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의견 요청/출시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디오 게임이나 영화 출시일에 관한 토론[편집]

마땅히 토론 공간이 없어서 여기다가 생성합니다. 백:아님#국가라는 조항이 있다만 한국어 위키백과는 주로 대한민국 사람이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에따라 해당 매체들의 출시일을 한국 표준시에 맞춰서 써야한다고 생각합니다.(예를 들어 미국에서 1월 1일에 출시하였으면 한국은 1월 2일이니, 출시일을 1월 2일로 표기) 다른 분들 의견은 어떠신지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0월 22일 (목) 15:24 (KST)[답변]

우선 시차가 정확히 하루(24시간)차이도 아닐 뿐더러(1월 1일이 한국에서 무조건 1월 2일이라는 법도 없고요..), 러시아는 동 서 끝이 10시간 시차인것으로 아는데 기준은 어디로 하는가요? 만일 수도라면, 미국을 예로들어 하와이에 일어난 사건은 워싱턴dc시각으로 잡는지요? 너무 복잡해보이는데요.. — Tablemaker (토론 · 기여) 2015년 10월 22일 (목) 16:08 (KST)[답변]
@Tablemaker: 그러니까 케바케겠지요. 매체별로 따져봤을 때 기간 차이가 나면 한국 시간에 맞춰서 기재하자는 얘기입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0월 22일 (목) 16:10 (KST)[답변]
주로 비디오 게임 같은 경우 태평양 시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팀 출시 게임 같은 경우 한국 시간 기준 오전 2시고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0월 22일 (목) 16:11 (KST)[답변]
전 잘 모르겠네요. 제 생각에는 너무 복잡한 규칙같기만 한데요.. 이 생각이 나쁘다는것이 아니라, 너무 복잡하다는 것을 문제로하고싶습니다. 보통 위백에서 날짜를 기입할때 본문에 KST 따위를 적지 않기 때문에, 신규 이용자가 시간을 기입했을 때 그것이 태평양시간인지, 미국시간인지, 영국시간인지 알 도리가 없으니까요. 제가 성급하게만 생각한 것일수 있으니 다른분들의 의견을 더 들어보고 생각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Tablemaker (토론 · 기여) 2015년 10월 22일 (목) 16:16 (KST)[답변]
예 저도 그 문제 때문에 이렇게 적는 것입니다. 출시일 적을 때 미국 시간인지 한국시간인지 언뜻봐선 알기 힘들죠. 본디 백과의 목적은 정보 전달인데 헷갈리면 곤란하지요. 따라서 현재 한국시간 기준이라고 각주는 적고 있다만, 그것도 괜한 바이트 낭비인 것 같고 해서 한국 시간으로 통일화 하자는 얘기입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0월 22일 (목) 16:19 (KST)[답변]
(편집 충돌) 스팀은 잘 모릅니다만, 무조건 전세계 동시 발매가 되오고있는데, 그중에서 한국 시간 오전 2시에 발매된다고 하면, 그것은 KST를 적고 한국시를 표시하면 될 것 같습니다. 모든 문서에까지 적용함은 잘 모르겠습니다. — Tablemaker (토론 · 기여) 2015년 10월 22일 (목) 16:20 (KST)[답변]
(편집 충돌 × 2) 대한민국이 땅덩이가 넓다면 문제가 될 수도 있겠지만(그래서 미국에서도 게임 트레일러 제작시 태평양 시간이라든지 이런 것으로 기준을 세워서 표기하는 것으로 알고 있음.) 어차피 어딜 가든지 시간은 똑같으니 별 문제는 없다 사료됩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0월 22일 (목) 16:21 (KST)[답변]
한국 정발 매체에 대해서만 그렇게 표기하자는 의견인가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0월 22일 (목) 16:22 (KST)[답변]
말하자면 그렇게 되네요. 개인적으로 한국 시각으로 1월 2일에 만들어졌어도 실제 그것이 1월 2일에 만들어지지는 않았다고 판단합니다. '출시일'이라는 타이틀을 걷어내고 예를 든다면 한국어로 쓰인 위키백과라고해도 역사적 사실들을 +1일해서 기입하진 않을것같아요. KST로 적을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건 한국 정발 날짜, (한국에서의) 프로모션 공개 날짜 뭐 이런것들일것같네요. — Tablemaker (토론 · 기여) 2015년 10월 22일 (목) 16:25 (KST)[답변]
본래 사람이 설명을 잘 못하는점 송구하게생각합니다 양해해주세요. :-/ — Tablemaker (토론 · 기여) 2015년 10월 22일 (목) 16:26 (KST)[답변]

참고하시라고 말씀드리자면, 이러한 경우 백:의견 요청을 자세히 보시면 의견 요청의 하위 문서로 진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활용하면 좋다고 생각합니다.--분당선M (토론) 2015년 10월 23일 (금) 01:16 (KST)[답변]

