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이동 요청/2023년 2월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요청
이동 요청
 2023년 2월 
새로 고침 / 보존 문서

프리터 (음식)프리터[편집]

대표적인 문서는 음식 이름이라고 생각합니다. 음식 이름은 대표 음식으로 하고 일본의 취업 형태 프리터를 다른 제목으로 이동해야 할 것 같습니다. 또는 프리터를 동음이의 문서로 만들고 일본의 취업 형태 프리터를 적절한 제목으로 이동해야 할 것 같습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일 (목) 16:19 (KST)답변

제가 생각했을때 음식 프리터가 압도적인 인지도를 갖고 있어 보이진 않습니다. 따라서 프리터를 동음이의화 시키고, 기존 취업 형태 문서만 이동처리하는게 더 맞는 방법 같네요.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3일 (금) 20:58 (KST)답변
예완료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3일 (금) 22:48 (KST)답변
@이야기꾼: 관리자도 아니시면서 왜 독단적으로 논의 중인 사항에 대해 임의로 이동을 가하시는거죠?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3일 (금) 22:56 (KST)답변
두 분 모두 같은 의견을 내셨는데 굳이 더 지켜볼 필요가 있는지 생각이 들어 편집하였습니다. 만약 논의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였다면 매우 죄송하며 제 편집을 다시 되돌려주세요.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3일 (금) 22:58 (KST)답변
애초에 같은 의견이 아닌데요.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3일 (금) 23:00 (KST)답변
아이피님이 또는 프리터를 동음이의회 시키고 취업 형태인 프리터를 다른 제목으로 이동하자는 의견 역시 내신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3일 (금) 23:05 (KST)답변
확인했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4일 (토) 00:20 (KST)답변
추가적으로 저도 양념파닭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3일 (금) 22:59 (KST)답변

국민의 창움콘토 웨 시즈웨[편집]

원래 언어인 코사어를 그대로 음차할 필요가 있다고 보며, 이 명칭의 경우 약칭 "MK"가 무엇을 의미하는 지 알 수 없게 됩니다. 또한 르몽드 20세기사와 여러 언론에서도 움콘토 웨 시즈웨라는 표현을 쓰고 있습니다. --125.178.79.199 (토론) 2023년 2월 3일 (금) 21:57 (KST)답변

예완료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4일 (토) 00:11 (KST)답변
이동 요청이 느려지고 있어, 네이버 뉴스 검색 결과를 링크합니다.

[1] -- 125.178.79.199 (토론) 2023년 2월 3일 (금) 22:59 (KST)답변

팟 타이팟타이[편집]

원언어인 태국어는 띄어쓰기를 하지않고, [2] [3] 이것만 봐도 띄어쓰는 것보다는 붙여쓰는게 맞습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3일 (금) 22:00 (KST)답변

예완료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3일 (금) 22:40 (KST)답변

팟 시이우팟씨유[편집]

구글 검색 결과 팟 시이우 검색결과 약 1250개, 팟씨유 약 36,700개로 압도적으로 많이 쓰입니다. 뿐만 아니라 [4]에도 팟씨유라고 표기되어있습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3일 (금) 22:15 (KST)답변

예완료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3일 (금) 22:21 (KST)답변
팟씨유가 아니라 팟씨우로 이동하셨던데 이유가 있나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3일 (금) 22:22 (KST)답변
@이야기꾼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3일 (금) 22:23 (KST)답변
아 죄송합니다 이동과정에서의 오타입니다.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3일 (금) 22:23 (KST)답변

셜롯샬롯[편집]

본문 설명에도 샬롯이라고 본문이 시작되는데, 막상 제목은 '셜롯'이네요 그리고 [5]를 참고하면 '샬롯'이 맞습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3일 (금) 22:39 (KST)답변

예완료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3일 (금) 22:53 (KST)답변

우리홈쇼핑롯데홈쇼핑[편집]

문서에서 설명하는 대상은 TV 채널이나, 문서 제목은 채널의 운영사로 적혀 있습니다. --Kim6134 (토론) 2023년 2월 4일 (토) 02:37 (KST)답변

동의 확실히 이동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4일 (토) 09:44 (KST)답변
예완료 --Puzzlet Chung (토론) 2023년 2월 7일 (화) 07:19 (KST)답변

소상공인방송정보원소상공인방송[편집]

문서에서 설명하는 대상은 TV 채널이나, 문서 제목은 채널의 운영사로 적혀 있습니다. --Kim6134 (토론) 2023년 2월 4일 (토) 02:38 (KST)답변

동의 윗토론과 동일한 의견입니다.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4일 (토) 09:45 (KST)답변
예완료 --Puzzlet Chung (토론) 2023년 2월 7일 (화) 07:20 (KST)답변

원더랜드 (2021년 영화)원더랜드 (2023년 영화)[편집]

찾아보니 해당 영화는 아직도 개봉을 하지 않았는데, [6] 이 기사를 보니 올해 개봉 예정으로 바뀌었네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4일 (토) 14:31 (KST)답변

예완료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4일 (토) 16:47 (KST)답변

클레어 (동음이의)클레어[편집]

어느 한 쪽이 널리 쓰인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2월 5일 (일) 20:13 (KST)답변

예완료 --Puzzlet Chung (토론) 2023년 2월 7일 (화) 04:45 (KST)답변

신경주역경주역[편집]

[[7]] 참고하시고. Striker9498이 Ctrl+C Ctrl+V로 문서를 이동했습니다. --110.70.50.168 (토론) 2023년 2월 6일 (월) 01:06 (KST)답변

복붙 부분은 원복했습니다. 이동 처리는 관리자분께서 진행 바랍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6일 (월) 02:49 (KST)답변
예완료 --Puzzlet Chung (토론) 2023년 2월 7일 (화) 07:25 (KST)답변

