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질문방/2022년 제36주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년 전 (Qwqwqwqwqwqwerewrqw3526님) - 주제: 알찬 목록
질문방
2022년 제36주
2022년 9월
35 29 30 31 1 2 3 4
36 5 6 7 8 9 10 11
37 12 13 14 15 16 17 18
38 19 20 21 22 23 24 25
39 26 27 28 29 30 1 2

네이버 파파고, 구글 번역기, 카카오 번역에 따른 기계 번역[편집]

우리들이 사용하는 번역기 사이트로 다른 언어의 문서를 번역하고 싶을때 네이버 파파고, 구글 번역, 다음 카카오, 마이크로소프트 빙(Bing) 번역기 들을 사용합니다.

문제를 일으키는 기계 번역들도 있고 번역기 사이트 말고 100퍼 정확하게 번역할수 있는 방법같은게 없나요? --143.189.229.225 (토론) 2022년 9월 5일 (월) 12:03 (KST)답변

현실에서는 100% 완벽하게 외국어의 뜻을 알수 없습니다. 그래도 정확도를 올리는 법으로는 직접 번역하기 입니다. 만약 안 된다면 기계 번역 후 문법상 어색 한것을 수정하는 법도 있습니다. -- Chwel1 2022년 9월 5일 (월) 17:02 (KST)답변

[[#CITEREF|]] 관련 사용법질문[편집]

정확히 아시는분 있으시면 답글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노비촉문서에 보면 [[#CITEREF|]]관련해서 참조오류 같습니다. 첫번째 질문 #CITEREF의 사용법은 어떻게 되나요, 두번째 질문 틀:하버드 인용에보면 매개변수 ref=harv로 틀:Sfn에서 참조하는데 내부메카니즘은 어떻게 되나요.(루아는 이해불가라 위키문법으로..) 222.117.225.233 (토론) 2022년 9월 5일 (월) 12:22 (KST)답변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틀에 틀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번역 도구를 사용하여 번역한 이후 변수가 사라진 채 등재된 이슈로 보입니다. 문제는 수정되었고 앞으로는 발생하지 않을 예정입니다. --ted (토론) 2022년 9월 6일 (화) 09:46 (KST)답변
오류문제는 별개의 문제이고 두가지 질문을 드렸는데 답변을 받지 못했습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222.117.225.233 (토론) 2022년 9월 8일 (목) 11:27 (KST)답변
첫번째 CITEREF 앵커는 모듈:Footnotes2을 통해 동작합니다. 내부 매카니즘은 위키문법은 단 하나도 사용하지 않으며, Lua로만 동작하기 때문에 위키문법으로 설명이 불가능합니다. L. Lycaon (토론 / 기여) 2022년 9월 8일 (목) 11:34 (KST)답변

삭제 토론[편집]

삭제 토론 중에서 발의 기준에 맞지 않는데 열리고 삭제 된게 있습니다. -- Chwel1 2022년 9월 5일 (월) 16:51 (KST)답변

그럼 그럴때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 Chwel1 2022년 9월 5일 (월) 16:51 (KST)답변
삭제된 문서가 뭔가요? LR 토론 / 기여 2022년 9월 5일 (월) 23:44 (KST)답변
혹시 몰라 말합니다 등재 기준중...
1. 양이 적다고 삭제토론으로 넘어감
2. 보강이 안된다고 삭제토론에서 의견 나옴
3. 기타등등 -- Chwel1 2022년 9월 5일 (월) 16:58 (KST)답변
작성하셨다가 삭제된 문서들의 제목을 명확하게 언급해 주셔야 다른 사용자가 답변하기 수월합니다. 다른 사용자로 로그인하여 문서를 작성하셨다가 삭제된 것은 아닌지요? 삭제 기록을 보면 2개의 문서가 삭제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 중 프리즌 라이프 문서는 초안:프리즌 라이프로 옮겨졌습니다. "매드 시티 (비디오 게임)"은 삭제가 되었으나 초안:매드 시티 (로블록스 게임)에서 초안이 준비 중에 있네요. 다만, en:Mad City (video game) 문서가 존재하는 만큼 로블록스 게임과 더 이전에 출시된 비디오 게임간의 구별은 필요해 보입니다. --ted (토론) 2022년 9월 6일 (화) 09:52 (KST)답변

토론 도구(베타)에서 답글 기능 문제[편집]

제가 위키백과:복구 토론/2022년 1분기#이충우 (1960년) 문단에 {{복구토론보존}} 틀을 달면서 뭔가 잘못되었는지, 위키백과:복구 토론 문서에서 답글 버튼을 누르면

“이 의견에 답변하는 데에 "답변" 링크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답변을 하고자 하신다면 "원본 편집"을 클릭하여 전체 위키텍스트 편집기를 이용해 주세요.”

