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이병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병한(1978년 ~ )은 대한민국의 역사학자이다. 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했다.[1][2][3][4] 역사가이자 언론인이었던 박은식신채호를 롤 모델로 삼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학력[편집]

  •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학사학위
  • 연세대학교 역사학과 석사학위
  • 연세대학교 역사학과 박사학위(박사 논문 '중화세계의 재편과 동아시아 냉전: 1945~1991')

경력[편집]

  • 중국 상하이 자오퉁(交通)대학교 국제학대학원, UCLA 한국학연구소, 베트남 하노이 사회과학원, 인도 네루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등에서 공부·연구
  • 월간 《말》 편집위원
  • 창비 인문사회 기획위원
  • 세교연구소 상근연구원
  • 2015년 ~ : 《프레시안》 기획위원
  • (전) 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연구교수

후기[편집]

불교에 따르면, 이 세상에 자유의지란 없다. 모든 것은 필연적이다. 즉, 모든 것은 원인과 결과라는 인과법(因果法)에 따라 굴러간다. 따라서, 성인(聖人)이나 현명한 자는 이러한 흐름을 그저 고요히 지켜볼 뿐이다. 단, 선한 업을 많이 쌓으면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나 자유를 얻을 수 있다고 불교는 말하고 있다. (이 자유에는 자유의지도 포함된다.)

제일 중요한 것은, 나를 버리고 남을 위해 사는 것이다. 이타행을 실천하는 것이다. 학문을 연구하든, 예술을 하든, 모든 행(行)의 목적은 이타(利他)에 있다. 북송의 범중엄도 일찍이 '내가 책을 읽는 것은 세상 사람들을 돕기 위해서다'라고 한 바 있다.

저서[편집]

각주[편집]

  1. 김치관. 이병한 “현대와 전통 분단체제 극복이 최대 화두”. 통일뉴스. 2018년 3월 26일.
  2. 김지은. ‘진짜 보수’ 윤여준, 인터뷰어가 되다. 한국일보. 기사입력 2019년 5월 3일. 기사수정 2019년 5월 7일.
  3. 정대하. 유라시아 이야기 들으며 대륙으로 이어질 미래를 꿈꾼다. 한겨레. 2019년 5월 29일.
  4. 허단비. '유라시아 견문' 이병한 교수, 광주 서구아카데미 강연. 뉴스1. 2019년 10월 19일.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