으로 UTC를 쓰기엔 무리가 있다보네요. 되려 KST에 적응되어 있는 한국어권 사용자에게 갑자기 UTC를 쓰라는게 더 혼란이 큽니다. 무엇보다 다른 언어판에서 UTC쓴다고 한국어 위키백과가 따라야할 의무는 없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10월 10일 (월) 13:57 (KST)답변

@ㅂㄱㅇ, Jason6494, Jersy723, ChongDae: 기술적인 부분으로 판단해서 토론 공간을 이쪽으로 옮겼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10월 10일 (월) 14:07 (KST)답변

@양념파닭: 단순히 많다는 이유만으로 서명 시간대까지 KST로 쓰면 안되죠. 그럼 나머지 소수는 무시당해도 되는 겁니까? 위키백과 같은 글로벌 커뮤니티가 그런 한국주의적 정신을 가져서야 되느냔 말입니다. --Jason6494 (討論 | 寄與) 2016년 10월 10일 (월) 15:00 (KST)답변
귀하는 맨날 그런식의 의견밖에 제시하지 않더군요. 그럼 당연히 다수를 따라야죠. 되려 소수를 따라야하는 이유는 뭡니까? 소를 위해 대를 희생하자는 겁니까? 억지로밖에 안보이네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10월 10일 (월) 15:37 (KST)답변
그리고 중립 좋아하시던데 UTC는 표준이지 중립이 아니에요. 정확히 구분부터 하세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10월 10일 (월) 15:38 (KST)답변
덧붙여서 위키에서 중립이란, 문서에 중립적인 의견을 서술하라는거지 토론 시스템 까지 중립 지키라는게 아닙니다. 편의성까지 재쳐가면서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10월 10일 (월) 15:40 (KST)답변
다수and소수 모두가 편리한 방법이 좋겠죠. UTC가 그런 경우입니다. 그리고 표준 시간대가 "그나마 제일 중립적"이지 않겠습니까? 그리고 제가 정책 100% 따를 것 같으면 바로 수정해내지 굳이 사랑방까지 들어와서 총의를 열겠습니까? --Jason6494 (討論 | 寄與) 2016년 10월 10일 (월) 15:50 (KST)답변
대체 어딜봐서 다수가 UTC를 편리하게 생각합니까? 일상생활에서 UTC 쓰는 사람 보셨어요? 영문권이야 미국뿐만 아닌 영국 등등 여러 나라에 영어가 퍼져있으니 당연히 UTC를 쓰는게 맞겠지만(그쪽 문화권은 표기할떄도 UTC 많이 사용하죠.) 한국어의 경우 실질적으로 북한을 제외하고는 오직 대한민국뿐만이 공용어로 채택해서 사용하는데요. 한국에서 시간 표기할때 UTC로 표기하는 경우 한 번도 못봤습니다. 대체 어딜봐서 UTC가 편리합니까?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10월 10일 (월) 15:52 (KST)답변
애시당초 서명에 시간 표기하는 주목적이 편리성입니다. 글 적은 사람이 언제 적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하는게 시간 표기 시스템의 주목적이란 말입니다. 그런데 편리하지도 않은 UTC로 교체하자고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10월 10일 (월) 15:53 (KST)답변
한국 표준시를 쓰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일반 문서 기여 1000회를 향하여!(P·D·C·L) 2016년 10월 10일 (월) 16:01 (KST)답변

이건 새로운 제안인데 특수:환경설정#mw-prefsection-rendering에서 자신이 설정한 시간대로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은 어떨까요? --ㅂㄱㅇ (토론) 2016년 10월 10일 (월) 17:21 (KST)답변

