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이헬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헬스(eHealth, 또는 e-health)는 의학이 개입하는 임상 현장이나 보건 영역에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이헬스의 이(e)는 전자(電子)를 뜻하는 electronic에서 유래하였다. 세계보건기구는 이헬스를 "정보통신기술건강에 이용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이를 통해 건강 서비스의 효율성과 접근성, 질 관리를 도모한다.[1][2] 일반적으로 이헬스는 기술(technology)의 맥락 속에서 건강과 연결지어지며, 기술은 이헬스를 구현하는 수단이자 이헬스 그 자체로 정의된다.[3] 의료정보학과 기술 발달에 힘입어 이헬스는 전자의무기록, 원격의료, 모바일 헬스, 그리드 컴퓨팅블록체인을 활용한 의료 기술 등과 같이 광범위한 분야를 포괄하고 있다.[4][5]

역사[편집]

의학 학술지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의 편집장 군터 아이센바흐는 이헬스(eHealth)가 1990년대 후반에 만들어진 신조어라고 설명하였다.[6] 실제 ICT가 처음 의학에 쓰인 것은 1905년으로, 심전도를 개발한 빌럼 아인트호벤전화선을 이용해 병원에서 자신의 연구실로 심전도를 전송한 기록이 있다.[7] 1960년대 중반 록히드 사에 의해 최초의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이 개발되고,[8] 1967년에는 미국에서 최초의 원격의료 시스템이 시도되었다.[9] 인터넷의 본격적인 발달 이후 WHO는 1998년 결의안 EB101.R3을 통하여 인터넷을 이용한 의료 상품 광고/판매 제도 마련을 촉구한다.[10] 이후 2005년 제58회 세계보건총회에서 이헬스에 관한 결의안 WHA58.28을 채택하고, 이헬스 연구조사기관인 Global Observatory for eHealth를 신설하였다.[11] 유럽연합은 2012년 《eHealth Action Plan 2012–2020》을 수립하고 보건의료법을 개정하여 이헬스 정책을 제도화하였다.[12]

한편 기업의 이헬스 시장 참여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핀란드의 폴라(Polar) 사에 의해 1982년 최초의 휴대용 무선 심박수 모니터가 출시되었다. 핏빗이 2007년에 설립되었다. 구글은 2008년 구글 헬스 서비스를 출시하였고, IBM은 2011년 왓슨 헬스케어 서비스를 출시하였다.[7] 인터넷을 활용한 의료 정보 공유 역시 일반인들의 건강증진에 기여하였다.[13]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WHO (2006). “Building foundations for eHealth : progress of member states : report of the Global Observatory for eHealth” (PDF). 《WHO》. ISBN 9789241595049. 2012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0월 5일에 확인함. 
  2. “PAHO eHealth”. 《Pan American Health Organization》. 2019년 10월 5일에 확인함. 
  3. Oh, Hans; 외. (2005). “What Is eHealth (3): A Systematic Review of Published Definition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7 (1): e1. doi:10.2196/jmir.7.1.e1. PMC 1550636. PMID 15829471. 2019년 10월 5일에 확인함. 
  4. GridTalk. “The Future of Healthcare: eHealth and Grid Computing” (PDF). European Commission. 2019년 10월 5일에 확인함. 
  5. Alonso, Susel Góngora; 외. (2019년 3월). “Proposing New Blockchain Challenges in eHealth”. 《Journal of Medical Systems》 43: 64. doi:10.1007/s10916-019-1195-7. PMID 30729329. 
  6. Eysenbach, Gunter (2001). “What is e-health?”.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3 (2): e20. doi:10.2196/jmir.3.2.e20. PMC 1761894. PMID 11720962. 2019년 10월 5일에 확인함. 
  7. Meier, Carlos A.; Fitzgerald, Maria C.; Smith, Joseph M. (2013). “eHealth: Extending, Enhancing, and Evolving Health Care”. 《Annual Review of Biomedical Engineering》 15: 359-382. doi:10.1146/annurev-bioeng-071812-152350. PMID 23683088. 
  8. Atherton, Jim (2011).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 Health Record”. 《Virtual Mentor》 13 (3): 186-189. doi:10.1001/virtualmentor.2011.13.3.mhst1-1103. 
  9. Zundel, Karen M. (1996년 1월). “Telemedicine: history, applications, and impact on librarianship”. 《Bulletin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84 (1): 71–79. PMC 226126. PMID 8938332. 2019년 10월 5일에 확인함. 
  10. “Cross-border advertising, promotion and sale of medical products through the Internet” (PDF). 《WHO》. 1998년 1월 23일. 2019년 10월 5일에 확인함. 
  11. “Global Health Standards Plus 제170호” (PDF). 《한국표준협회 미디어》. 2015년 6월 26일. 2019년 10월 5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2. “eHealth Action Plan 2012-2020: Innovative healthcare for the 21st century”. 《European Commission》. 2012년 12월 7일. 2019년 10월 5일에 확인함. 
  13. Evers, Kerry E. (2006). “eHealth Promotion: The Use of the Internet for Health Promotion”.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n》 20 (4): 1–14. doi:10.4278/0890-1171-20.4.1. PMID 16555803.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