새로운 문서명으로 바꾸어 주세요.--125.142.79.106 (토론) 2023년 2월 6일 (월) 12:32 (KST)답변

이동 요청을 하신 이유를 설명해주세요. 구체적인 이유가 없다면 이동이 느려지거나 반려될 수 있습니다.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6일 (월) 16:36 (KST)답변

틀:Maplink2틀:Maplink[편집]

같은 틀인데 중복으로 있네요. 단, 생성 날짜는 틀:Maplink가 빨라서 어떻게 역사를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7일 (화) 00:35 (KST)답변

이런 내용은 사랑방에 올려서 다른 사용자들의 의견을 듣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7일 (화) 08:22 (KST)답변
예완료 두 틀의 기능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고 먼저 생성된 Maplink 틀로 Maplink2를 넘겨주기 처리했습니다. Kim6134 (토론) 2023년 2월 9일 (목) 01:02 (KST)답변

김태현 (1922년)김태현 (1923년)[편집]

법률신문에서 김태현 조회 결과 1923년 정읍 출신과 1922년 삼천포 출신이 나타났는데 해당 문서는 1923년생에 대한 것입니다. 김태현 (1922년) 넘겨주기는 생성하지 않아야 합니다. 김태현 (법조인) 넘겨주기는 삭제해야 합니다. --Sawol (토론) 2023년 2월 7일 (화) 12:44 (KST)답변

예완료 --Puzzlet Chung (토론) 2023년 2월 7일 (화) 13:27 (KST)답변

마르구마르기아나[편집]

"마르기아나"가 더 일반적인 표현으로, [8]를 봐도 더 많이 쓰입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7일 (화) 15:09 (KST)답변

예완료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8일 (수) 09:17 (KST)답변

지형고립도지형 고립[편집]

Topographic isolation의 적절한 역어는 이게 더 맞다고 생각합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7일 (화) 15:10 (KST)답변

관련한 출처가 있다면 더 빠른 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8일 (수) 09:18 (KST)답변
@이야기꾼 오타를 수정하였습니다. 지형고립도지형 고립으로 이동하여주십시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8일 (수) 23:57 (KST)답변
예완료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9일 (목) 07:57 (KST)답변

미화 (동음이의)미화[편집]

어느 한 쪽이 널리 쓰인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2월 7일 (화) 18:22 (KST)답변

예완료 Respice_post te 2023년 3월 6일 (월) 20:27 (KST)답변

웨이브 (스트리밍 서비스)wavve[편집]

공식 홈페이지에서 Wavve(웨이브)로 영문을 먼저 표기하고 있습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7일 (화) 19:27 (KST)답변

의견 한국어 위키백과이므로 한글로 적기 애매하거나 어려운 말이 아니라면 한글 표기가 우선이라 생각합니다. Kim6134 (토론) 2023년 2월 8일 (수) 02:07 (KST)답변
그걸 떠나서 공식 표기가 영문이 먼저입니다. LE SSERAFIM, IZ*ONE 같은 경우도 충분히 있는데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8일 (수) 03:54 (KST)답변
해당 표제어는 아이돌이기 때문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8일 (수) 08:46 (KST)답변
@이야기꾼: 아이돌이기 이전에 공식 표기에 대한 부분입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10일 (금) 23:27 (KST)답변
문자가 적힌 순서가 중요한가요? 한글로 표기해도 문제 없는지를 따져야 하지 않을까요. Kim6134 (토론) 2023년 2월 8일 (수) 21:57 (KST)답변
예완료 이미 선례가 있으므로 이동합니다. 또한, 원래 표제어부터 이미 영문이었으나, 위에 Kim6134 사용자가 작년경에 토론 없이 임의로 옮긴 것으로 확인됩니다. 따라서 공식 표기인점을 차치하고서라도 원복시킴이 옳다 판단됩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10일 (금) 23:25 (KST)답변
아 확인해보니 Wavve가 공식 표기이군요. 일단 전체 대문자로 이동은 하였으나 이 부분에 대해서 밑에 추가 요청을 올리겠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10일 (금) 23:27 (KST)답변
다른 이용자들이 제시한 의견에 저는 동의하여 옮긴 것이므로 임의로 옮긴 것이 아닙니다. 제대로 알고 지적하세요. Kim6134 (토론) 2023년 2월 11일 (토) 07:14 (KST)답변
그래서 해당 토론이 총의로서 효력이 있다 보시는건가요?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11일 (토) 11:36 (KST)답변

루컴즈전자대우루컴즈[편집]

루컴즈전자 연혁을 보니 아사달이란 사용자가 대우루컴즈문서를 루컴즈전자란 문서로 변경하면서 기존의 루컴즈전자문서에 새로 작성한 바람에 문서역사가 꼬여버렸네요. 루컴즈전자의 내용은 대우루컴즈문서에 옮겨적었으니 기존의 대우루컴즈를 삭제한 뒤, 루컴즈전자를 대우루컴즈로 문서이동하면서 대우루컴즈문서는 삭제처리 부탁드립니다. --125.142.79.106 (토론) 2023년 2월 8일 (수) 12:48 (KST)답변

우선 아사달님의 이동이 잘못된 이유를 설명해주세요. 그리고 문서 삭제식 이동은 옳지 않은 이동 방식입니다. 백:이동을 참조해주세요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8일 (수) 12:58 (KST)답변

주스페인 대한민국 대사관 문화원주스페인 한국문화원[편집]

해당 기구의 정식 명칭에 맞춰 이동해 줄 것을 요청합니다. 링크 참조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2월 9일 (목) 08:30 (KST)답변

강철의 연금술사: 브라더후드강철의 연금술사 BROTHERHOOD[편집]

