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선엽
출생일 1956년 6월 21일(1956-06-21)
출생지 대한민국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안로리
사망일 1979년 12월 13일(1979-12-13)(23세)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방부 청사
국적 대한민국
부모 아버지: 정순남, 어머니: 한점순
복무 대한민국 육군
복무기간 1977년 ~ 1979년
근무 국방부 50헌병대[1]
최종계급 병장

정선엽(鄭善燁, 1956년 6월 21일 ~ 1979년 12월 1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다. 대한민국 국방부 초병으로 근무하던 중 12.12 군사 반란 당시 국방부에 진입하는 반란군에 저항하다가 총격을 받고 전사하였다.

생애[편집]

1956년 6월 21일 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안로리에서 아버지 정순남과 어머니 한점순 사이에서 3남 2녀 중 넷째로 태어났다.[2][3] 광주동신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4] 1977년 조선대학교 전기공학과 2학년 재학 중 군에 입대하여 국방부 헌병으로 복무했다.[5][6][7]

제대를 3개월 앞둔[2] 1979년 12월 13일, 육군본부국방부를 연결하는 지하벙커에서 다른 한 명의 병사와 초병 근무를 서고 있었다. 같은 날 2시 10분 경[8][6] 전두환이 주도한 12.12 군사 반란 당시 국방부 점령 임무를 받고 진입하던 제1공수특전여단 병력[9]에 맞서 저항하다 총탄을 맞고 사망하였다.[10][11][12] 당일 1공수여단 일지에는 “벙커 출입구 헌병 근무자 2명 중 1명 체포, 1명은 반항 사격과 함께 벙커로 도주 사살됨”이라고 기록되어 있다.[6][13]

1980년 3월 26일 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당시 군부였던 신군부는 「반혁명군이므로 국립묘지에 안장할 수 없다」고 현충원 안장을 거부하다 유족들의 탄원을 받고 안장을 허락했다.[14]

2022년 12월 7일 정선엽 병장은 같은 해 3월 대통령소속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가 국방부에 요청한 '전사 재심사' 결과 '순직'에서 전사자로 재분류됐다.[15]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그날 밤 무슨 일 있었나…12·12사태 결정적 장면 6가지”. 《아시아경제》. 2017년 12월 12일. 
  2. “오늘 12·12 16돌… 순직 정선엽 병장 모친 한점순씨”. 《서울신문》. 1995년 12월 12일. 
  3. “43년 만에 받은 ‘전사 확인서’”. 《광주일보》. 2022년 12월 11일. 
  4. “[휴먼 人] ‘잊혀진 죽음’ 정선엽 사병을 아시나요”. 《일요신문》. 2017년 5월 12일. 
  5. “[유족들의 회한]"12·12고통 아직 끝나지 않아". 《동아일보》. 2001년 12월 11일. 
  6. 정선엽 병장의 근무당시 사진과 제1공수여단 일지 기록
  7. “<인터뷰>국방부청사 지키다 숨진 鄭善燁병장 어머니 韓点順”. 《중앙일보》. 1995년 12월 12일. 
  8. “全(전)-盧(노)전 대통령 「12.12」 공소장(요지)”. 《동아일보》. 1995년 12월 22일. 
  9. 준장 박희도 휘하의 제1공수특전여단 제5대대 15지역대
  10. “12.12 당시 신군부에 의해 희생된 어느 초병의 죽음[송요훈]”. 《문화방송》. 1995년 12월 4일. 
  11. “12·12 쿠데타가 역사에 남긴 것은”. 《부산일보》. 2005년 6월 21일. 
  12. “12 12때 피살 국방부초병 정선엽 병장”. 《조선일보》. 1995년 12월 12일. 
  13. “잊혀진 죽음, 정선엽·박윤관 두 사병도 기억하라”. 《한겨레신문》. 2013년 5월 21일. 
  14. "歷史(역사)의 심판은 엄정할 것". 《동아일보》. 1994년 10월 30일. 
  15. “12·12반란군 맞서다 숨진 병장, 43년 만에 '전사' 인정”. 《뉴시스》. 2022년 12월 12일.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