라고 뜨면서 작동이 안 되는데 도와주실 수 있나요... Yhs3329 (토론) (전자우편) 2022년 9월 6일 (화) 06:14 (KST)답변

+쓰면서 더 알아보니까 다른 문서들은 작동되는 곳이 있고 안 되는 곳이 있네요. (여기 질문방에서는 됩니다:) 아무래도 틀:복구토론보존 때문은 아닌 것 같아서 다행이긴 한데 어쨌든 mw:Talk pages project/Replying이 작동 안 되는 경우들은 이유가 뭔지.. 기술 사랑방에 여쭤봐야 할까요? 미디어위키 쪽 데스크는 언어장벽 때문에 어렵습니다 ㅠ Yhs3329 (토론) (전자우편) 2022년 9월 6일 (화) 06:18 (KST)답변
복구 토론 외에 백:질문방에서도 상단부(과거 시점)는 똑같이 안 되네요. 위키백과 내부에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라면 위키백과:버그 보고 및 기능 요청을 읽고 이슈 보고를 고려해 주세요. (위키백과:사랑방 (기술): "이 공간은 미디어위키의 기술적 문제를 보고하는 곳이 아닙니다. 해당 기술적 문제는 파브리케이터에 보고해 주세요.") 한국어로 올리시더라도 번역기로 다 보시는 것 같던데, 언어장벽으로 크게 부담 갖지 않으셔도 됩니다. 고품질로 이슈를 올려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어색하더라도 한영 기계 번역을 활용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ted (토론) 2022년 9월 6일 (화) 09:44 (KST)답변
더 찾아보니 mw:Help:DiscussionTools/Why can't I reply to this comment?#The "reply" link cannot be used to reply to this comment에 답변 기능 이슈가 이미 올라와있긴 한데, 여기서는 문서 자체에 오류가 있을 가능성을 이야기하는 것 같아요. 근데 제가 영어도 기술도 영 부족해서 이게 미디어위키 쪽에서 말하는 문서 구문 오류인지 아니면 새로운 이슈인지, 문서 오류라면 어떻게 고칠 수 있는 건지 전혀 모르겠어요 ㅠㅠ... 지금 오류가 재현되는 복구 토론이나 질문방 문서에 미디어위키에서 얘기하는 문서 오류가 있는지 확인해주실 수 있으세요? 만약에 위키백과에는 문제가 없다고 하면 파브리케이터에 새로운 버그로 보고하려고요. Yhs3329 (토론) (전자우편) 2022년 9월 6일 (화) 16:22 (KST)답변
저한테 질문하신 것이라면 저도 잘 모르는 사항입니다. --ted (토론) 2022년 9월 8일 (목) 16:51 (KST)답변

태풍이 오면 장점[편집]

태풍이 오면 장점을 알고싶어요 125.182.34.123 (토론) 2022년 9월 6일 (화) 10:10 (KST)답변

태풍은 폭우, 해일, 강풍에 의한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가뭄 해갈 등의 수자원 공급과 대기질 개선, 냉해와 폭염완화, 바다의 적조현상과 강의 녹조현상 억제, 지구의 열 순환 등 여러 긍정적인 역할도 한다.

— 태풍
태풍 문서 중 위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ted (토론) 2022년 9월 6일 (화) 10:17 (KST)답변

위키백과 토론방은 어떻게 사용하나요?[편집]