한국에서 정식 방영 했을때의 제목이 "강철의 연금술사 BROTHERHOOD"입니다. 당시 더빙판 예고편, 심지어 본문에서도 《강철의 연금술사 BROTHERHOOD》(~브라더후드, 鋼の錬金術師 FULLMETAL ALCHEMIST 하가네노렌킨주쓰시 후루메타루 아루케미스토)는~ 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10일 (금) 18:45 (KST)답변

예완료 특:가리키는문서/강철의 연금술사:브라더 후드를 고치는 작업을 도와주세요.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10일 (금) 20:49 (KST)답변

WAVVEWavve[편집]

첫글자를 제외한 나머지 문자가 전부 소문자인게 공식 표기로 확인됩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10일 (금) 23:28 (KST)답변

공식 로고는 전부 소문자던데 어떻게 보시나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11일 (토) 00:55 (KST)답변
로고보단 사이트에 들어가면 브라우저 타이틀에 나타나는 텍스트를 기준으로 봤습니다. 아무래도 로고보단 텍스트화 되어 있는게 공식 표기를 따지기에는 더 신빙성 있는 자료로 판단됩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11일 (토) 11:35 (KST)답변
로고 외에는 거의 첫글자만 대문자로 나오기에 아동하여도 될 것 같습니다.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12일 (일) 01:32 (KST)답변

애플 TVApple TV[편집]

애플 코리아 공식 홈페이지에서 영문 표기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10일 (금) 23:42 (KST)답변

동의합니다. 추가로 이게 이동된다면, 아이폰, 아이패드 등등 애플의 제품, 서비스도 전부 영문 표기로 바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iPhone, iPad, App Store, 등등)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11일 (토) 00:57 (KST)답변
동의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12일 (일) 01:30 (KST)답변

요청에 이의가 있는 사용자가 있음이 분명하므로 토론 선행이 필요합니다. --ted (토론) 2023년 2월 16일 (목) 12:51 (KST)답변

@Ykhwong: 이미 이러한 공식표기에 대한 토론은 수차례 하였는데 왜 매번 토론을 요구하시는지 잘 이해가 안갑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16일 (목) 13:51 (KST)답변
일부 혼선이 있었습니다. 저는 Apple TV+(혹은 애플 TV+) 문서를 보고 말씀드렸습니다. 여기 요청은 애플 TV이네요. 이 점은 제 착오였음을 인정합니다. --ted (토론) 2023년 2월 16일 (목) 13:57 (KST)답변
제품이나 서비스 표기법에 대해서는 기업에서는 원어 또는 원어+한글 표기(예: Microsoft Windows, Google 번역)를 그대로 쓰는 곳이 많은 한편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한글(예: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구글 번역)로 표기되어 있는 부분이 많네요. 현 시점에서 제가 이쪽은 잘 알지 못하므로 다른 분께서 요청의 가부를 결정, 처리해 주시기 바랍니다. --ted (토론) 2023년 2월 16일 (목) 14:06 (KST)답변
@Ykhwong: 윈도우의 경우 일전 토론에서 관계자측 메일까지 받아가며 공식 표기를 입증한 케이스로 알고 있습니다. 영문 표기로 이동이 안될 이유로는 보여지지 않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16일 (목) 20:31 (KST)답변
저는 한국어 위키백과에서의 쓰임 현황만 말씀드렸을뿐이지, 영문 표기로 이동이 안 된다는 의견을 드리려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저도 업무나 개인 프로젝트에서는 'Microsoft Windows'라고 영어로 쓰며 제겐 그게 더 익숙합니다. --ted (토론) 2023년 2월 16일 (목) 20:34 (KST)답변
보류 애플 TV의 제품/서비스명은 모기업 애플 명칭을 따서 브랜딩된 것입니다. 헌데 사명은 한글인데 제품/서비스명은 영어로 표기된다면 통일성 면에서 맞지가 않습니다. 해당 이동 요청은 사명이 영어로 바뀐 이후에야 효용이 있다고 봅니다. 참고로 애플 공식 홈페이지에서 사명 역시 공식 표기는 영어로 되어있습니다. 다른 빅테크인 마이크로소프트 또한 공홈 살펴본 결과 영어가 공식표기 입니다. 기업, 기관 문서명은 일개 상품, 개인 문서명 정하는 것과는 파급력이 다르기에 이곳이 아닌 별개 토론이 따로 이루어져야함을 혹시의 경우을 대비해 미리 제의드리고싶습니다. Eyey90 (토론) 2023년 2월 17일 (금) 15:27 (KST)답변
기업명의 경우에는 서비스/상품과 별개로 법적으로 등록된 법인명을 따르고 있습니다. 애플의 경우에도 본사는 아니지만 한국 지사가 애플코리아유한회사인가 그걸로 등록이 되어 있으니 표제어는 한글로 애플이 맞겠습니다. 기업명과 상품명은 별개로 봐야합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17일 (금) 22:58 (KST)답변

컴벌랜드 공작 루퍼트라인 공자 루퍼트[편집]

Yelena Belova 님이 2022년 7월 이동 요청을 하셨고, Asadal 님이 이동 요청에서 이를 승인하셨는데, Yoyoma88 님이 아무 이유 없이 이를 되돌리기 하셨습니다. 이에 따라 원래 문서로의 이동을 요청하겠습니다. --125.178.79.199 (토론) 2023년 2월 12일 (일) 10:44 (KST)답변

이동 과정에서 오타로 라인 공작 루퍼트로 이동 되었습니다. 라인 공자 루퍼트로 이동을 요청합니다.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12일 (일) 19:11 (KST)답변
예완료 처리가 늦었습니다. 요청한 대로 처리 완료했습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23년 3월 5일 (일) 17:34 (KST)답변
감사합니다. Respice_post te 2023년 3월 5일 (일) 18:49 (KST)답변

