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철도/병기역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는 철도 프로젝트에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해진 내용입니다. 이는 2013년 1월 11일 (금) 01:12 (KST)부터 시행되며, 인접 정차역 관련 내용은 관련 토론이 끝나면 시행됩니다.-- 분당선M (T · C) 2013년 1월 11일 (금) 01:12 (KST)

역명 용어 개념[편집]

  • 역명 : 어떤 역을 지칭하는 모든 이름.
  • 공식역명 또는 원래역명 : 어떤 역의 명명권을 가진 자 또는 단체가 결정하고 고시·공고한 이름.
  • 부기역명 : 공식역명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어떤 역 내의 역명판, 역사 외부의 역간판, 출입구의 역간판에 부기하여(곁들여서) 사용되는 역명.
  • 병기역명 : 공식역명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나머지 부분과 병기한(함께 나란히 쓴) 것처럼 보이는 부분.
  • 주역명 : 공식역명에서 병기역명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 통용표기 : 어떤 역을 생활권역으로 둔 대다수의 사람들이 통상적으로 그 역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이름을 적은 것.

지침[편집]

{{철도역 정보}}[편집]

  • 위의 역명 공간에는 공식역명을 영업거리표에는 주역명만 쓴다.

{{인접정차역}}[편집]

각 노선 틀[편집]

  • 공식역명을 쓴다

각 노선 문서[편집]

  • 공식역명, 부기역명 다 쓴다

각 문서의 역 구조 문단[편집]

  • 일단은 주역명만 쓰도록 한다.
    • 이 부분은 논의되지 못했기에 임시방편으로 이렇게 하고 나중에 추후 논의.

틀:노선도[편집]

  • 주역명만 쓴다

예외사항[편집]

같은역명이 2개있는경우[편집]

  • 주역명만 적기로 합의한 부분에서 하나의 운영 회사에 주역명이 같으면서 서로 환승역의 관계가 아닌 역이 존재할 경우에는 공식역명을 다 쓴다.

이에 해당하는 역[편집]

  • 김천(구미)역 : 김천역, 구미역이 전혀 다른 위치에 별도로 존재하며 실제 사용례도 병기역명을 모두 붙이는 것이 압도적임. 또한 소괄호도 공식역명에 포함됨.

해당하지 않는 예[편집]

  • 신촌역 (지하)역에서의 "(지하)"는 부기역명으로 공식역명이 아닙니다.
  • 청량리역의 지상역과 지하역 - 2010년 8월 20일 부로 환승통로 개통으로 인해 서로 환승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구분할 필요가 없어졌음.

역역 관련 예외조항[편집]

  • 가까이 위치한 같은 역명의 지상 철도역과 겹치는 지하역들 (ex. 서울역, 동대구역, 부산역등..) 은 정식역명 (예시 :서울역역 동대구역역)등은 마지막 "역"자를 생략하도록 한다(OO역역->OO역) .
    • OO역 (도시 철도)’를 표제어로 하고, 문서의 도입부에서 굵게 처리하는 역명은 ‘OO역’으로 한다.
    • 단, 주석등을 이용해 정식역명이 OO역역임을 알릴 필요가 있다.

예시[편집]

이번 지침이 채택된뒤 해당 지침을 준수해 편집한 문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