제가 오늘 처음 시작해서요. 이시형초4 (토론) 2022년 9월 6일 (화) 19:25 (KST)답변

위키백과는 주인이 따로 없기 때문에, 결정할 것이 있으면 토론을 통해서 결정합니다. 토론은 적절한 토론방(토론 문서)에서 하는 것이 원칙이고요. 예를 들어 A 문서에 관한 토론은 “토론:A”에서, B 정책에 대한 토론은 “위키백과토론:B 정책”에서 하게 됩니다. C 사용자에게 할 말이 있으면 “사용자토론:C”에서 하고, D라는 주제 전반에 대한 토론은 “위키프로젝트토론:D”에서, E라는 문서를 삭제하자는 제안은 “위키백과:삭제 토론#E”에서 하게 되고요. 위키백과 전반에 대한 토론이나 다른 공간에서 하기 마땅치 않은 토론은 “위키백과:사랑방”에서 이루어집니다.
토론 문서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위키백과:토론 문서위키백과:토론 문서 지침, 토론 문서에서 토론을 작성하는 방법은 위키백과:길라잡이 (토론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Yhs3329 (토론) (전자우편) 2022년 9월 6일 (화) 20:52 (KST)답변

위키를 하면 결벽증이 걸리나요?[편집]

위키를 하거나 편집을 매일 반복적으로 하면 결벽증이 걸립니다. 사람도 인지하는 쉽게 걸리는 병인데 자연적으로 생기는 병인가요? 제가 결벽증이 지금까지 계속되어 위키를 하면서 걸린게 아닌지. 오직 깨끗한 것만 좋아하고 먼지와 벌레가 싫어서 결벽증 인간입니다. --222.0.142.201 (토론) 2022년 9월 7일 (수) 17:37 (KST)답변

아뇨. ㅡ 키페 2022년 9월 7일 (수) 20:01 (KST)답변
발제자님이 어떻게 세월을 살아오셨는지 모르겠지만 자연스럽게 회복되는 질병이라고는 못합니다. 위키를 하면서 결벽증이 생기는건 평소에 앓고 있던 병이나 자연의 이치로 이미 태어날 때부터 결벽증을 겪여왔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사람(인간, 숙주)'이라는 생명체는 여러가지 질병을 앓고삽니다. 기형아, 장애인 다같은 사람들 입니다. 연관성이 있는 사랑공포증, 혈액공포증(피공포증), 범공포증 이란것이 있습니다. 결벽증은 누구든지 가질수 있습니다. 매우 심하면 현실말고도 인터넷, 사이버 공간에서 결벽증을 가지고 있다는것을 자랑하면서 행동도 비정상으로 합니다. 자기가 극복하세요. --110.233.181.70 (토론) 2022년 9월 8일 (목) 09:51 (KST)답변
공포 장애, 강박 장애, 뇌졸중, 발작, 공황 장애? --121.82.120.70 (토론) 2022년 9월 8일 (목) 10:54 (KST)답변

편집을 하면 인생(삶)이 망하나요?[편집]

위키 편집과 인생은 아무것도 아니라고 하는데요. 삶은 현실을 살아가는 사람의 도리인데 편집하다가 차단을 당하거나 경고가 들어왔거나 법적 조치를 당해서 잡혀가거나 경찰청에서 연락이 오거나 그런게 다 가능해져서 위키를 편집하기만 하면 사람의 인생이 망하는지 이런 미스터리를 한번 알고싶습니다. 바깥 세상에서 싸움이 터져서 폭도가 일어났는데 테러를 당하는것처럼 사이버 세상에 위키도 이런게 관련이 있나 싶어요. 편집을 하다가 인생이 망해서 노숙자가 되는 상황도 생기는가요? --222.0.142.201 (토론) 2022년 9월 7일 (수) 17:46 (KST)답변

아뇨. ㅡ 키페 2022년 9월 7일 (수) 20:01 (KST)답변
발제자님 편집한다고 모든 사람이 잡혀간다고요? 어디서 검색하시고 들어오신 말인가요? 위키는 취미로 하시는거 아닙니까? 흥미와 취미는 자기가 잘하는거, 하고싶은것(하는것) 입니다. 위키에서 차단은 그렇다고 치고요. 억울하면 다른거하면 되잖아요. 일을 하던지, 기술을 배우던지, 게임이라도 하면서 독서(책)를 하던지 자기가 맞는거 하시면 됩니다. 경고먹는건 잘못하신게 있다, 사고를 쳤다 2가지 해당되겠습니다. 법적조치는 대 사고나 큰 잘못을 반복하지 않는 이상에서는 당하지 않는 정책입니다. 경찰서에서 연락이 오는건 악플 (댓글), 무작위 광고, 장난질, 모욕 (욕설), 폭력등이 있습니다. 위키도 경찰이 관여를 하기는 해요. 편집한다고 모든 사람들이 인생이 망하다는 이야기는 없습니다. 노숙자는 일 안해서 돈을 못벌면 쫒겨나서 노숙자 생활을 하는겁니다. --110.233.181.70 (토론) 2022년 9월 8일 (목) 10:11 (KST)답변

