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평 (1577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평
柳玶
조선국 순무영 창의도유사
(朝鮮國 巡撫營 倡義都有司)
임기 1624년 2월 29일 ~ 1630년 3월 2일
군주 조선 인조 이종
섭정 흥안군 이제(前)
영의정 이원익(前)

신상정보
출생일 1577년
출생지 조선 전라도 광주
거주지 조선 전라도 광주
조선 충청도 서산
조선 충청도 논산
조선 전라도 나주
조선 강원도 춘천
조선 경기도 고양
조선 경기도 양주
조선 경기도 광주
조선 경기도 시흥
조선 한성부
사망일 ?
정당 무소속
본관 서산(瑞山)
부모 유경진(부)
평택 임씨 부인(모)
형제자매 형 유완(柳琬)
형 유전(柳瑑)
형 유종(柳琮)
자녀 장남 유창익(柳昌翊)
차남 유명익(柳明翊)
3남 유소익(柳昭翊)
4남 유형익(柳亨翊)
친인척 유사(친조부)
임형수(외조부)
종교 유교(성리학)

류평(柳玶, 1577년 ~ ?)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서산(瑞山). 자(字)는 화보(和甫), 호(號)는 송암(松庵).

주요 이력[편집]

전라도 광주에서 출생하였으며, 충청도 서산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다. 승지(承旨)를 지낸 유사(柳泗)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장사랑(將仕郞)을 지낸 유경진(柳景進)이고 어머니 평택 임씨(平澤林氏)는 금호(錦湖) 임형수(林亨秀)의 여식이다. 그는 일찍이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생으로 성리학에 전념하여 김장생이 그를 거인(巨人)과 장덕(長德)으로 추대하였다.

천거되어 참봉(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하였고, 광해군 시절에는 세상과의 인연을 모두 끊었다.

1624년(인조 2) 갑자식년사마시(甲子式年司馬試)에 진사 3등으로 합격하였다. 그 해 이괄의 난(李适ㅡ亂)이 발발하자, 창의도유사(倡義都有司)가 되어 난을 평정하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의병장(義兵將)이 되어 청주(淸州)까지 진군하였다가 강화도(江華島)의 화의 소식을 듣고 귀향하여 두문불출하였다. 뒤에 현재 나주시(羅州市)에 있는 경렬사(景烈祠)에 배향되었다.

슬하에 유창익(柳昌翊), 유명익(柳明翊), 유소익(柳昭翊), 유형익(柳亨翊) 4형제를 두었다. 유명익은 1651년(효종 2) 신묘식년사마시(辛卯式年司馬試)에 생원 3등으로 합격하였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