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진팔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육진팔광(六眞八匡)은 효민공(孝敏公) 석문(石門) 이경직(李景稷)의 증손 북곡(北谷) 이진유(李眞儒)가 영조 6년(1730년) 고령의 나이에 문초(고문)로 옥사(사망)하자 일제히 벼슬을 버리고 강화도(江華島)로 들어가 살아갈 터를 잡은 후, 출사(出仕)를 단념하고 오로지 학문에만 힘썼던 그 후손들을 말한다.

개요[편집]

유학(儒學)의 일파인 양명학(陽明學)을 수학하여 학문적으로 강화학파(江華學派)를 구성하고, 정치적으로 소위(所爲) 소론(少論)이라는 정치집단에 참여하여 숙종(1674~1720), 경종(1720~1724), 영조(1724~1776), 정조(1776~1800)노론(老論)의 패권주의, 부정부패에 대항하여 활약한 14 혹은 15 명의 관료 정치인이면서 동시에 지식인(知識人)들을 일컫는다. 시기적으로 노론(老論)이 득세하던 시기에 정치적 탄압으로 인해 유배 등으로 삶을 마감하였으나 그 후손들은 외유내양(外儒內陽)하며 강화학파를 계승하여 조선후기 정치사상가(특히 소론계열), 실학자, 항일(독립)운동가, 민족학자, 국문학자 등에게 중차대한 영향을 끼쳤다.

육진팔광(六眞八匡)이란 조선 2대왕 정종의 열째 왕자 덕천군(德泉君)의 후손중에

  • 육진(六眞)은 진(眞)자(字) 항렬, 9 대손 의 6 혹은 7 명과
  • 팔광(八匡)은 광(匡)자(字) 항렬, 10 대손의 8 명을 가리킨다.

즉, 효민공(孝敏公) 석문(石門) 이경직(李景稷)[1] 후손 중에서

  • 육진(六眞)은
    • 이만성(李晩成) 가문에서 이조참판 북곡(北谷) 이진유(李眞儒),
    • 이대성(李大成) 가문에서 예조판서 각리(角里) 이진검(李眞儉), 시직, 헌납 서천(西泉) 이진급(李眞伋),
    • 이덕성(李德成) 가문에서 전라감사 하서(荷西) 이진순(李眞淳), 황해감사 서간(西澗) 이진수(李眞洙),
    • 이집성(李集成) 가문에서 고령(70세)에 당상관에 오른 희안(希顔) 이진경(李眞卿) 등을
  • 팔광(八匡)은
    • 이구성(李九成) 가문에서 공조참판 우헌(愚軒) 이광세(李匡世),
    • 이관성(李觀成) 가문에서 도승지 이광보(李匡輔),
    • 이대성(李大成) 가문에서 중옹(中翁) 이광찬(李匡贊), 학자스타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
    • 이덕성(李德成) 가문에서 사림 제1인자 월암(月巖) 이광려(李匡呂)

등이 해당되며,

또한, 문충공(文忠公)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2] 후손 중에서

등을 일컫는다. 서적에 따라 다를수 있다.[3]

주요 저작[편집]

  • 《우곡일기(愚谷日記, 우곡 이유간)》 10권, 《동추공일기(同樞公日記, 우곡 이유간)》
  • 《석문공유고(石門公遺稿, 석문 이경직)》
  • 《백헌집(白軒集, 백헌 이경석)》 49[4](문서, documents) 21[5](책, books)
  • 《참판공집(參判公集, 이후영)》
  • 《소학서문(小學序文, 반곡 이덕성)》 - 어제소학서(御製小學序, 숙종)
  • 《시직공유묵(侍直公遺墨, 이진원)》
  • 《농수수문록(農叟隨聞錄, 농수 이문정)》 - 노론의 입장에서 쓴 노론4대신의 기록.
  • 《신임일기(辛壬日記, 농수 이문정)》
  • 《속사미인곡(續思美人曲, 북곡 이진유)》 장편 가사
  • 《도운공유집(陶雲公遺集, 도운 이진망)》 2책
  • 《관양집(冠陽集, 관양 이광덕)》 19권 4책
  • 《이쥬풍속통(夷州風俗通, 이광명)》 - 언문으로 작성, 갑산의 지리와 풍속(風俗), 국문학사의 중요자료.
  • 《증 참의공 적소시가(贈 參議公 謫所詩歌, 이광명)》 가사1편, 시조3수 - 북찬가(北竄歌, 영조31 (1755) 년)
  • 《원교집(圓嶠集, 원교 이광사)》 10권 4책
    • 《동국악부(東國樂府)》 가사30편, 시문, 《두남집(斗南集)》, 《수북집(壽北集)》
    • 《오음정서(五音正序)》, 《원교서결(圓嶠書訣)》
  • 《군방보(群芳譜, 월암 이광려)》 - 한성에 고구마 종자 보급.
  • 《리참봉집(李參奉集, 월암 이광려)》 4권 2책
  • 《선고집(先藁集, 항재 이광신)》 3권 - "의왕주문답(擬王朱問答)", "변도보리기설(辨道甫理氣說)", "빙탄록(氷炭錄)", "여양중변주리기설(與襄仲辨朱理氣說)", "정하곡 학문설(論 鄭霞谷 學問說)" 등이 수록.
  • 《중옹유고(中翁遺稿, 중옹 이광찬)》, 《평두남(評斗南, 중옹 이광찬)》 - 두남(斗南)은 원교 이광사의 호(號)
  • 《선부군언행유사(先府君 言行 遺事, 이양익)》
  • 기타등등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2] [3] [4] [5]

  1. * 문충공 이경석 묘역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운중동), 경기 기념물 84호 Archived 2013년 9월 22일 - 웨이백 머신).
  2. * 참고 문헌: 《리참봉집(李參奉集, 월암 이광려)》, 한국고전종합 데이터베이스(DB) 보관됨 2012-07-23 - archive.today (검색어:"六眞" 혹은 "八匡")
    • 권(卷, documents)의 의미는 내용별로 나뉘는 단위를 의미하며
    • (예시) 1장, 2장, ... 9장, ... 이런 내용별, 주제별 분류를 고전에서는 문서 권(卷, documents)을 의미한다.
    • 책(冊, books)의 의미는 여러 권(卷, documents)을 일정한 분량별(페이지수)로 묶는 양적인 단위를 말한다.
    • (고전) 백헌집 49권 21책이란
    • (해석) 내용별로 49개 문서(documents, 卷)로 나뉘어져 있으며, 일정한 분량으로 문서(卷)들을 묶어서 21책(books, 冊)으로 되어 있다는 의미.
    • (한자) (책)은 상형문자이며 왕명이 적힌 패찰을 엮은 것을 본뜬 문자이다. -다음한자사전-

외부 링크[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