@양념파닭: 한국어 위키백과잖아요. 한국의 위키백과입니까? 한국 위키백과입니까? 오직 한국인만 편하면 다 되는 버전의 위키백과입니까? 아니잖아요. 한국어 위키백과잖아요. 한국어. 아무 의미 없습니다. 단지 한국어로 된 위키백과라는 뜻 뿐입니다. 근데 왜 한국 기준을 적용시키려 하십니까? 한국에서 시간 표기할 때 UTC로 표기 안 하든 어떻든 그건 한국이라는 국가 사정이고 이곳은 한국어 위키백과입니다. 중립을 위해서라도 UTC를 써야합니다. 편리한 건 한국이라는 국가에서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이나 같은 UTC+9 시간대를 사용하고 있는 국가(ex.일본)에 거주하는 사람들 이고요. --Jason6494 (討論 | 寄與) 2016년 10월 11일 (화) 14:47 (KST)답변
@Jason6494: 단지 한국어로만 된 위키백과라고 하기에는 한국어권 사용자가 무수히 많습니다. 다시 말해 외국권 사용자가 한국어 위키백과의 문서를 보거나 토론 시간을 확인하는 경우는 희박하다는 거죠. 그런데도 굳이 왜 UTC를 써야합니까? 단순 정책 때문이요? 사회는 다수결의 원칙으로 흘러가고 그 다수에 맞추어서 법(정책)도 변하는 법입니다. 그런데 귀하는 다수의 존재를 부정한 체 소수의 편리만 추구하시네요. 이렇게 실질적이지도 않고 아무런 이득이 없는 정책을 굳이 시행해야하는 이유를 중립성을 제외하고 말씀해주세요. 항상 정책을 시행하는 데는 한가지 이유만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 Jeresy723 토론 · 기여 2016년 10월 11일 (화) 16:57 (KST)답변
그냥 말이 안통하네요. 저 위에 백:중립은 일반 문서 서술에만 해당 되는 거라 말했을텐데요? 억지좀 그만 부리시죠?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10월 11일 (화) 17:02 (KST)답변
KST 대신에 UTC를 사용하는게 다수/소수 모두를 만족시키는 결과라고 결코 생각되지 않습니다. 게다가 중립적인 시간이라는 개념 자체가 이해가 가지 않네요. 누구 입장에서 중립인것인지..? 한국어 위키백과는 한국 위키백과가 아니라는 말씀은 알겠는데, 반대로 한국어 위키백과는 외국인들이 항상 열람하며 (한국기준에서) 외국인 독자를 대상으로 한 보여주기용 백과사전이 아닙니다. 중립적이라는 것이 문서 자체를 중립적인 서술하라는 의미 아닌가요? 왜 편집자의 절대 다수가 한국어권 사람들로 추정되는 이 한국어 백과사전에서 한국 외 시간대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Tablemaker  2016년 10월 12일 (수) 21:39 (KST)답변

한국어권 사람들로 추정되는 이 한국어 백과사전에서 한국 외 시간대를

추정되는? 확실한 증거를 제시해 주십시오. --Jason6494 (討論 | 寄與) 2016년 10월 13일 (목) 14:58 (KST)답변
한국어 문서를 보면 한국어 구사자는 약 8천 5백만명,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서를 보면 이미 한반도에만 7천 3백만명 거주중입니다. 근거됐나요? 한국어 구사자 중 85퍼센트 정도가 한반도에 살겠네요! 한국어구사자들이 위키백과 편집할때만 해외에서 로그인해서 편집한다는 식의 궤변을 하진 않으시겠죠? 차라리 그럼 KST에 PYT를 추가하시죠 이게 더 귀하가 말씀하신 중립에 가까운것 같은데요. 반박하는 사람에게 근거나 제시하라고 하지 마시고, 무조건 소수를 배려해야 한다는 무근거, 무논리적인 말을 하지 마셔야죠. UTC를 제안하실 거면 UTC의 도입으로 인한 실효성이나 기존 KST 사용자들이 전혀 불편하지 않을 것이라는 근거부터 들고 오셔야지, 일방적으로 주장만 하시면서 무슨 토론을 이렇게 한답니까.  Tablemaker  2016년 10월 13일 (목) 20:30 (KST)답변
@Jason6494: 위 질문과는 별개로, 제가 위에서 말씀드린 다수의 존재를 부정한 체 소수의 편리만 추구하시는 이유와 UTC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를 중립성을 제외하고 말씀해주세요. -- Jeresy723 토론 · 기여 2016년 10월 13일 (목) 15:34 (KST)답변
@Jeresy723, Tablemaker, 양념파닭: 참고로 전 서명 시간대 UTC 사용하자고 제안한 것 뿐이지, 실제로 서명 시간대에 KST 사용하는 거 문제 제기한 건 저가 아닙니다. 본래 서명 어쩌고하는 말은 ㅂㄱㅇ님이 먼저 하셨음을 기억해 주세요. --Jason6494 (討論 | 寄與) 2016년 10월 14일 (금) 15:03 (KST)답변

그러니까요. 한 때는 서명 시간대에 협정 세계시가 적용된 적도 있었는데요...

