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중재위원회 선거/2014년 11월/-revi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재위원회 중재위원 선출

후보: -revi

-revi (토론 · 기여[전체 위키 기여 · 삭제된 기여] · 기록[차단 기록 · 편집 필터 기록] · SUL · 차단)

필명: Revi
  • 선거 기간: 2014년 11월 27일 08:00 (KST)부터 2014년 12월 11일 08:00 (KST) 까지
  • 피선거권: 선거 개시를 기준으로 등록 후 120일이 경과하고 1000회 이상의 편집을 한 사용자에만 피선거권이 있습니다.
  • 선거권: 선거 개시를 기준으로 등록 후 30일이 경과하고 20회 이상의 편집을 한 사용자에만 선거권이 있습니다. (확인)
  • 당선 조건: [유효 투표수 60% 이상 찬성] 그리고 [찬성이 10표 이상]
  • 보다 자세한 선거 규정에 대해서는 중재위원 선거 절차를 참고하세요.
  • 추천인: 분당선M, Asadal, 10k

질문과 답변

  • 질문 간단한 자기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 공통 질문입니다.
  • 질문 중재위원으로 나선 포부를 밝혀주세요. - 공통 질문입니다.
  • 분당선M의 공통 질문 모든 중재위원 후보들께 아래의 질문을 드리오니, 성실히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1번 질문 : 중재를 해보시거나 참여하신 경험이 있었습니까? (해당 질문은 연임이 아닌 새로 나오시는 분들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 2번 질문 : 중재위원은 언제나 최대한의 중립성을 유지하도록 공동체의 기대를 받게 됩니다. 이로 인해 중재위원회에서 어떤 사건에 연관되어 있어서 2명 이상의 중재위원들이 기피되는 경우가 발생하고는 합니다. 그러나, 기피 신청이 많이 들어온다고 해서 중재위원의 자질을 의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혹은 중재위원들은 어떤 상황에서든간에 중립성을 지켜야 한다.) 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3기 본선거에서는 2번과 6번으로 두번 질문되어 합쳤습니다.)
      • 중재위원은 당연히 높은 수준의 중립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재위원이 기계적 중립성을 유지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중재위원도 사람입니다.), 잦은 기피나 회피가 중재위원으로서의 결격 사유가 된다고는 생각지 않습니다. (— revimsg 2014년 11월 18일 (화) 17:55 (KST))[답변]
    • 3번 질문 : 현 중재위원회의 문제점은 무엇이고 그것에 대한 개선 방안이 있습니까?
      • 요청의 처리가 너무 느린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중재위원들이 일상에 바빠서 그런 것 같으므로, 딱히 해결책이 있어 보이지는 않네요. 있다면 중재위에 신경을 좀 더 자주 쓰는 정도겠죠. (— revimsg 2014년 11월 18일 (화) 17:55 (KST))[답변]
    • 4번 질문 : 중재위원회를 보는 시각 중, 관리자를 견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시각이 있습니다. 이 시각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답변해 주세요.(9월 보궐 선거때 Sotiale님이 제시한 질문을 이용합니다.)
      • 영어 위키백과라면 그러한 기능이 가능할 것이지만 (관리자 권한 회수가 비활동, 자진 사퇴, 중재위의 결정으로만 가능합니다) 한국어 위키백과는 최종 결정을 공동체가 내리기 때문에 딱히 중재위원회가 관리자를 견제한다고 할 수 없다고 봅니다. (— revimsg 2014년 11월 18일 (화) 17:55 (KST))[답변]
    • 5번 질문 : 중재위원회에 요청된 사안이 없는 경우, 중재위원회는 무엇을 해야한다고 생각하십니까? (9월 보궐 선거때 이강철님이 제시한 질문을 이용합니다.)
    • 6번 질문 : 중재위원회 활동이 저조하다는 사유로 폐지하자는 의견이 있는 것으로 아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검사관이 다검을 자주 하지 않는다고 검사관을 폐지하지는 않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받아들이면 됩니다. 중재위를 폐지하고자 하는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 공동체의 총의를 모아 폐지하면 될 일입니다. (— revimsg 2014년 11월 18일 (화) 17:55 (KST))[답변]
    • 7번 질문 : 유*** 등의 악성 다중 계정 사용자가 중재위원회 메일링 리스트나 재검토 요청 절차를 악용하는 사례가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이에 대한 의견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성실히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분당선M (토론) 2014년 11월 18일 (화) 09:14 (KST)[답변]