지오반니 안드레아 도리아조반니 안드레아 도리아[편집]

이탈리아 사람인데 영어식 표현으로 잘못 표기했습니다. 이동 부탁드립니다. --125.178.79.199 (토론) 2023년 2월 12일 (일) 20:11 (KST)답변

의견 제가 이동했는데요?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2월 13일 (월) 17:13 (KST)답변
예완료 이미 이동 완료되어 있습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23년 3월 11일 (토) 11:07 (KST)답변

명-네덜란드 분쟁중국-네덜란드 분쟁[편집]

전쟁이 끝난 시기인 1662년은 명나라가 존속하지 않았던 해였고, 정씨 왕국 역시 명나라의 공식 정부가 아니었으므로, 해당 표현은 잘못된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125.178.79.199 (토론) 2023년 2월 12일 (일) 22:05 (KST)답변

반대 네덜란드와의 주된 교전은 명나라가 존속하던 시기에 이루어졌고, 중국이라 표기하면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과 햇갈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13일 (월) 08:36 (KST)답변
의견 음.. 해당 분쟁이 청나라가 이어받아서 한 분쟁이라면 명청-네덜란드 분쟁과 같은 명칭은 어떨까요? 일단 토론이 필요해 보이네요.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15일 (수) 23:11 (KST)답변

케이플러스KPLUS[편집]

https://www.ygkplus.com/main/company/ 소개글에서 KPLUS는~ 으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13일 (월) 13:47 (KST)답변

처리가 너무 늦네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4일 (금) 19:33 (KST)답변

Abomination어보미네이션[편집]

영어로 된 문서 제목을 한국어에 맞춰 이동하기 위하여 요청합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2월 13일 (월) 17:09 (KST)답변

OCN (텔레비전 채널)OCN[편집]

문서로 OCN (텔레비전 채널) → OCN로 이동하고 OCN → OCN (동음이의)로 이동합니다. --218.55.196.20 (토론) 2023년 2월 13일 (월) 18:18 (KST)답변

스칼렛 오하라스칼렛 오하라 (웨딩피치)[편집]

소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및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여주인공이 더 저명성이 있습니다. --- 曹操孟德조조맹덕(寧敎我負天下人영교아부천하인休敎天下人負我휴교천하인부아) 2023년 2월 14일 (화) 00:33 (KST)답변

@Johnson Pinion: 스칼렛 오하라 문서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주인공으로 내용이 바뀌었고 기존의 웨딩피치 내용은 웨딩피치#등장인물로 안내되었습니다. LR 토론 / 기여 2023년 2월 26일 (일) 15:48 (KST)답변

본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본디[편집]

인지도가 높습니다 --Dillon owo (토론) 2023년 2월 14일 (화) 04:44 (KST)답변

동의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14일 (화) 09:25 (KST)답변

트리플에스tripleS[편집]

공식 홈페이지 표기가 tripleS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14일 (화) 11:01 (KST)답변

예완료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15일 (수) 08:37 (KST)답변

덩크슛슬램 덩크[편집]

영어판도 Dunk shot이 아닌 Slam dunk이 표제어입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14일 (화) 13:46 (KST)답변

아니오아니오미완료 토론:슬램 덩크#슬램 덩크 vs. 덩크슛에 근거합니다. 토론부터 하고 오세요. --ted (토론) 2023년 2월 14일 (화) 13:51 (KST)답변
일본어판도 スラムダンク (バスケットボール) 가 제목인데 토론을 해야하나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14일 (화) 14:05 (KST)답변
제가 문서를 최초로 작성했을 당시에는 '슬램 덩크'였으나 다른 여러 사용자들의 의견에 따라 '덩크슛'으로 옮겨졌습니다(넘겨주기 처리). 저는 '덩크슛', '슬램 덩크' 둘 중 어느 쪽이든 중립입니다. 토론을 통해 다시 총의를 수립하세요. --ted (토론) 2023년 2월 14일 (화) 14:06 (KST)답변
일단 토론:슬램 덩크에 의견 요청 틀을 달았습니다만, 현실적으로, 요즘 의견 요청을 하여 토론을 하기가 힘든 상황이라는것은 잘 알것입니다. 관심도도 적고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14일 (화) 14:26 (KST)답변
네, 이미 제목 결정은 토론을 통해 진행되었고 해당 총의를 무시하고 이동을 결정할 수 없어서 미완료 결정을 내린 것이니 이해를 바랍니다. (토론의 제 과거 발언 중 '이의가 없음 = 동의'로 해석하지 말아주셨으면 합니다. 정확히는 '슬램 덩크' 제목 결정도 이의가 없고 '덩크슛' 제목 결정도 이의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다른 관리자분들께서도 참고해야 할 사항인데 만약 '슬램 덩크'로 제목 이동이 결정되는 경우, 이동→삭제→복구를 통해 두 문서의 판 병합을 진행해야 합니다. --ted (토론) 2023년 2월 14일 (화) 14:32 (KST)답변
근데 해당 토론은 확인해보니 굉장히 총의라기엔 너무 짧은 토론인걸로 보입니다. 참여 인원도 적었고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14일 (화) 14:42 (KST)답변
이동 요청 안내문의 근거 "이동에 대한 이견이 있는 경우는 처리가 늦어지거나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 있으니"를 참고해주세요. 제목 결정에 관한 토론이 이루어진 것은 사실이고 '덩크슛'이 옳다고 생각('슬램 덩크'라는 제목에 이의가 있음)하는 사용자들이 여럿 존재함이 확인되므로 미완료 결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토론이 끝나고 '슬램 덩크'로 제목이 합의된다면 새로 요청을 올려주세요. --ted (토론) 2023년 2월 14일 (화) 14:45 (KST)답변
오해가 있을까 하여 말씀드립니다만, 2008년 최초 작성된 '슬램 덩크' 문서와 2009년 최초 작성된 '덩크슛' 문서의 역사가 혼재된 상태입니다. '덩크슛' 문서만 보면 최초 작성자가 제가 아니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으므로 글을 남깁니다. --ted (토론) 2023년 2월 14일 (화) 14:11 (KST)답변
@Ykhwong 그러면 먼저 작성된 '슬램 덩크'로 이동되는게 맞지 않나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6일 (일) 15:43 (KST)답변
제가 말씀의 의도를 정확하게 이해했는지 모르겠지만, 질문만 가지고 보면 해당 질문은 제가 답변을 드릴 수 있는 사항이 아닙니다. --ted (토론) 2023년 2월 26일 (일) 15:46 (KST)답변