사람은 대체적으로 어느때에 인생에 대해 잘 안다고 자부하나요?[편집]

토론을하다가인생에대한 주제가 나와서 주제를 보시면 알다시피 어느때에 사람이 인생에대해잘아는지 자주 하는지 궁금해서요.또 인생은 뭐라 말해야하나요? 110.14.120.147 (토론) 2022년 9월 7일 (수) 22:54 (KST)답변

인생에 대한 사서를 보면 이렇게 말할수 있습니다.

인생은 인간의 삶으로 인간이 생명으로서 생을 받고 희비의 과정을 거쳐 사로 마무리되는 것을 말한다. 사자성어로는 생로병사(生老病死)라고도 합니다. 대비어는 축생(畜生, 동물의 삶)이 있다. 다만 인간이 아니어도 한 생물의 삶을 지칭할때 관습적으로 인생이라고 한다.

과학적인 관점에서 물리적, 화학적인 분자들의 정밀하고 간단한 화학작용에서부터 출발하여, 세포, 기관, 기관계로 이루어진 거대한 유기체이며, 스스로 사고 및 자각, 자신의 삶을 논할 수 있는 수준의 고등한 인격체, 즉, 인간의 태어남과 죽음을 아우르는 전반적인 삶을 말하고

한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지금까지 살아온 매 순간마다 선택의 결과물을 쌓아올려 지금의 '당신'이라는 존재의 결과물을 만들어낸 것이며, 그렇기에 세상은 그 누구도 자신을 포함한 다른 사람이 어떻게 될 지 전혀 알 수 없는 것이 인생입니다. 인생은 원래 고통의 연속이다.

그러니까 자기가 힘들면 자살하고 노숙자 생활하고 그런 방식인거죠. 신경쓰이면 자해, 방화, 살해, 인간.동물 토막내기, 고의적 화상(火傷) 행동을 할수 있습니다. 잘되면 인생 잘 살았다, 행복했다, 보람찬 인생이였다 이렇게 말할수도 있지요. --164.70.213.241 (토론) 2022년 9월 8일 (목) 10:27 (KST)답변

초안:아케메네스의 외국어 표기 관련[편집]

마지막 문장에서 제 기기가 이상한지 몰라도 글자가 살짝 깨지네요. 고쳐주시면 고맙겠습니다:) Alinism (토론) 2022년 9월 8일 (목) 18:40 (KST)답변

초안:아케메네스는 일반 이름공간으로 넘어갔고, 일반 이름공간 아케메네스 문서에서는 특별히 깨진 글자는 못 찾았는데 지금도 깨져서 보이시는지 다시 확인해주실 수 있나요? Yhs3329 (토론) (전자우편) 2022년 9월 16일 (금) 02:51 (KST)답변
지금 컴퓨터로 보는데 하나도 안깨집니다. 보완된 것 같습니다. Qwqwqwqwqwqwerewrqw3526 (토론) 2022년 9월 26일 (월) 02:13 (KST)답변

if 함수[편집]

위키백과:함수 문서를 보면, if 조건문을 {{ #if: <조건 문자열> | <조건이 참이면 나올 문장> | <조건이 거짓이면 나올 문장> }} 와 같이 사용하라 하는데, 조건 문자열을 작성하는 방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틀을 제작 중이고, 틀의 변수가 어떤 값과 같다면 특정 메시지를 출력하게 만들 예정인데 조건 문자열을 Python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처럼 {{{(변수명)}}} == (값) 과 같이 작성하면 되나요?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는건가요? ㅡ 키페 2022년 9월 9일 (금) 11:26 (KST)답변

