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향교

의성향교
(義城鄕校)
대한민국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종목유형문화재 제150호
(1982년 2월 24일 지정)
수량5동
시대조선시대
위치
의성향교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의성향교
의성향교
의성향교(대한민국)
주소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도동리 808번지
좌표북위 36° 20′ 55.1″ 동경 128° 41′ 59.4″ / 북위 36.348639° 동경 128.699833°  / 36.348639; 128.699833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의성향교(義城鄕校)은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1982년 2월 24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150호로 지정되었다.

개요[편집]

의성의 향교는 의성읍 도동동 동산(東山) 위에, 오토산(五土山)과 금성산(金城山)이 바라보이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의성현지》(義城縣誌)에 따르면 의성이 문소군이라 불리게 된 시기 초에 현 동쪽 1리 되는 곳에 공자묘(孔子廟)가 있었다고 하여, 당시에는 공자를 비롯한 5성을 제향(祭享)하는 문묘(文廟)의 구실만 한 듯하고 그 위치는 중리동 아사천(衙舍川) 인근이 아닌가 추측되고 있다.[1] 의성의 공자묘는 고려 초 이후 향교의 역할까지 겸했으나 점점 쇠퇴해졌다.

조선 초기에 퇴락한 건물을 다시 지었다. 명 홍치(弘治, 1488-1505) 연간인 성종 때에 의성현령 이종준(李宗準)이 동산으로 이전하였으며,[2] 인종 1년(1545)에 한 차례 증축, 중수하였고,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선조 35년(1602년)에 현령 허민중(許旻重)이 복원하였으며 이 시기에 동서무를 건립하였다. 이듬해인 선조 36년(1603년) 대성전 내 위판(位版) 일부가 없어져 당시 경상감사 이시발이 사건을 조사하였다.[3] 당시 의성향교의 대성전에 모셔져 있던 위판 가운데 대성(공자)의 위판과 술성공, 예국공, 낙국공의 위판은 완전히 소실되었고, 복성공, 종성공, 아성공의 위판은 상 아래에 거꾸로 놓여 있거나 문 밖에 던져져 있기도 하였다. 이 가운데 상 아래에 거꾸로 놓인 것은 특별히 더러워지거나 손상되지 않은 것은 그대로 봉안하고, 없어진 것과 부판이 문 밖에 던져진 것은 모두 새로 위판을 제작하게 하였으며(도국공 위판은 대성전 뒤에 매안되었다) 새로운 위판이 완성된 뒤에 각 위에 대한 위안제를 한꺼번에 설행하게 하였다. 사건의 주범으로 지목되어 안동부에 수감된 김건상은 경차관을 보내 정상을 조사한 뒤 법에 따라 처벌하도록 하였다.[4] 한편 의성현령 장현광은 "성품이 본래 오활하여 관의 업무를 다스리지 못하는 바람에 휘하 아전들이 농간을 부려서 백성들이 그 폐해를 받고 있고, 이로써 영남의 고을 하나가 나날이 조폐해지고 있으니 파직해야 한다"는 사헌부의 탄핵에 의해 파직, 사흘 뒤 심관이 신임 의성현령이 되었다.

현종 11년(1670년)에 현령 이당규(李堂揆)가 향교를 확장하였고, 숙종 7년(1681년)에 대성전을 보수하였다.[5]

영조 21년(1745년)에 대성전과 명륜당이 중건되었으며, 38년(1762년)에 대성전[6]과 광풍루가 중수되었다.[7] 순조 5년(1805년)에는 향교에 딸린 전답을 더 사들이기도 하였다.

철종 2년(1851년) 대성전에 빗물이 새어 연목과 기와를 교체하였다.[8]

고종 8년(1871년)에는 대성전, 명륜당, 광풍루의 서까래와 기와를 교체하고, 단청을 입혔다.[9] 고종 26년(1889)에 대성전을 중수하였으며,[10] 고종 27년(1890)에 감사 민시중(閔蓍重)이 대성전을 확장 중건하였다.[11]

1910년에는 광풍루를 중수하였으며, 1921년에 명륜당을 중건하면서 대성전, 대성전 정문, 서협문, 공수고(供需庫), 서재 등을 보수하고 광풍루에 난간을 덧붙였다.[12] 일제시대에는 전반적으로 향교 기능이 위축된 상태였으나 유림의 노력으로 1930년에는 위토(位土)를 정비하고 향교의 대성전과 명륜당, 광풍루, 담장 및 상탁(床卓)을 개수하였다.[13]