이세계 주점 「노부」이세계 주점 노부[편집]

[9]에 따르면, 정발명은 「」가 없습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14일 (화) 20:06 (KST)답변

예완료 Kid990 (토론) 2023년 2월 14일 (화) 20:22 (KST)답변

고집저음오스티나토[편집]

[10], [11]에 따르면, 오스티나토라는 용어가 더 일반적으로 보입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15일 (수) 01:45 (KST)답변

예완료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15일 (수) 08:33 (KST)답변

박준원박준원 (1739년)[편집]

1700년대 인물 뿐만 아니라, 동명이인의 성우도 있고, pH-1 (래퍼)라는 인물의 본명도 박준원이니 박준원 문서는 박준원 (1739년)로 이동후, 동명이인 문서로 만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15일 (수) 21:26 (KST)답변

예완료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16일 (목) 10:10 (KST)답변

Mirroring미러링 (심리학)[편집]

오류로 인한 영문 이름으로의 명명 --Mark Marcus Marco (토론) 2023년 2월 17일 (금) 04:08 (KST)답변

예완료 이야기꾼 (토론) 2023년 2월 17일 (금) 08:50 (KST)답변

한지선 (동음이의)한지선[편집]

어느 한 쪽이 널리 쓰인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2월 17일 (금) 14:22 (KST)답변

미러 (컴퓨팅)미러 사이트[편집]

일반적으로 "미러"보다 미러 사이트라는 말을 더 많이 씁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17일 (금) 14:37 (KST)답변

의견 해당 문서에서는 컴퓨터용어 '미러' 역시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그 부분이 미약하기는 하므로. 우선 미러 (컴퓨팅)에서 미러 사이트에 관한 부분을 분할하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Respice post te 2023년 2월 17일 (금) 15:42 (KST)답변
en:Mirror site에 따르면 같은 뜻입니다. Mirror sites or mirrors are replicas of other websites.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18일 (토) 01:50 (KST)답변
en:Mirror (computing) ?? 110.70.57.52 (토론) 2023년 2월 18일 (토) 10:21 (KST)답변
님이 주신 링크는 Mirror (disambiguation)로 넘어갑니다만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18일 (토) 14:04 (KST)답변
이동 대상인 미러 (컴퓨팅)과 Mirror (computing)은 제목이 같은데요?! 미러에 여러 의미가 있단 얘기에요. 동음이의로 연결되니깐… 110.70.47.222 (토론) 2023년 2월 18일 (토) 15:01 (KST)답변
확인했습니다.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18일 (토) 11:24 (KST)답변
넘겨주기 처리가 아직 되어 있지 않네요. 현재의 미러 (컴퓨팅)미러 사이트로 넘겨준후 미러 (컴퓨팅)미러#컴퓨팅으로 넘겨주기 처리해주세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6일 (일) 15:29 (KST)답변

KumMooyeh검무예[편집]

제목이 영어로 되어 있으므로 올바른 제목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저는 문서 작성자가 아닙니다) --175.223.27.230 (토론) 2023년 2월 17일 (금) 20:41 (KST)답변

예완료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17일 (금) 22:24 (KST)답변

투하트투 하트[편집]

문서 이동 과정에서 문제가 생겨서 처리가 안 되고 있습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2월 18일 (토) 08:31‎ (KST)답변

룰라 (동음이의)룰라[편집]

브라질대통령과 혼성그룹의 한국내 인지도가 비슷합니다. --2001:E60:800E:5A8:0:0:1C2C:A8DA (토론) 2023년 2월 18일 (토) 12:40 (KST)답변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2023년 2월#'룰라 (음악 그룹)' 문서를 '룰라' 문서로 이동, '룰라 (임시)'/'룰라 (임시2)'/'룰라 (임시3)' 문서 삭제 부탁합니다.와 함께 처리되어야 합니다.
Sawol (토론) 2023년 2월 22일 (수) 10:42 (KST)답변

라인 공작 루퍼트라인 공자 루퍼트[편집]

이야기꾼 님의 이동 요청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 같아 다시 요청드립니다. --125.178.79.199 (토론) 2023년 2월 18일 (토) 18:45 (KST)답변

예완료 처리가 늦었습니다. 요청한 대로 처리 완료했습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23년 3월 5일 (일) 17:35 (KST)답변

그라운드 제로 (뉴욕)세계 무역 센터 부지[편집]

2022년 12월에 의견 요청을 통해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쳤는데, 약 두 달이 지나도록 아직까지 반대 의견은 없습니다. 이에 따라 총의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고, 문서 이동을 요청하는 바입니다. --125.178.79.199 (토론) 2023년 2월 18일 (토) 18:59 (KST)답변

예완료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0일 (월) 07:48 (KST)답변

다음 영화 DB에 따르면 정식 제목은 '염소 이야기: 오래된 프라하의 전설'이 맞습니다. --110.70.47.222 (토론) 2023년 2월 18일 (토) 22:03 (KST)답변

예완료 염소 이야기:오래된 프라하의 전설로 이동하였습니다.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18일 (토) 22:20 (KST)답변