글쎄요.. 본인도 분명 위 의견에 수긍하셨을텐데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10월 14일 (금) 15:15 (KST)답변
그리고 KST 사용하는 것에 문제가 없다면서 왜 UTC를 고집합니까? 분명 UTC는 중립이 아닌 표준이라 했을텐데요. 반박을 충분히 했는데도 계속 UTC쓰자고 같은 논리로 우기는건 뭐하자는 건지요? 소모전이라도 하실 의향이십니까?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10월 14일 (금) 15:16 (KST)답변
찾아보니까 반박했음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로 계속 물고 늘어지는것은 백:방해 편집 위반으로 나오네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10월 14일 (금) 15:26 (KST)답변
질문 회피하지 말고 대답 제대로 하세요. 결국 귀하께서 신랄하게 반박측을 재반박하셨으니, 최초제안자가 이시점에서 의미가 있습니까? 1. 유저의 대다수가 논리적으로 한반도에 거주할 것이라고밖에 생각되지 않는데, 왜 UTC가 KST로 바뀐것이 그렇게나 의문인지? 2. 실제로 님께서도 대한민국에 거주중으로 보이십니다만은, 왜 소수에 입장을 "상상"해서 그들이 현재 무시당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누가 어떻게 무시했는지 그 주체부터 명확히 해주시죠. 3. 어떻게 해석하면 KST사용이 한국주의적인 표현이 되어 백:아님#국가에 저촉되는 행위가 되는것인지? 4. 현행 KST가 실효성, 장점 따위가 전혀 없는지? 5. KST의 장점이 있다면 그 전부 장점을 버리고서라도 UTC를 고집할만한 매리트가 있는지? 6. 분명히 제가 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6년 제38주에서 "참나 어이가 없네요"같은 발언 주의하라고 언급했습니다만은, 여기서 ㅂㄱㅇ님의 발언을 '어쩌고' 따위로 표현한 경위에 대해서도 좀 알고 싶군요. 분명 말조심 하라고 했는데요.  Tablemaker  2016년 10월 14일 (금) 21:37 (KST)답변

특수:환경설정#mw-prefsection-rendering에서 자신이 설정한 시간대로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은 어떨까요?
— 사용자:ㅂㄱㅇ 2016년 10월 10일 (월) 17:21 (KST)

문서역사, 최근바뀜, 주시문서목록 등에서는 자신이 설정한 시간대로 날짜와 시각이 나타나는데 서명은 그렇지 않아서 서명의 경우도 자신이 설정한 시간대로 날짜와 시각이 보이도록 하면 KST 사용자와 비 KST 사용자 모두에게 편리할 것입니다. --ㅂㄱㅇ (토론) 2016년 10월 14일 (금) 19:17 (KST)답변

서명은 그 서명과 날짜가 텍스트로 써져 저장이 되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자신의 입맛대로 날짜와 시각이 보이게 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해보입니다. -- Jeresy723 토론 · 기여 2016년 10월 15일 (토) 09:59 (KST)답변
@Jason6494: 이제와서 책임 회피하지 마시고 위 Tablemaker님 질문에 답하세요. 뭐 아님 주장이 잘못되었다고 인정하시던지요. -- Jeresy723 토론 · 기여 2016년 10월 15일 (토) 10:15 (KST)답변
@Jeresy723: 백:루아를 사용하면 가능할 것 같습니다. --ㅂㄱㅇ (토론) 2016년 10월 15일 (토) 10:53 (KST)답변

@Jason6494: 더 이상 의견 없으면 현행 유지로 닫겠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10월 18일 (화) 15:57 (KST)답변

@양념파닭: 닫는다는 게 어떤 걸 말하나요? --ㅂㄱㅇ (토론) 2016년 10월 18일 (화) 17:38 (KST)답변
서명 시간대와 자신이 직접 설정한 다른(역사, 주시문서, 최근바뀜 등) 시간대의 시간이 다를 경우 서로 혼동되어서 불편한 경우가 있습니다. --ㅂㄱㅇ (토론) 2016년 10월 18일 (화) 17:43 (KST)답변

시간대를 UTC로 바꾼다면, UTC+9에 거주하는 사용자들은 매번 토론을 볼 때마다, 9시간을 더해서 계산하는 수고를 들여야합니다. 그 뿐만이 아닙니다. 한국어 화자는 유럽 뿐 아니라 북아메리카 중국 등 여러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데, UTC로 변경해도 북미지역 사용자는 여전히 시차 계산을 해야합니다. 정확하게는 서명 시각이 자신의 시간대와 일치하는 화자를 제외한 모든 사용자는 시간 변환의 불편을 감수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나마 KST는 그러한 변환의 불편을 감수해야할 사용자가 적습니다. UTC로 변경하게 되면 UTC+0인 사용자는 불편을 덜겠지만, UTC+9인 사용자에게 계산의 부담을 주겠네요. 누구를 위한 서명 시각 변경입니까? --이강철 (토론) 2016년 10월 19일 (수) 20:22 (KST)답변