감사합니다 일단은 이미 만들어 놓은지라 여기서 토론해야겠네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0월 23일 (금) 01:23 (KST)[답변]
위키백과는 그 어떠한 국가를 대표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최초 일자만 적는 것은 어떨까요. -- J13 (토론) 2015년 10월 27일 (화) 20:03 (KST)[답변]
최초 일자라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0월 27일 (화) 20:16 (KST)[답변]
예를 들어 영화가 최초로 개봉하는 날짜가 있잔아요. 그 날짜를 적자는 겁니다. 아무튼 한국 위키백과에서 편리하다는 이유로 대한민국 위주로 정보 제공하는 것은 중립성에 어긋난다고 생각합니다. -- J13 (토론) 2015년 11월 9일 (월) 22:19 (KST)[답변]
그렇다고 날짜만 달랑 적어 놓으면 헷갈릴 여지가 있지 않을까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1월 9일 (월) 22:55 (KST)[답변]
위키백과 문서에서 본문이 더 중요하면 중요했지 정보상자가 전부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알찬 글 영화 문서의 브이 포 벤데타 (영화)#홍보와 개봉, 노래 문서의 Single Ladies (Put a Ring on It)#배경 및 발매같은 문단들이 괜히 있는게 아니죠. 본문을 통해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내용인데도 그 작은 틀에 꾸역꾸역 넣을 필요는 없죠. -- J13 (토론) 2015년 11월 10일 (화) 10:17 (KST)[답변]
@J13: 해당 문서봤는데 어떤 시간대 기준인지는 명확히 알 수 없던데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1월 10일 (화) 11:34 (KST)[답변]
의견태평양 표준시(UTC) 기준 시간과 (UTC+9= KST)인 한국 표준시도 동시에 적는것이 편하지 않을까요? 아무래도 외국의 비디오 게임이나 영화 출시일은 포스터에 태평양 표준시를 우선으로 먼저 적잖아요? 그러니 그것도 적고. 편의를 위해 한국 시각도 동시에 적는게 좋겟어요.HaRu (토론) 2015년 11월 3일 (화) 13:21 (KST)[답변]
둘 다 적으면 가독성 떨어질겁니다. 아마도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1월 18일 (수) 17:10 (KST)[답변]

정보 en:Captain America: Civil War 여기 보시면 개봉일 밑에 괄호 치고 North America 이렇게 적힌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1월 25일 (수) 19:33 (KST)[답변]

일단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문서에 영어판과 동일하게 적용시켜봤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1월 25일 (수) 19:50 (KST)[답변]
죄송하지만 해당 정보상자의 North America는 시간대가 아닌 국가 또는 대륙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Namoroka (토론) 2015년 11월 26일 (목) 18:38 (KST)[답변]
@Namoroka: 시간대가 아니더라도 북미 기준으로 해당 날짜에 개봉한다는 의미 아닌지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1월 26일 (목) 19:16 (KST)[답변]
제 말이 그 말입니다. 근데 North America를 북아메리카 '시간'으로 번역한 것이 잘못되었다는 의미입니다.--Namoroka (토론) 2015년 11월 26일 (목) 21:32 (KST)[답변]
@Namoroka: 굳이 시간대가 아니더라도 출시일이 어떤 지역 기준의 날짜인지 적자는 겁니다. 이 토론의 요지는요. 그것을 시간대라고 표현한 것이고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1월 26일 (목) 21:35 (KST)[답변]
같은 North America라 하더라도 동부와 서부의 시간대가 다르긴 하지요. --BIGRULE (토론) 2015년 11월 26일 (목) 18:49 (KST)[답변]
시간대가 다르더라도 하루가 차이가 나는 게 아니므로 그냥 북미에서 같은 '날짜'에 개봉한다고 말하는 겁니다. 고로 개봉일이나 출시일 같은 것을 기재할 때 시간대를 기준으로 하기보다 그냥 해당 국가 날짜로 기재하면 되는 일입니다. 안녕, 헤이즐 문서를 보시기 바랍니다. 어디 영화제에서 언제, 어느 나라에서 언제 개봉했는지만 기재하면 되지 시차 계산을 이런데 적용할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Namoroka (토론) 2015년 11월 26일 (목) 21:32 (KST)[답변]
@Namoroka: 어쨌든 귀하의 의견도 헷갈릴 여지가 있으니 날짜가 어디 기준인지 기재하는 것에 찬성하신다는 건가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1월 26일 (목) 21:37 (KST)[답변]
뭔가 헷갈리는데, 애초에 정보 상자 등에서 날짜 뒤에 해당 국가를 기재하지 않았나요? 전 위에 하신 토론을 보고 시간대를 KST로 통합하니 마니를 얘기하는 줄 알았는데요.--Namoroka (토론) 2015년 11월 26일 (목) 21:41 (KST)[답변]
예 처음엔 그랬던게 맞죠. 그리고 한국어 위키에서는 기재하지 않았던걸로 압니다. 본 적이 없어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1월 26일 (목) 21:42 (KST)[답변]
아. 정정하자면, 영화의 경우 국기틀 등을 사용했었네요. 다만, 게임은 아니었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1월 26일 (목) 21:43 (KST)[답변]
게임도 어느 정도 쓰여진 문서는 다 그렇게 되어 있습니다. 당장 생각나는 게임은 스타크래프트 밖에 없네요.--Namoroka (토론) 2015년 11월 26일 (목) 21:51 (KST)[답변]
음 있긴 있네요. 다만 영화처럼 특수 틀을 만들어 활성화 시킬 필요는 있는 것 같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1월 26일 (목) 21:56 (KST)[답변]
번역이 되다 말았지만 틀:비디오 게임 출시란 틀이 이미 있습니다.--Namoroka (토론) 2015년 11월 26일 (목) 21:59 (KST)[답변]
한국 시각으로 일괄적으로 통일하는 것에는 찬성하지 않고요. 해당 제품의 주요 소비자와 생산자가 있는 곳을 중심으로 시간과 시간대를 함께 표시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케골 2015년 12월 20일 (일) 23:21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