백작이라는 칭호를 붙여서 사용하는 용례를 거의 본 적이 없습니다. 이에 따라 원래 문서명으로 되돌리는 이동을 요청하는 바입니다. --125.178.79.199 (토론) 2023년 2월 18일 (토) 22:31 (KST)답변

의견 붙여 사용하는 용례가 없다는 것은 이동의 사유가 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토론이 필요해 보이네요.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0일 (월) 11:53 (KST)답변

류큐 민족류큐인[편집]

일본 학술정보에 일본문화학회는 류큐인(琉球人)을 제시했습니다. 일본어 발음을 따서 류큐 민족을 그대로 발음하겠지만 잘못된 제목입니다. 어디까지 류큐인을 다루는 문제입니다. 일본의 민족 집단이라는 명분이 있지만 류큐 민족이라고 부르기 보다는 류큐인(琉球人)이라는 표제어가 적절합니다. --2001:2D8:6242:1680:77F9:28BB:C7CC:FB50 (토론) 2023년 2월 20일 (월) 13:24 (KST)답변

정작 일본어 위키백과 표제어는 류큐 민족으로 보여지는데요. 혹시 출처 제시가 가능할까요?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20일 (월) 23:43 (KST)답변
학술정보, 구글 검색으로 보여지는 결과는 류큐인이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일본인의 종족에서 류큐 민족이 아니라 우리들의(한국) 입장에서는 류큐인으로 명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류큐인으로 출처가 많이 나왔습니다.

com 뒤에 /amp/ 추가하고 들어가주세요. 스팸 필터때문에 개시가 안됩니다.

증거라고 생각될만한 링크를 가져왔습니다. --2001:2D8:6349:FE83:5BEE:44C0:6CBF:324A (토론) 2023년 2월 21일 (화) 19:19 (KST)답변

부산 재한유엔기념공원 => 재한유엔기념공원[편집]

공식웹사이트 등을 조사해 본 결과 재한유엔기념공원이 공식명칭입니다. 부산은 더 자세히 설명하는 경우에 붙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완료됨 Respice_post te 2023년 3월 6일 (월) 20:32 (KST)답변

Soul Eater소울 이터[편집]

영어로 된 문서 제목을 한국어에 맞춰 이동하기 위하여 요청합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2월 22일 (수) 11:03 (KST)답변

김진래 (축구 선수)김진래[편집]

기존의 김진래 (배우) 문서가 삭제 토론을 통해 삭제됨에 따라 문서 이동을 요청합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2월 22일 (수) 11:14 (KST)답변

김시우 (동음이의)김시우[편집]

어느 한 쪽이 널리 쓰인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2월 22일 (수) 14:17 (KST)답변

썰이없어요쌀이없어요[편집]

삭제 토론 결과 유지로 종결, 따라서 잘못된 이름인 썰이없어요에서 쌀이없어요로 이동이 필요합니다.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2일 (수) 15:01 (KST)답변

에노섬에노시마[편집]

에노시마가 에노섬보다 훨씬 널리 쓰입니다. --Kid990 (토론) 2023년 2월 22일 (수) 18:43 (KST)답변

분류:일본의 도도부현별 섬 다른 섬과 함께 다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섬, 시마섬, 시마 등으로 있군요. Sawol (토론) 2023년 2월 23일 (목) 11:46 (KST)답변

중원도서관중원교육도서관[편집]

2019.03.01 중원교육도서관으로 기관 명칭 변경 --121.188.2.200 (토론) 2023년 2월 22일 (수) 21:25 (KST)답변

예완료 다음부터는 출처를 요청에 넣어주세요. 더 빠른 처리가 가능합니다.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3일 (목) 14:01 (KST)답변

충주학생회관중원교육문화원[편집]

2019년 3월 1일 중원교육문화원으로 기관 명칭 변경 --121.188.2.200 (토론) 2023년 2월 22일 (수) 21:26 (KST)답변

예완료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3일 (목) 14:02 (KST)답변

엘리프 (동음이의)엘리프[편집]

어느 한 쪽이 널리 쓰인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2월 23일 (목) 08:31 (KST)답변

예완료 -- Respice_post te 2023년 3월 4일 (토) 16:18 (KST)답변

김도현(1962년)김도현 (1962년)[편집]

괄호 앞에 띄어쓰기를 넣어야 함. (저는 '김도현(1962년)' 문서의 작성자가 아닙니다) --175.223.10.162 (토론) 2023년 2월 23일 (목) 14:25 (KST)답변

예완료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3일 (목) 17:47 (KST)답변

신용플러스 (신용상담 플랫폼)신용플러스[편집]

동음이의가 없기 때문에 '신용상담 플랫폼'을 넣을 이유가 없음. (저는 '신용플러스 (신용상담 플랫폼)' 문서의 작성자가 아닙니다) --175.223.10.162 (토론) 2023년 2월 23일 (목) 14:26 (KST)답변

예완료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3일 (목) 17:48 (KST)답변

업업걸즈 (갓코니키)업업걸즈 (2)[편집]

보니까 정식 표기가 "アップアップガールズ(2)"로 되어있습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3일 (목) 14:55 (KST)답변

예완료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3일 (목) 17:52 (KST)답변

업업걸즈 (갓코카리)업업걸즈 캇코카리[편집]

"アップアップガールズ(仮)"라고 쓰고 "アップアップガールズかっこかり"라 읽는다고 합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3일 (목) 15:00 (KST)답변

혹시 출처가 있으실까요?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3일 (목) 17:57 (KST)답변
일본어 위키백과인데요.[12]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3일 (목) 21:53 (KST)답변

아냐아냐 (동음이의)[편집]

