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의견 요청/대한민국의 국회의원지역선거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가 대한민국의 각 지역별 국회의원 선거구를 위키백과의 문서로 생성하려 하였으나 중복된 내용으로 모두 삭제되었습니다. 가령 광주광역시 서구을 선거구의 경우 광주 서구의 국회의원이라는 문서에 해당 지역구가 등재되어 있는 식입니다. 저는 대한민국 제18대 국회를 중심으로한 대한민국의 각 지역별 국회의원 선거구를 정리하였으나 이렇게 중복된 내용으로 이의제기나 삭제신청이 들어올줄 알고 일부러 광주광역시(6개의 국회의원 선거구), 대전광역시(2개의 국회의원 선거구), 울산광역시(2개의 국회의원 선거구)의 10개 국회의원 선거구만 생성하였습니다. 중복된 내용인줄 알면서 그 문서들을 생성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하여 다루고 있는 공직선거법을 법전에서 찾아보니 금천구와 같이 1개의 기초자치단체만 국회의원 선거구로 되어 있거나(금천구 일원으로 되어 있음) 포천시.연천군 국회의원 선거구와 같이 2개이상의 기초자치단체가 국회의원 선거구로 되어 있으면(포천시 일원, 연천군 일원으로 되어 있음) 관할 읍, 면, 동이 1개도 기재되어 있지 않고 해당 선거구 일원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반면 광주광역시 서구와 같이 1개의 기초자치단체에 2개이상의 국회의원 선거구가 있는 경우 관할 읍, 면, 동이 모두 등재되어 있습니다. 저는 일단 광주광역시 서구와 같이 1개의 기초자치단체에 2개이상의 국회의원 선거구부터 생성한후 금천구와 같이 1개의 기초자치단체만으로 있는 국회의원 선거구와 포천시.연천군 국회의원 선거구와 같이 2개이상의 기초자치단체로 되어 있는 국회의원 선거구는 미루었다가 관할 읍, 면, 동을 찾은후 생성하려고 했습니다. 해당 기초자치단체의 모든 읍, 면, 동이 1개의 국회의원 선거구 관할구역이면 편의상 해당 읍, 면, 동을 등재하지 않기도 하는 데 위키백과에서는 모두 등재하는 것이 백과사전으로서의 정확도를 완벽하게 하는 것입니다.

일단 생성한 10건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문서들이 삭제되었는 데 사용자토론:Excelruler#선거구 문서에서 보시듯 해당 의견들이 있는 데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문서들을 개별문서로 새로 생성하는 것이 좋을까요?원래 문서안에다가 기재하는 것이 좋을까요? --Excelruler (토론) 2010년 11월 14일 (일) 16:12 (KST)[답변]

대한민국 제헌국회 총선 서울자유특별시와 같은 문서로 사용자:Excelruler님이 제시한 4가지 이유 각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의 변동을 정확하게 알리기 위해서입니다, 사라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를 생성하기 위해서입니다, 현존하는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의 이전 관할구역을 생성하기 위해서입니다, 2개이상의 기초자치단체를 관할하는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의 역대 선거구를 생성하기 위해서입니다를 모두 해소할 수 있습니다. 선거 간 변동 사항은 각 행정구역별 국회의원 목록(서울 영등포구의 국회의원)에서 표현되어 있습니다. 사용자:Excelruler님이 생성하려는 문서는 필요가 없는 기사입니다. 기존의 문서들에 기여하여 주십시오. Sawol (토론) 2010년 11월 14일 (일) 19:48 (KST)[답변]

본 토론은 백:선에서 이루어지는게 더 성공적이지 않을까 합니다. --토트 Ratio • Sapientia • Veritas 2010년 11월 15일 (월) 01:38 (KST)[답변]
정보 해당 토론은 위키백과토론:위키프로젝트 선거#유지 내지는 확대에서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BIGRULE (토론) 2010년 11월 15일 (월) 01:45 (KST)[답변]

모든 내용을 하나로 반박할 수 있을 것 같군요. "너무 지엽적이고 본 문서에 기술하면 됩니다. 굳이 단독 문서를 만들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쓸데없는 목록은 삭제했습니다.--NuvieK (토론) 2010년 11월 15일 (월) 05:46 (KST)[답변]

의견 가능하다면 '한 곳에 모아서 서술할 수 있는 비슷한 대상'은 한 곳에 모으는 것이 해당 문서를 찾는 이용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양복을 사러 갔는데, 셔츠를 파는 상점과 넥타이를 파는 상점이 멀리 떨어져 있다면 이용자들에게는 불편하겠지요. --BIGRULE (토론) 2010년 11월 17일 (수) 00:00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