  • 질문 (개별 질문입니다) 다른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 대한 이해도가 뛰어나신 사용자중 한분이신데, 다른 언어판 중재위원회에서 배워 올 점이 있는지에 대해서 궁금합니다.--분당선M (토론) 2014년 11월 18일 (화) 09:14 (KST)[답변]
    • 영어판 중재위는 요청을 바로 하위문서에 생성치 않고, 새 요청 전담 하위문서에서 요청을 올리면 중재위원과 당사자 간의 토론을 통해 접수 여부를 정합니다. 불필요한 하위문서를 덜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선 좋아 보입니다. (— revimsg 2014년 11월 18일 (화) 17:55 (KST) / 몇 글자 수정 — revimsg 2014년 11월 18일 (화) 18:01 (KST))[답변]
  • 질문 제가 revi님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상은 기술면에서는 많은 도움을 주시지만 토론에서는 좀처럼 의견을 개진하시는 모습을 보기 힘들다는 것입니다. 현재도 관리 업무가 눈에 띄는 반면 일반 문서에 대한 기여는 잘 찾아보기가 힘든 것 같은데, 타 사용자들의 분쟁을 제3자로서 의견을 개진해 조정하였거나 혹은 해결에 도움을 주었던 경험, 혹은 자신이 겪었던 편집 분쟁이 있다면 그 분쟁을 어떻게 해결해 나가셨는지, 과거의 사례들을 참조해 보도록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Tsunami 2014년 11월 18일 (화) 20:17 (KST)[답변]
    • 편집 분쟁에서 가장 최근의 것을 이야기하자면 토론:MC몽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발제자 (Starmcmong)께서 정책과 지침을 준수하지 않고 방해 편집을 지속하셔서 불가피하게 차단으로 토론이 중단되었습니다. 그 이전의 기록은 좀 더 찾아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만, Tsunami님 말씀처럼 제가 토론에서 의견을 개진한 적이 많지 않은 것은 사실입니다. (— revimsg 2014년 11월 18일 (화) 21:24 (KST))[답변]
      • 토론:MC몽에서 revi님의 의견 개진은 두 부분 뿐이고, 사실상 해당 사안은 사용자-사용자 간 분쟁을 조정한다는 토론이라기 보단 반달에 대한 단순 경고에 관한 토론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밖에 참조할 토론이 있다면 알려 주실 수 있겠습니까? 말씀하셨듯 사실상 토론에 거의 참여하지 않으시는 revi님께서 단순한 추천과 최선을 다하겠다는 화이팅 정신만으로 중재위원회 선거에 나오셨다는 점은 저로서는 꽤나 의아스럽습니다. 관리자로서의 질의 응답에 대한 답변이나 특정 사안에 대한 차단 혹은 재검토 등의 업무야 보셨겠지만, 중재위원회의 업무들과 그간의 revi님의 활동은 꽤나 거리감이 있고 자질을 판단할 근거조차 부족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Tsunami 2014년 11월 18일 (화) 23:04 (KST)[답변]
    그렇게 생각하셨다면 할 말 없습니다. 중재위와 관련이 없는 일만 해 온 것도 사실이고요. 언젠가 기회가 되면 출마하고, 아니면 어쩔 수 없는 거겠죠. — revimsg 2014년 11월 18일 (화) 23:22 (KST)[답변]

의견

투표

찬성

반대

중립

무효

결과

사퇴합니다. — revimsg 2014년 11월 18일 (화) 23:22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