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5년 제50주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반 사랑방
2015년 제50주
2015년 12월
49 30 1 2 3 4 5 6
50 7 8 9 10 11 12 13
51 14 15 16 17 18 19 20
52 21 22 23 24 25 26 27
53 28 29 30 31 1 2 3


영어 위키 일을 끌고 오는게 맞는지 모르겠지만[편집]

영어 위키백과의 en:GFriend 문서에 사진을 File:여자친구(GFRIEND) 러시아 문화 페스티벌 인천 연안부두 해양광장 18.jpg으로 교체하였습니다. 그런데 한국어 및 기타 위키에서는 문제가 없었는데 유독 영어위키에서는 무언가 문제가 있는지 되돌려졌더군요. 토론란에 라이센스 어쩌고라고 적혀는 있는데, 영어 실력이 부족하여 정확한 글의 요지를 파악하지 못하겠습니다. 혹시 영어 위키쪽에 대해 잘 아시는 분 중에서 설명 가능하신분 계신가요? 자세한건 en:User talk:양념파닭 여기 참고 바랍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2월 7일 (월) 12:28 (KST)답변

제 생각에는 그냥 사진이 마음에 안 든다거나 실수로 메시지를 잘못 남긴 것 같네요. 토론란에 남긴 글이야 직접 입력한 게 아니라 복붙해서 넣는 말이니까요. 사진도 기존에 있던 사진이 양념파닭님이 넣은 사진보다 더 크고 선명해서 되돌렸을 수도 있고요.--Namoroka (토론) 2015년 12월 7일 (월) 21:44 (KST)답변

위키백과 실망이네요.[편집]

한 헤비급 유저한테서 나무위키에서 적으라는 말 듣고 충격받았네요. 너는 위키백과 참여하지 말라는 뜻? 네 오랜만에 들어왔는데 이런소리 들으니 굳이 참여할 필요성 없겠네요. 당분간 활동 안해야겠습니다. -- Sohosanna (토론) 2015년 12월 8일 (화) 18:12 (KST)답변

좀 더 어떤 상황인지 자세하게 말씀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최근 위키백과가 신경쓰고 있는 Harashment 관련해서 중요한 사례가 될 것 같습니다. - Ellif (토론) 2015년 12월 11일 (금) 02:51 (KST)답변
조선대학교 문서 내의 사건사고에 조선대 의전생 데이트 폭력 사건에 대해서 짤막하게 적을려고 했습니다. 문서를 새로 만든 것도 아니고, 문서 내의 사건사고에 적을려고 했습니다.. 큰 사건이지만 위백에서는 사건사고문서 요즘 삭막하게 바뀌었기에..... 근데 커뷰라는 작자가 이유없이 되돌림하더니 나중에 "병크"란 말 때문에 되돌린거라고 하더라구요. 병크란 말을 지우면 될 일 가지고 나중에 나무위키에 가서 적어라라는게 말이 됩니까? -- Sohosanna (토론) 2015년 12월 13일 (일) 08:47 (KST)답변
어떤 학교에서 어떤 사건이 발생했다고 그 사건을 학교 문서에 기술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어떤 학교라도 세간의 주목을 받는 사건이 장기적으로 한 두 건이 아닐 텐데 그것들을 모두 학교 문서에 기술해야 할까요? 세간의 주목을 받는 일이 생기면 특정 문서에 그 내용을 기술하려는 분들이 가끔 보이던데 과연 백과사전에 기술할 가치가 있는 내용인지 먼저 고려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Hwarotbul (토론) 2015년 12월 13일 (일) 13:22 (KST)답변
참고로 저는 해당 내용이 되돌려진데 찬성합니다. 비록 Sohosanna님께서 수고스럽게 작성하셨겠지만, 해당 내용은 조선대학교 문서에 기술할 만한 가치가 없다고 봅니다. --Hwarotbul (토론) 2015년 12월 13일 (일) 13:25 (KST)답변
제가 괜히 답변드렸나 보군요. 어찌되었건 당분간은 한국어 위키백과 편집 쉽니다. --- Sohosanna (토론) 2015년 12월 13일 (일) 20:44 (KST)답변
적절한 편집에 실망하셨군요. 나무위키 가시는게 맞을 것 같네요. --Neoalpha (토론) 2015년 12월 13일 (일) 20:46 (KST)답변

의견 조선대 의전생 폭력 사건은 언론에 중요하게 보도된 사건으로서 충분한 기재가능성을 갖추고 있고, 데이트폭력과 관련해 주요 사례로 기술될 수 있는 내용이었습니다. 학교 문서뿐만이 아니라 다른 문서나 심지어 개별 문서로도 게제될 수 있던 이 사건을 충분한 논의 없이 되돌리기 하고 괴롭힘 한 것은 정당한 편집행위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하며, 개인적으로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내 괴롭힘 사건으로 판단합니다. 이 편집을 살려볼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도록 합시다. - Ellif (토론) 2015년 12월 14일 (월) 03:36 (KST)답변

출처 필요 틀의 남용[편집]

안녕하세요. 최근 위키백과 문서들을 정비하던 도중 상당수의 문서에서 '과도한 출처 필요 틀의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구하고자 합니다.