@이강철: 그래서 제가 자신이 직접 설정한 시간대로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안한 겁니다. --ㅂㄱㅇ (토론) 2016년 10월 20일 (목) 16:32 (KST)답변
글쎄요. 그러면 결과적으로 현재 텍스트 기반인 서명에 사용자의 현재 시간과 서명한 사용자의 시간을 비교하고, 그걸 출력하는 코드가 들어가야하는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그러한 추가는 배보다 배꼽이 큰 상황이라고 밖에 생각되어지지 않네요. --이강철 (토론) 2016년 10월 20일 (목) 17:45 (KST)답변
서버가 아닌 웹브라우저 쪽에서 자바스크립트로 충분히 짤 수 있어 보입니다. 도전해보실 분?? -- ChongDae (토론) 2016년 10월 20일 (목) 17:51 (KST)답변
다수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소수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결할만한 멋진 해결책이 나오길 기대합니다. :) --이강철 (토론) 2016년 10월 20일 (목) 20:49 (KST)답변
자바스크립트로 했을 때 만일 개인 컴퓨터의 시간 시스템에 문제가 있을 때 서명에도 문제가 있는 시간대 그대로 출력되는 문제가 있지 않을까요? 아예 서버측에서 다 뜯어고쳐서 수정할게 아니라면 그냥 이대러가 가장 좋습니다. 이런 토론이 올라왔다는 거 자체부터가 아이러니합니다. 무엇보다 정작 발제자께서는 암말도 없이 잠수 타셨네요. 그냥 토론 닫는게 좋지 않나 싶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10월 20일 (목) 20:54 (KST)답변
오늘 16:32까지 계속 의견 내주시고 계셨는데요. 그리고 다른 시간대 사용자들의 번거로움을 해소해보고자 하는 시도 자체는 선의로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강철 (토론) 2016년 10월 20일 (목) 20:56 (KST)답변
아 착각했네요. 발제자는 다른분이셨군요. Jason6494 사용자로 정정합니다. 발제자는 아니지만 거의 발제자 수준으로 이 토론에 참여한 사용자입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10월 20일 (목) 20:58 (KST)답변

의견 일단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시간대를 UTC+0로 변경하는 것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사용자가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대신에 시간대가 다른 사용자에게 불편을 덜어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는데도 이견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위에 논의했던 것이랑은 방향이 달라지는데요. 이쯤에서 토론을 닫고 새로운 토론에서 아이디어와 의견을 모아보는게 어떨까합니다. 다른 분들의 의견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좋은 장소가 있을까요? 기술적 논의이면서 동시에 서명 시각과 관련된 건이긴 합니다. --이강철 (토론) 2016년 10월 20일 (목) 20:53 (KST)답변

jason 편집자의 의견은 전혀 공감할 수 없으나, ㅂㄱㅇ 님의 의견은 타당하다고 생각됩니다. 각 사용자에게 서명이 달리 보여질수만 있다면 문제가 전혀 없어보이고,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합니다.  Tablemaker  2016년 10월 23일 (일) 14:14 (KST)답변
@Tablemaker:

jason

jason이라... Jason6494입니다. 왜 제 계정명을 줄여 부르시는거죠? Jason으로 시작하는 사용자 많습니다. --Jason6494 (討論 | 寄與) 2016년 10월 24일 (월) 15:01 (KST)답변
편의를 위해서요. 이 토론에 참여한 사용자중 jason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는 사람이 귀하 이외에 또 있는지요? 저를 테이블메이커라고 부르셔도 상관없습니다. 다만 위에의 질의는 깡그리 무시하고, 본제와 크게 상관없는 부분에는 바로 응답하시는지 이유를 알 수 없군요. Tablemaker (토론) 2016년 10월 24일 (월) 15:06 (KST)답변
필명 축약이 불쾌하셨다면 사과드리겠습니다만은, 서명 시간대와 1%도 관계가 없습니다. 이 문제에 대해서 불쾌하시거나 하실 말씀이 있으시다면 제 토론란에 사적으로 말씀하시겠습니까? 이 토론과 아무 관계 없으니까요. Tablemaker (토론) 2016년 10월 24일 (월) 15:09 (KST)답변