해방 뒤 1950년 6.25 전쟁으로 위판이 소실되었다가 1954년에 복향(復享)하였다. 1968년에 향교 일곽을 보수하였으며,[14] 1971년에 광풍루를 중수하고,[15]

1980년에 대성전을 중수하였다.[16] 1982년에는 명륜당과 광풍루를 보수하였고,[17]

1991년에 서재를 신축하였으며 일곽을 보수하였다. 이후 1992년1993년, 1994년, 1997년에 각각 보수하였다.

참고 자료[편집]

각주[편집]

  1. 의성향교
  2. 문소향교성전중수기(聞韶鄕校聖殿重修記), 成均館, 『校宮大觀』, 成均館, 2003 ; pp.898-902
  3. 선조실록(宣祖實錄) 선조 36년 12월 9일 경인
  4. 《선조실록》선조 36년 12월 14일 을미
  5. 대성전 암막새에 남아 있는 명문에는 조선 숙종 7년에 해당하는 강희(康熙) 20년 신유(辛酉)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는데, 이 시기의 기록은 현재 찾을 수 없으며, 보수의 범위 또한 정확히 알 길 없으나 최소한 산자 이상 해체 보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6. '성전중수기'(聖殿重修記), 成均館, 『校宮大觀』, 成均館, 2003 ; pp.909-911
  7. '항교성전중수여포우변통기'(鄕校聖殿重修與脯牛變通記). 기문 말미에 '上之十二年丁未十二月'로 되어 있으나 맞는 해가 없으며 다만, 영조 11년(1787년) 혹은 헌종 13년(1847년) 중 하나일 것으로 추정된다(成均館, 위의 책, pp.907-909).
  8. '성전중수기' 기문 말미에 '丙辰嘉平下澣'이라 되어 있어 1856년에 작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成均館, 위의 책, pp.916-918).
  9. '향교중수기'(鄕校重修記). 기문 서두에 '聖上八年辛未', 기문 말미에 '龍集甲戌二月上澣'이라 되어 있어 1874년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成均館, 위의 책, pp.918-920).
  10. '성전중수기'에 '金上二十六年己丑'으로 되어 있고, 기문 말미에 '歲己丑重陽月'이라 되어 있어, 1889년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成均館, 위의 책, pp.923-925).
  11. '문소향교성전중수기' 말미에 '康熙庚戌後二百二十一年庚寅具月上澣'이라 되어 있어 1890년에 작성된 기문임을 알 수 있다(成均館, 위의 책, pp.898-902).
  12. '명륜당중건기'(明倫堂重建記). 기문 중간에 중건 및 보수 기록을 언급하면서 '신유'(辛酉)라 하였고, 기문 말미에 '孔夫子誕降二千四百七十三年壬戌仲春'이라 되어 있어 1921년에 중건하고, 기문은 다음 해인 1922년에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成均館, 위의 책, pp.930-933).
  13. '문묘중수기'(文廟重修記). 말미에 '孔夫子誕降後二千四百八十一年 庚午'라 되어 있어 1930년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成均館, 위의 책, pp.933-934).
  14. 의성향교중수기(義城鄕校重修記). 기문 말미에 '孔夫子誕生二千五百十九年戊申仲秋日'이라 되어 있어 1968년에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成均館, 위의 책, pp.936-938)
  15. 의성향교광풍루중수기(義城鄕校光風樓重修記). 기문 말미에‘隆熙庚戌後再辛亥三月己巳’라 되어 있어 1971년에 기문을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16. '대성전중수기'(大成殿重修記). 중수기간은 무오(戊午) 봄부터 기미(己未) 가을까지로 1978년에서 1979년 사이에 중수되었고, 기문 말미에 '檀紀四千三百十三年庚申三月下澣'이라 되어 있어 기문은 1980년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成均館, 『校宮大觀』, 成均館, 2003 ; pp.940-941)
  17. 의성향교중수기. 기문 말미에 '孔子紀元二千五百三十三年壬戌八月'이라 되어 있어 1982년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成均館, 위의 책, pp.942-943)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