본디 출처 필요 틀은 말 그대로 '출처가 없어서 문서의 내용에 대한 사실 여부를 검증할 수 없는 경우'에 추가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전부터 몇몇 사용자들에 의해 '정상적인 출처가 기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광범위한 문서에 출처 필요 틀이 추가되고 있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해당 문서들의 수가 상당히 많은 관계로 혼자서 모든 문서들을 검증 가능한 수준이 아닌지라 다른 분들의 도움을 구하고자 합니다.

게다가 최근 추가되고 있는 새 문서 중 상당수가 처음 만들어질 때부터 {{출처 필요}}를 부착한 상태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위키백과는 확인 가능 정책을 바탕으로 문서가 구성되므로 처음부터 '검증 불가능한 상태의 내용'을 바탕으로 문서를 작성하는 것은 이를 위반한 것이 되며, 해당 문서들을 확인한 결과 위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확인 가능한 출처가 기재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출처 필요 틀을 남용한 경우'에 속하는 것들이 많아 정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에 제가 해당 문서들을 편집한 사용자에게 두어 차례 의견을 남겼으나 이것이 제대로 시정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되어 사랑방에 의견을 올립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12월 9일 (수) 00:29 (KST)답변

저도 과도한 출처 필요 틀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서술이 출처를 필요로 하는지 적시하여 다른 사람들의 보강을 요청해야 의미있는 일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런데, 설명하신 부분중에 오히려 위키백과에 경직성을 더 가져올까 걱정이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정말 위키백과의 모든 서술이 처음부터 확인 가능한 서술들만 모아져서 그렇게 되었을까요? 그리고 실제로 모든 편집이 출처를 제시하면서 이루어지고 있나요? 다시 질문을 바꾸어 드리면 현재 모든 위키백과의 모든 문장이 출처를 제시하고 있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무리하게 출처를 요청하는 것은 위키백과 편집에 담을 쌓아 올리는 어리석은 일입니다. 초보자들이 위키백과에 와서 자신들이 알고 있는 지식을 한 두 문장 삽입하는 것은 언제나 가능해야 합니다. 그들이 출처를 표시하는 방법을 알고 있건 모르건 관계없이 가능해야 합니다. 그러나, 그 서술이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있고, 또 다른 어떤 이에게 논박하고 싶은 마음을 불러 일으키게 되면 출처가 요청되는 것입니다. 위키백과는 어느 누구나의 머리 안에 들어있는 지식이든 간에 수용할 수 있는 열린 분위기를 만들어야 합니다. 다른 어떤 사람들이 그 서술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위키문서 편집과정을 통해서 정제되는 것이 자연스럽지요. --케골 2015년 12월 9일 (수) 10:41 (KST)답변
보면 BIGRULE님이 말한 것처럼 모든 사용자가 그런 것은 아니고 특정 사용자에 의해서 저런 틀이 붙어서 생성되는 경우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이럴 때는 편집필터를 이용해 문서를 처음 생성할 때 위 틀이 붙어있으면 문서가 생성되지 않게 할 수 있지 않나요?--커뷰 (토론) 2015년 12월 9일 (수) 18:40 (KST)답변
처음 위백에 입문하게 만든 모 문서가 생각나네요. 당시 딸랑 한 줄 문장으로 새문서를 만들었는데, 당연히 출처니 뭐니 개념은 없었죠. 당시 분류를 붙이는 것이나 링크 다는 법, 몇 마디 짧은 격려를 주셨던 두 분이 생각납니다.(두 분 모두 본인 의사로 여기를 떠나셨지만요) 그 때 출처 틀이나 삭제신청 틀이 달렸으면 아마 위백은 제 생활과 관계가 없었을 것입니다. 출처 틀이 달리지 않는다고 하여 타 위키의 일상용품 등에 대한 문서의 공신력을 부정하는 사람들을 별로 못 봤습니다. 오히려 내용이 많고 자주 수정이 되면서 출처라는 형식보다 그 자체로 검증이 되어가더군요. 하나를 얻고 열을 잃는 게 아닌가 합니다. 출처제시가 위백의 신뢰성을 담보하는 장치가 맞기는 하나, 필요없는 곳까지 과도하게 요구하여 틀을 붙이는 것은 지양했으면 합니다.--Ta183ta (토론) 2015년 12월 10일 (목) 15:56 (KST)답변

잠시 토론을 신경쓰지 못하는 사이 많은 분들이 의견을 남겨주셨군요.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다만 제가 글을 제대로 정리하지 못한 탓인지 논의의 흐름이 제가 본질적으로 이야기하고 싶은 부분과는 약간 어긋나고 있는 것 같아 다시 정리하고자 합니다.

