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인식적 부정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란다 프리커의 2007년 사진

인식적 부정의(認識的 不正義, Epistemic injustice) 혹은 인식론적 부정의, 인지적 부정의는 지식과 관련한 부정의이다. 인식적 부정의에는 배제침묵 시키기, 어떤 이가 한 기여나 의미에 대한 체계적 왜곡 또는 허위진술, 의사소통 상황에서 지위나 평판을 깎아내리는 것, 권한에 불공정한 차이를 두는 것 그리고 불합리한 불신 등이 포함된다.

인식적 부정의는 2007년 영국의 철학자인 미란다 프리커Miranda Fricker가 처음으로 체계화시켰는데, 인식적 부정의란 용어도 프리커가 만들어 낸 것이다.[1] 프리커에 따르면 인식적 부정의에는 증언적 부정의(Testimonial injustice)와 해석학적 부정의(Hermeneutical injustice) 두 가지 종류가 존재한다.[2]

같이 보기[편집]

관련된 철학자[편집]

  • 미란다 프리커
  • 호세 메디나
  • 크리스티 닷슨
  • 게일 폴하우스 주니어
  • 엘리자베스 S. 앤더슨
  • 데이비드 코디
  • 찰스 밀스

각주[편집]

  1. Pohlhaus Jr., Gaile (2017). 〈Varieties of Epistemic Injustice〉. Kidd, Ian James; Medina, José; Pohlhaus Jr., Gaile. 《Routledge Handbook of Epistemic Injustice》. Routledge. 13–26쪽. doi:10.4324/9781315212043. ISBN 9781138828254. 
  2. Fricker, Miranda (2007). 《Epistemic Injustice: Power and the Ethics of Knowing》. Oxford University Press. 1쪽. ISBN 9780198237907. OCLC 729949179. 

참고 문헌[편집]

  • Anderson, Elizabeth (2012). “Epistemic Justice as a Virtue of Social Institutions”. 《Social Epistemology》 26 (2): 163–173. doi:10.1080/02691728.2011.652211. 
  • Dotson, Kristie (2012). “A Cautionary Tale: On Limiting Epistemic Oppression”. 《Frontiers: A Journal of Women Studies》 33: 24. doi:10.5250/fronjwomestud.33.1.0024. 
  • 프리커, 미란다 (2007). 인식적 부정의 : 앎의 힘과 윤리(Epistemic Injustice: Power and the Ethics of Knowing). 옥스포드: 옥스포드 대학출판부. ISBN 9780198237907 .
  • 키드id이안 제임스me호세 메디나in게일 폴하우스 주니어.r. (2017). 인식적 부정의에 대한 루틀렛지 안내서(The Routledge Handbook of Epistemic Injustice.). 루틀렛지.ISBN 9781138828254ISBN 9781138828254
  • Medina, José (2011). “The Relevance of Credibility Excess in a Proportional View of Epistemic Injustice: Differential Epistemic Authority and the Social Imaginary”. 《Social Epistemology》 25: 15–35. doi:10.1080/02691728.2010.534568. 
  • —— (2013). 저항의 인식론 : 젠더 및 인종 억압, 인식적 부정의, 저항의 상상력(The Epistemology of Resistance: Gender and Racial Oppression, Epistemic Injustice, and Resistant imaginations.). 옥스포드: 옥스포드 대학출판부. ISBN 9780199929023 .
  • Medina, José (2012). “Hermeneutical Injustice and Polyphonic Contextualism: Social Silences and Shared Hermeneutical Responsibilities”. 《Social Epistemology》 26 (2): 201–220. doi:10.1080/02691728.2011.652214. 
  • Mills, Charles (2007). 〈White Ignorance〉. Sullivan; Tuana. 《Race and Epistemologies of Ignorance》. Philosophy and Race Series. Albany, NY: SUNY Press. 13–38쪽. ISBN 9780791471012. 
  • Pohlhaus, Gaile (2012). “Relational Knowing and Epistemic Injustice: Toward a Theory of Willful Hermeneutical Ignorance”. 《Hypatia》 27 (4): 715–735. doi:10.1111/j.1527-2001.2011.0122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