지금은 문서가 없지만, 이탈리아의 코무네 "아냐"가 대표적인 문서이므로 현재의 아냐 문서를 동음이의 페이지인 "아냐 (동음이의)"로 이동해야합니다. en:Agna, ja:アーニャ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3일 (목) 21:55 (KST)답변

반대 어느 한 쪽이 널리 쓰인다고 보기는 어렵고 제가 아냐 (이탈리아) 문서를 만들었기 때문에 반대합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2월 24일 (금) 10:41 (KST)답변

에스테에스테 (베네토주)[편집]

도시 뿐만 아니라 에스테가 등 동음이의가 존재하므로 기존의 에스테 문서를 에스테 (베네토주) 로 이동하고 에스테 문서는 동음이의 페이지로 만들어주세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3일 (목) 22:22 (KST)답변

예완료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4일 (금) 09:16 (KST)답변

황금로 (동음이의)황금로[편집]

어느 한 쪽이 널리 쓰인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2월 24일 (금) 00:00 (KST)답변

리제 (동음이의)리제[편집]

어느 한 쪽이 널리 쓰인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2월 24일 (금) 10:56 (KST)답변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Adobe Flash Player[편집]

[13]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공식 표기는 Adobe Flash Player 입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4일 (금) 16:18 (KST)답변

예완료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4일 (금) 16:30 (KST)답변
이동하시면서 오타가 난 것 같습니다. Adobe Flash Playe가 아니라 Adobe Flash Player입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4일 (금) 16:34 (KST)답변
확실한 이동을 위하여 복사 붙여넣기 하는 과정에서 모바일 환경 특성상 오타가 있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4일 (금) 16:39 (KST)답변

마이셀프 ; 유어셀프Myself ; Yourself[편집]

원산지(?)인 일본에서의 표기가 가타가나가 아닌 영어 그대로인 "Myself ; Yourself"입니다.(ja:Myself ; Yourself)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4일 (금) 16:23 (KST)답변

예완료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4일 (금) 16:37 (KST)답변

Adobe Flash PlayeAdobe Flash Player[편집]

이동 과정에서의 오타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4일 (금) 16:37 (KST)답변

예완료 -- Respice_post te 2023년 3월 2일 (목) 08:17 (KST)답변

마틸다 잉겐 밀 콜룸스코틀랜드의 마틸다[편집]

지금의 표제어 마틸다 잉겐 밀 콜룸(Matilda ingen Maíl Coluim)이란 이름의 출처를 찾을수 없습니다. en:Matilda of Scotland에도

Matilda of Scotland (originally christened Edith,[a] 1080 – 1 May 1118), also known as Good Queen Maud, or Matilda of Blessed Memory, was Queen of England ~

라고만 설명되어있습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4일 (금) 19:10 (KST)답변

예완료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4일 (금) 23:35 (KST)답변

말 콜룸 3세 막 돈카다말콤 3세 (스코틀랜드)[편집]

기본적으로 말콤 3세로 불리는 인물입니다.(en:Malcolm III of Scotland)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4일 (금) 19:48 (KST)답변

예완료 말콤 3세로 이동하였습니다.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4일 (금) 23:40 (KST)답변
"말콤 3세 (스코틀랜드)"로 이동해주세요. 이 인물 말고 다른 말콤 3세가 없긴 하지만, 정식 호칭입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5일 (토) 02:09 (KST)답변
영문위키의 정식 명칭을 따를 필요는 없다 생각합니다.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5일 (토) 09:18 (KST)답변
어느 나라의 왕인지는 표시해야합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5일 (토) 18:14 (KST)답변
굳이 그럴 필요가 있을까요?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5일 (토) 18:50 (KST)답변
대표표제어가 없을 경우 괄호가 붙은 형태의 서브 표제어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미 지침이 있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26일 (일) 14:59 (KST)답변
정식 명칭이 Malcolm III of Scotland 이라니깐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6일 (일) 15:05 (KST)답변
그건 영미권에서의 정식명칭이지 한국어권에서는 기본적으로 이름+n세와 같은 식으로 서구권 왕을 지칭합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26일 (일) 15:06 (KST)답변
그래서 말콤 3세 (스코틀랜드)라고 표제어 이동해달라고 그랬잖아요.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6일 (일) 15:07 (KST)답변
괄호는 동명이인, 동음이의가 있을 경우 이를 구별하기 위한 목적임을 위에서 말했습니다. 말콤 3세가 저 한명이라면 동명이인이 없으니 괄호를 부착하지 않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26일 (일) 15:08 (KST)답변
동명이인이 없어도 넘겨주기 처리하고 있다니깐요?(en:Malcolm III, ja:マルカム3世)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6일 (일) 15:15 (KST)답변
타국어 위키는 저도 잘 모릅니다. 저기만의 규칙이 따로 존재할 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한국어 위키는 그게 아니라는겁니다. 타국어 위키를 참고할 수는 있지만 절대적으로 따를 이유는 없습니다. 다른 토론에서도 그러한 주장을 자꾸 하셔서 알려드립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26일 (일) 15:24 (KST)답변
일본어 위키백과의 지침상에서도 저런 넘겨주기가 허용되지는 않는 듯합니다. 다만 이런 건 있네요.