참 황당하기에 짝이 없는 주장이네요... 호로조 (토론) 2016년 11월 10일 (목) 19:50 (KST)답변

KST가 그렇게 불편하다면 소도구에 가서 UTC 시각을 추가하는 방법, 아니면 각자 사용자 하위 문서의 common.js에 자신에게 맞는 시계를 위에 추가하는 방법도 있겠네요. 다수의 불편을 굳이 만들어야 할 이유가 있나 싶습니다. 이런 토론을 굳이 해야할 필요가 있나 싶네요. --SVN (토론) 2016년 11월 14일 (월) 16:57 (KST)답변

@SEVEREN: 하지만 그 방법이 서명 시각을 자신에게 맞는 시간대로 보여주지는 않습니다. --ㅂㄱㅇ (토론) 2016년 11월 26일 (토) 20:51 (KST)답변

컴퓨터에서만 뜨는 사이드바 모바일에선[편집]

위키벡과 PC 버전에서 표시되는 사이드바가 모바일에서 표시되도록 하는건 원래 불가능한지요. 가능하면 더 편할것 같다고 생각이 듭니다. 사실 이 외에도 PC 버전에선 표시되지만 모바일 버전에선 표시되지 않는 기능들이 많아서 종종 불편을 겪기도 합니다. --Fnvedgnve (토론) 2016년 10월 12일 (수) 16:58 (KST)답변

@Fnvedgnve: 백:둘러보기 상자도 그러고요. 불편한 것 같습니다. 왜 모바일에서 안 보이게 해 놨는지 모르겠습니다. --ㅂㄱㅇ (토론) 2016년 10월 16일 (일) 18:36 (KST)답변


The Wikimedia Developer Summit wants you[편집]

The Wikimedia Developer Summit is the annual meeting to push the evolution of MediaWiki and other technologies supporting the Wikimedia movement. The next edition will be held in San Francisco on January 9–11, 2017.

We welcome all Wikimedia technical contributors, third party developers, and users of MediaWiki and the Wikimedia APIs. We specifically want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volunteer developers and other contributors dealing with extensions, apps, tools, bots, gadgets, and templates.

Important deadlines:

  • Monday, October 24: last day to request travel sponsorship. Applying takes less than five minutes.
  • Monday, October 31: last day to propose an activity. Bring the topics you care about!

More information: https://www.mediawiki.org/wiki/Wikimedia_Developer_Summit

Subscribe to weekly updates: https://www.mediawiki.org/wiki/Topic:Td5wfd70vptn8eu4

MKramer (WMF) (talk) 2016년 10월 15일 (토) 04:07 (KST)답변

Editing News #3—2016[편집]

2016년 10월 16일 (일) 02:49 (KST)

efn-ua 틀 사용할 때 발생하는 오류에 대해서[편집]

최근 'Notelist-ua'(내용),'각주'(출처)틀 쪽에다 각주를 몰아서 쓰고, 필요한 곳에서 각주이름(name)을 불러오는 방식으로 편집하고 있습니다.

일반 출처각주(<ref></ref>)는 별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데 틀:efn-ua를 활용하여 내용에 대한 각주를 더할 때, 2개 째에서 오류가 납니다. (특수:차이/17441679)

인용 오류: <references> 안에 정의된 ".EB.AC.B8.ED.99.94.EC.9E.AC.EC.B2.AD"이라는 이름을 가진 <ref> 태그가 위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각주가 들어갈 위치로 efn-ua틀을 옮겨 적으니 일단 작동은 됩니다.(특수:차이/17441680)

해당 편집에서 단순한 문법오류로 이 문제가 발생한 것인지, 틀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 원인을 알 수가 없습니다. 이리저리 바꾸어 입력해보아도 도통 해결이 되지를 않습니다. 이 부분에 대하여 아시는 분의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 메이 `토론 2016년 10월 21일 (금) 10:09 (KST)답변

문법에는 문제가 없고, 파서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지금은 그냥 현재 상태대로 쓸 수 밖에 없겠네요. phabricator:T22707--Namoroka (토론) 2016년 10월 29일 (토) 18:17 (KST)답변
그렇군요. 우선 현재 상태에 맞추어 사용해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메이 `토론 2016년 11월 2일 (수) 21:23 (KST)답변

틀 훼손[편집]

최근 '슉슉이' 관련으로 훼손이 자주 들어오면서 다음과 같은 검색이 되고 있습니다. 일반 사랑방에서 밝혔듯이, 특수한 틀이 훼손된 것으로 보이는 만큼, 확인하여 조치를 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맵핵켜는 네오알파 (토론) 2016년 10월 24일 (월) 15:10 (KST)답변

캐시 처리 완료했습니다. --ted (토론) 2016년 10월 24일 (월) 16:41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