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자연 증감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구의 자연 증감률 또는 자연 증가율은 인구가 인구 1000명당 자연 증감한 인구를 뜻하며, 출생률에서 사망률을 빼서 값을 구한다. 외국인 순유입 또는 내국인 순유출 등 사회적 증가는 고려하지 않으며, 순수 출생아 및 사망자 수 또는 출생률 및 사망률만 고려한다는 점에서 성장률(population growth)과는 다르다.

2020년, 한국은 출생아 수 27만 명, 사망자 수 30만 명, 인구 1000명당 출생률 5.3명, 사망률 5.9명으로 집계 사상 처음으로 출생아 수 및 출생률이 사망자 수 및 사망률을 밑돌아 자연감소가 발생하게 되었다.[1]

각주[편집]

  1.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1년 2월 24일). “2020년 출생·사망통계(잠정)”. 2021년 7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