曖昧さ回避ページへ意図的にリンクしていることを明示するために、ページ名の末尾に「 (曖昧さ回避)」を付加したページから、ページ名の末尾に「 (曖昧さ回避)」を含まない曖昧さ回避ページにリダイレクトする。詳細はja:Wikipedia:曖昧さ回避#曖昧さ回避ページへのリンク方法を参照してください。

ja:Wikipedia:リダイレクト#曖昧さ回避ページへのリンク
LR 토론 / 기여 2023년 2월 26일 (일) 15:32 (KST)답변
일반적으로 이런 경우라면 스코틀랜드의 말콤 3세로 표제어를 정하고 말콤 3세를 넘겨줍니다. 영어 위키백과야 괄호가 표제어에 들어간 게 아니니 넘겨준 것일 테고, 일본어 위키백과는 지침이 다르거나 단순히 지침 위반을 아무도 수정하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LR 토론 / 기여 2023년 2월 26일 (일) 15:18 (KST)답변
근데 일반적으로 서구권 왕에 대한 표제어에 국호는 들어가지 않는것으로 압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26일 (일) 15:22 (KST)답변
몇 번 본 거 같은데, 왕이 아니었던 걸까요. 기억이 잘 안 나네요. --LR 토론 / 기여 2023년 2월 26일 (일) 15:33 (KST)답변

블랙핑크BLACKPINK[편집]

이미 토론:블랙핑크#제목을_BLACKPINK로_이동하는건_어떨까요에서 총의가 어느정도 모였다고 생각합니다. 빠른 이동처리 부탁드립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4일 (금) 23:11 (KST)답변

잉글랜드 왕녀 요크의 엘리자베스요크의 엘리자베스[편집]

일반적인 제목이 "Elizabeth of York"입니다 (en:Elizabeth of York)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4일 (금) 23:47 (KST)답변

투하트 (비디오 게임)To Heart[편집]

게임 제작한 곳인 일본에서의 표기가 가타가나가 아닌 영어 그대로인 ja:To Heart입니다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4일 (금) 23:58 (KST)답변

Dearest디어리스트[편집]

영어로 된 문서 제목을 한국어에 맞춰 이동하기 위하여 요청합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2월 25일 (토) 11:20 (KST)답변

Jester제스터[편집]

영어로 된 문서 제목을 한국어에 맞춰 이동하기 위하여 요청합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2월 25일 (토) 11:24 (KST)답변

이미 완료됨 -- Respice_post te 2023년 3월 6일 (월) 20:35 (KST)답변

초안:쉽앤쉽쉽앤쉽[편집]

완성된 초안 이동 신청(이렇게 하는거 맞나용?) --Azuyul (토론) 2023년 2월 25일 (토) 20:16 (KST)답변

예완료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6일 (일) 11:31 (KST)답변

자조모임인카운터 그룹[편집]

자조모임중 자조는 self-help 에 가까우므로 뜻이 다릅니다. 원어의 제목은 T-groups 이나, 수많은 같은 의미를 가진 단어중(

A T-group or training group (sometimes also referred to as sensitivity-training group, human relations training group or encounter group) is

(en:T-groups 설명 일부) encounter group 이란 용어가 [14], [15] 등 찾아볼수 있어서 인카운터 그룹으로 이동후 자조모임는 넘겨주기 제거해야합니다.--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6일 (일) 01:02 (KST)답변

예완료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6일 (일) 11:37 (KST)답변

Star to a Young CultureStar To A Young Culture[편집]

[16] 정확한 표기 --121.133.40.84 (토론) 2023년 2월 26일 (일) 16:17 (KST)답변

예완료 테드님이 수고해주셨습니다.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6일 (일) 17:23 (KST)답변

정식 문서 표제어에 불가리아어 부칭까지 붙을 이유가 없습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2월 27일 (월) 12:16 (KST)답변

용산 대통령실대한민국 대통령실[편집]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에 사용하는 대한민국의 대통령 관저의 정식 명칭은 '대한민국 대통령실'이고 '용산 대통령실'은 별칭입니다. 심지어 나무위키에서도 '대한민국 대통령실'이라는 표제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2월 27일 (월) 12:41 (KST)답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정식 명칭이 '대한민국 대통령실'이라기보다는 정식 명칭을 확정하지 않은채로 '용산 대통령실'이라는 임시 명칭을 계속 사용하기로 발표했었으며 용산 대통령실, 대통령실, 대한민국 대통령실, 제20대 대통령실와 같이 여러 명칭이 혼용되고 있었습니다. 대한민국 대통령실이라는 이름이 들어간 새 로고가 나온 지금은 공식 홈페이지의 이름도 대한민국 대통령실로 변경되었고 대한민국 대통령실이 맞는 제목같습니다 Kid990 (토론) 2023년 2월 27일 (월) 13:17 (KST)답변
동의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7일 (월) 15:30 (KST)답변
찬성 로고, 홈페이지 브라우저 타이틀에서 대한민국 대통령실로 표기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3년 2월 27일 (월) 23:08 (KST)답변
예완료 Respice_post te 2023년 3월 2일 (목) 07:58 (KST)답변

샤바 (동음이의)샤바[편집]

어느 한 쪽이 널리 쓰인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2월 27일 (월) 16:55 (KST)답변

예완료 Respice_post te 2023년 3월 2일 (목) 08:06 (KST)답변

만지 (동음이의)만지[편집]

어느 한 쪽이 널리 쓰인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3년 2월 27일 (월) 16:55 (KST)답변

이미 완료됨 Respice_post te 2023년 3월 6일 (월) 20:29 (KST)답변

원주공업고등학교미래고등학교[편집]

교명이 공식 변경이 됨 --112.151.75.165 (토론) 2023년 2월 28일 (화) 22:22 (KST)답변

예완료 Respice_post te 2023년 2월 28일 (화) 23:27 (KST)답변

김흥동김흥동 (연출가)[편집]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훈한 의사를 압도할만큼의 중요성이 없음. 그 외에 행정구역 동음이의 명칭도 있음 --Prolifekid (토론) 2023년 3월 1일 (수) 13:14 (KST)답변

예완료 -- Respice_post te 2023년 3월 2일 (목) 08:16 (KST)답변

폴수학학교마이폴학교[편집]

교명 변경 --Prolifekid (토론) 2023년 3월 1일 (수) 13:15 (KST)답변

예완료 Respice_post te 2023년 3월 2일 (목) 08:07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