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이정 필 삼청첩

이정 필 삼청첩
(李霆 筆 三淸帖)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제1984호
(2018년 6월 27일 지정)
수량1첩
시대조선시대
관리전**․전**(간송미술문화재단)
위치
주소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좌표북위 37° 35′ 36″ 동경 126° 59′ 48″ / 북위 37.59333° 동경 126.99667°  / 37.59333; 126.99667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이정 필 삼청첩(李霆 筆 三淸帖)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간송미술관에 있는, 조선시대 화가 탄은(灘隱) 이정(李霆, 1554~1626)이 1594년 12월 12일 충남 공주에서 그린 그림이다. 2018년 6월 27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984호로 지정되었다.[1]

개요[편집]

‘이정 필 삼청첩’은 조선 17세기 종실(宗室) 출신 화가 탄은(灘隱) 이정(李霆, 1554~1626)이 1594년 12월 12일 충남 공주에서 그린 그림으로, 총 1첩의 54면으로 구성된 서화첩(書畫帖)이다.[1]

이정은 조선시대 묵죽화(墨竹畫)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이 화첩에는 이정의 묵죽화 뿐만 아니라 매화와 난 그림이 수록되어 이정의 다양한 작품세계를 알 수 있게 해 준다. 쪽빛으로 물들인 비단 위에 금니(金泥)로 사군자의 생태(生態)와 관련된 모습을 정교하게 묘사하여 매우 화려하고 섬세하다.[1]

‘삼청첩’에는 이정의 그림 뿐 아니라 최립(崔岦, 1539~1612), 차천로(車天輅, 1556~1615) 등 이정과 교유한 당대인들, 윤신지(尹新之, 1582~1657), 송시열(宋時烈, 1607~1689) 등 후대인들의 발문이 포함되어 이 첩의 제작시기와 전래경로를 명확하게 전해준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를 더해 주고 있다. 이 화첩은 조선시대 사군자화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에 중요한 작품이자 조선시대 최고의 묵죽화가 이정의 수준 높은 필력(筆力)을 보여주는 대표작이라는 점에서도 학술적․예술적 가치가 높다.[1]

각주[편집]

  1. 문화재청고시제2018-77호(국가지정문화재〈국보, 보물〉 지정 및 해제), 제19284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18. 6. 27. / 118 페이지 / 706.4KB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