알고 계실 수도 있지만 저 if문은 문자열이 공백일 시 거짓, 공백이 아닐 시 참이 산출되도록 되어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변수 값이 같을 때 출력하려면
{{#ifeq: {{{1}}} | 강아지 | 이 문자열은 강아지입니다. |}}
이런 식으로 틀을 작성하시면 될 것 같네요. -- ginaan기나ㅏㄴ(˵⚈ε⚈˵) 2022년 9월 9일 (금) 11:45 (KST)답변
와! 정말 감사합니다! ㅡ 키페 2022년 9월 10일 (토) 07:59 (KST)답변
@기나ㅏㄴ: 죄송하지만 하나만 더 여쭈어도 될까요? 거짓인 값이나 참인 값에 ifeq 함수를 하나 더 넣어도 되나요? ㅡ 키페 2022년 9월 10일 (토) 08:05 (KST)답변
가능합니다.
{{#ifeq: {{{1}}} | 강아지 | {{#ifeq: {{{2}}} | 수 | 얘는 수컷 강아지입니다. |얘는 강아지입니다.}} |}}
이런 식으로 작성하면 1 2 번 변수가 모두 참이면 수컷 강아지 출력, 2번 변수를 만족하지 못할 시 수컷 없이 강아지 출력, 뭐 이런 식이겠네요. -- ginaan기나ㅏㄴ(˵⚈ε⚈˵) 2022년 9월 10일 (토) 10:48 (KST)답변
감사합니다! ㅡ 키페 2022년 9월 10일 (토) 15:39 (KST)답변

틀: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편집]

펜로즈 테셀레이션 문서를 드디어 번역 끝!!냈지만 영위백과 한위백 틀이 다르네요.. en:Penrose tiling에서는 harvnb 틀이 바로 먹히는데, 한위백에선 안 돼요. 설명문서를 읽어봤는데, | ref = harv를 일일이 붙여야 할까요? -- 𝗨𝗻𝗶🦄𝗖𝗼𝗻 2022년 9월 10일 (토) 20:52 (KST)답변

"안돼요."라고 하셨는데, "안 된다"는 문맥은 여러 의미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구체적으로 풀어서 다시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ted (토론) 2022년 9월 14일 (수) 16:43 (KST)답변
@Ykhwong: 제 질문에 관심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위백 문서 en:Penrose tiling의 문서를 번역해서 펜로즈 테셀레이션 문서를 그대로 만들었지만, 영위백과 한위백의 틀 차이인지 기능이 잘 안 되네요. 예를 들어 영위백 문서의 각주 1번을 누르면 (도입부에 있습니다)
1. ^ Senechal 1996, pp. 241–244.
처럼 뜨는데 여기까진 제가 번역한 문서도 작동합니다. 그런데 영위백에서 Senechal 1996을 누르면 References 문단으로 넘어가는 것과 달리, 한위백의 1번 각주는 안 되더라고요.. 제가 틀에 관해 지식이 없어서 어디서 잘못됐는지 모르겠어요ㅠㅠ --𝗨𝗻𝗶🦄𝗖𝗼𝗻 2022년 9월 14일 (수) 23:43 (KST)답변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틀 잘못은 아닙니다. 위키백과:질문방/2022년 제35주#위키백과 번역의 각주 오류에도 비슷한 답변이 있었는데, {{인용}}, {{웹 인용}}, {{뉴스 인용}} 등의 인용 틀에 사용된 모듈이 문제인 것으로 비쳐집니다. 영어 위키백과의 것과 동일하게 최신화해주실 분이 필요합니다. --ted (토론) 2022년 9월 15일 (목) 08:50 (KST)답변

알찬 목록[편집]

한국어 위키백과의 알찬 목록 조건과 아랍어 위키백과의 알찬 목록 조건이 같나요? --알리니즘 2022년 9월 11일 (일) 12:32 (KST)답변

비슷하지만 조건이 다릅니다. --Benohight214 (토론) 2022년 9월 11일 (일) 22:46 (KST)답변
답변 감사합니다:) --알리니즘 2022년 9월 11일 (일) 22:50 (KST)답변
위키백과:알찬 목록 선정 기준
위키백과:알찬 글 선정 기준
이 두 곳에서 차이를 확인하시면 될 것같습니다. Qwqwqwqwqwqwerewrqw3526 (토론) 2022년 9월 26일 (월) 02:18 (KST)답변

우크라이나[편집]

전통적인 풍습이나 유명한역사

1.243.81.161 (토론) 2022년 9월 12일 (월) 14:41 (KST)답변

우크라이나 문서참조 Passinby1 (토론) 2022년 9월 12일 (월) 15:01 (KST)답변
질문방엔 위키백과 관련 질문만 Passinby1 (토론) 2022년 9월 12일 (월) 15:02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