일단 저 또한 (특히 초보 편집자를 배려하는 차원에서) 과도한 출처 제시를 지양해야 한다는 의견은 동의하며, 이에 대해서는 Ryuch님의 의견과 같기 때문에 생략합니다.

다만 제가 본질적으로 논의하고 싶었던 것은 이것과는 좀 다른 문제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커뷰님께서 어느 정도 파악하고 계신 듯 한데, (일단 제 추정이긴 하지만) 나름 위키백과를 오래 이용해 편집 및 위키백과의 사정에 익숙한 한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과도한 출처 필요 틀'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제가 몇 차례 의견을 남겼지만 별로 시정되지 않고 있고, 해당 편집자가 (추정상 근 1년 정도 사이에) 매우 많은 문서를 편집한 탓에 '버젓이 정상적인 출처가 있음에도 출처 필요 틀이 달려 있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해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이 제 의견의 요지입니다.

그리고 제가 '출처 필요 틀이 달린 채로 문서를 작성한 경우'에 대해 언급한 것은 이에 대한 연장선상으로, 본디 출처 필요 틀은 특성상 다루는 데 신중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마치 '문서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틀'처럼 단지 장식용 정도로 사용되고 있는 것 같아 이를 경계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였습니다.

또한 제가 위에서 '처음부터 확인 가능한 서술을 남겨야 한다'고 언급했던 것은 위의 과정을 설명하려던 도중 제 주장이 너무 나간 것으로, 이 부분에 대해서는 부적절한 의견이었음을 깨달아 다른 분들의 지적을 수용하는 바입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12월 10일 (목) 20:51 (KST)답변

New Wikipedia Library Accounts Available Now (December 2015)[편집]


Hello Wikimedians!

The TWL OWL says sign up today!

The Wikipedia Library is announcing signups today for, free, full-access accounts to published research as part of our Publisher Donation Program. You can sign up for new accounts and research materials from:

  • Gale - multidisciplinary periodicals, newspapers, and reference sources - 10 accounts
  • Brill - academic e-books and journals in English, Dutch, and other languages - 25 accounts
  • Finnish Literature Society (in Finnish)
  • Magiran (in Farsi) - scientific journal articles - 100 articles
  • Civilica (in Farsi) - Iranian journal articles, seminars, and conferences - 50 accounts

Many other partnerships with accounts available are listed on our partners page, including EBSCO, DeGruyter, and Newspaperarchive.com. Do better research and help expand the use of high quality references across Wikipedia projects: sign up today!
--The Wikipedia Library Team 01:01, 11 December 2015 (UTC)

Help us a start Wikipedia Library in your language! Email us at wikipedialibrary@wikimedia.org
This message was delivered via the Global Mass Message tool to The Wikipedia Library Global Delivery List.

모 기독교계 신흥종교에서 위키글에 관리질을 하는 것 같습니다.[편집]

특수:기여/1533ask,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역사를 보면 의심이듭니다.--알래스카나 (토론) 2015년 12월 13일 (일) 00:42 (KST)답변

특수:기여/Zgj1943, 특수:기여/위키위트1, 장길자 역사 [https://ko.wikipedia.org/w/index.php?
위키백과의 지침에 따라 기사를 뒷받침할만한 출처가 아니라 한다면 빼야 한다고 생각하여 삭제를 하였습니다. 무슨 관리를 하신다고 하시는지 정확히 말씀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건 위키백과:중재 요청/새 요청/2015년#하나님의 교회 및 장길자 관련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위키위트1 (토론) 2015년 12월 25일 (금) 23:15 (KST)답변

title=%EC%83%88%EC%96%B8%EC%95%BD%EC%9C%A0%EC%9B%94%EC%A0%88_%ED%95%98%EB%82%98%EB%8B%98%EC%9D%98%EA%B5%90%ED%9A%8C&action=history 새언약유월절 하나님의 교회 역사] 추가합니다. --알래스카나 (토론) 2015년 12월 13일 (일) 00:45 (KST)답변

특수:기여/Ash1948 추가합니다. --알래스카나 (토론) 2015년 12월 13일 (일) 00:47 (KST)답변
이제 조용해지나 싶더니 다시 시끄러워지네요. 일단 백:종교를 고지시키시고 편향된 편집이 지속적으로 이뤄질 경우 사관을 요청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다행인게 최근 몇년 간 사례가 축적되면서 현재 신흥종교 관련 정책이 잘 정해져 있습니다. (참고로 이번에는 크게 신경을 쓰고 싶지 않습니다.) - Ellif (토론) 2015년 12월 13일 (일) 22:11 (KST)답변

업로더 분들[편집]

위키백과:파일 업로드 요청 좀 신경 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요청이 완료되기 전에 봇이 먼저 보존해버리네요.--Namoroka (토론) 2015년 12월 13일 (일) 16:35 (KST)답변

저기 저렇게 있는게 업로더 분들 수가 부족해서 이려나요..-- Exj  토론  2015년 12월 24일 (목) 13:39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