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프로젝트토론:선거/보존3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3년 전 (2001:2D8:ED1C:576E:0:0:45CB:6303님) - 주제: 선거구 문서


{{선거도표/정당}}의 독립 필요

현재 정당 색상이 정의 되고 있는 {{선거도표/정당}}의 독립과 국가별 분할이 필요합니다. 현재는 {{득표율}}, {{선거도표}}, {{득표목록}}, {{선거 정보}}, {{정당 정보}}에 연결되어 정당의 색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선거 관련 문서가 늘어감에 따라 해당 관련 정당의 정의가 늘어가는 것은 기정 사실이며, 정당색 정의 또는 적용 함에 있어 일원화의 편의를 위해 {{선거도표/정당}} 문서의 독립과 국가별 분할이 필요합니다. Darkbosal (토론) 2013년 4월 8일 (월) 22:44 (KST)답변

대선 문서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되돌리기가 발생하는데, 이에 대해서 기준이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없다면, 선거비용 환급 대상인 15% 득표를 기준으로 그 이상인 후보만 정보상자에 삽입하도록 기준을 정했으면 합니다. Ø᚛ᚄᚙᚂᚖᚋᚙᚅᚇᚖ᚜ (토론 / 기여) 2013년 6월 19일 (수) 08:52 (KST)답변

군소후보는 해당 선거에 미미한 영향력을 미칠뿐더러, 만약 19대 대선에서 200명의 대통령 군소 후보가 난립한다면 그 것들을 다 문서에 넣으실 작정이십니까? 괜히 지금까지의 대선 문서들에서 유력 후보만 정보 틀에 삽입한걸로 보시는지요? 18대 대선 문서의 해당 편집 덕분에 문서 모양새가 전체적으로 보기 흉해졌습니다. 저는 절대 반대입니다. 군소후보까지 대선 문서 틀에 집어 넣는거 --아우구스투스 (토론) 2013년 6월 19일 (수) 12:37 (KST)답변
.......지금 제 제안을 제대로 읽어는 보신 건가요? 저는 "득표율 15% 이상"이었던 후보만 정보상자에 삽입하자고 제안한 겁니다. Ø᚛ᚄᚙᚂᚖᚋᚙᚅᚇᚖ᚜ (토론 / 기여) 2013년 6월 19일 (수) 13:57 (KST)답변
15%면 괜찮네요 --아우구스투스 (토론) 2013년 6월 19일 (수) 14:54 (KST)답변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불필요한 마찰음 내고 싶지 않습니다. Ø᚛ᚄᚙᚂᚖᚋᚙᚅᚇᚖ᚜ (토론 / 기여) 2013년 6월 19일 (수) 14:57 (KST)답변
대한민국의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경우, 혹은 의회 선거의 경우도 포괄적으로 생각해 볼 수는 없을까요? 양당제가 명확하거나 그러한 대립구도가 명확한 경우도 있지만 영국이나 일본처럼 제3당의 결과가 때때로 달라지는 경우도 있으며 (15% 안팎) 연립도 어떻게 표기할 것인지 생각해 봐야 하구요. 두 자리수 지지율인 10% 정도를 기준으로 삼는 것이 어떨까 생각합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3년 6월 19일 (수) 16:15 (KST)답변
15%로 합시다. 우리나라에 크게 영향 미치려면 15%는 되지 않을까 합니다. Jytim (토론) 2013년 6월 19일 (수) 16:33 (KST)답변
전 10%로 하겠습니다 --아우구스투스 (토론) 2013년 6월 19일 (수) 16:37 (KST)답변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같은 경우 어떻게 하지요? 김종필 후보 같은 경우 역사적, 지역구도적, 정치역학적으로 상당한 중요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지만, 득표율이 8%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유도리를 발휘할 수 있을까요? Ø᚛ᚄᚙᚂᚖᚋᚙᚅᚇᚖ᚜ (토론 / 기여) 2013년 6월 19일 (수) 17:21 (KST)답변
기준이 되는 득표율을 정해 놓되, 그 외에 기재해야 할 만한 인물에 분쟁이 발생할 경우에는 토론을 거쳐 결정하도록 하는게 어떨까요? 지침이라는 것 자체가 '지침'일 뿐이니까요 :)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3년 6월 19일 (수) 18:51 (KST)답변

5%면 적당할 것 같은데요.. --토트 2013년 6월 19일 (수) 23:27 (KST)답변

2013년 이란 대통령 선거의 경우, 한 명을 제외한 모든 후보 (5명)를 등재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기에 조금 무리가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양당제나 양강 대립 구도의 경우 두 명을, 다당제의 경우 세 명을 허용하되 그 이상의 인물에 대해서는 논의하기로 하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3년 6월 20일 (목) 01:01 (KST)답변

국가별로 달리 해야하지 않을까요? 기준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토트 2013년 9월 26일 (목) 18:27 (KST)답변

@Salamander724, 아우구스투스, 관인생략, Jytim, Dmthoth:토론: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틀에 군소후보를 넣자 vs 틀에 군소후보를 빼자에 대해서도 선거 위키프로젝트 참여자분들의 의견을 구합니다.--Gcd822 (토론) 2017년 12월 24일 (일) 19:45 (KST)답변

미국 총선 문서

미국의 상원 및 하원의 의원선거 문서에서 상원은 192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부터, 하원은 194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부터 문서가 한 줄로 이루어진 토막글입니다. 제가 선거에 관해 잘 몰라서 문서를 살찌울 수가 없습니다. 선거 프로젝트 참여자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D -- 흑메기Sjsws1078 (토론·기여) 2013년 11월 6일 (수) 11:55 (KST)답변

프로젝트 제안: 선거공약관리

선거공약을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프로젝트를 별도로 만드는 건 어떨까요? 제가 생각해본 프로젝트 주요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 선거 직후 모든 당선자의 문서 생성과 선거공약 등재 (국회의원 선거를 중점으로 관리하고, 프로젝트가 활성화 된다면 자치단체장과 기초지방의회 의원들까지도 확대 관리)
  • 이후 임기만료까지 주요 언론사, 전문가들의 평을 토대로 공약 이행 여부를 표시
  • 장기적으로 연도별, 후보별 공약과 이행여부를 별도로 정리해 볼 수 있는 '대한민국의 역대 공약' 정도의 문서 마련, 정리

이런 활동을 중점으로 하는 프로젝트가 있으면 어떨까 싶어서 제안해봅니다. --Realist (토론) 2015년 4월 27일 (월) 21:01 (KST)답변

선거구 문서

최근 선거구 문서가 대부분 만들어졌는데, 기존의 시군별 국회의원 문서와의 연결이 잘 안되어 있네요. 김해시의 국회의원김해시 갑/김해시 을 문서를 "함께 보기"로 엮으면 편리하지 않을까요? @밥풀떼기: -- ChongDae (토론) 2018년 5월 31일 (목) 11:29 (KST)답변

후자의 경우 지적하신 김해시 갑을 같은 일부 문서를 제외하고 대부분 본문 내에 국회의원 문서를 참고하도록 링크해 두었습니다. 국회의원 문서에서의 선거구 문서 링크 다는 작업만 남았습니다. --"밥풀떼기" 2018년 5월 31일 (목) 13:29 (KST)답변


최근 일부사용자가 관할구역에 큰 차이가 없음에도 1번 합구됐다 재분구된 선거구를 별개로 생성하는데 그렇게 생성할 이유가 없습니다. --2001:2D8:ED1C:576E:0:0:45CB:6303 (토론) 2020년 9월 12일 (토) 01:34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