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정용수 (축구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용수
개인 정보
출생일 ?
사망일 1979년 1월 6일(1979-01-06)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 관악구 동작동[1]
포지션 레프트백
청소년 구단 기록
??? 배재고등보통학교[2]
대학팀 기록
연도 출전 (득점)
??? 연희전문학교[2]
구단 기록*
연도 구단 출전 (득점)
1933–??? 경성 축구단[3]
국가대표팀 기록
1935–1939 조선 0 (0)
1940 일본 0 (0)
행정가 기록
1939 조선축구협회 (기술지도위원)[4]
* 구단의 출전횟수와 득점기록은 정규 리그의 공식 리그 경기 기록만 집계함.

정용수(? ~ 1979년 1월 6일, 鄭龍洙[1])는 일제강점기 시절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수비수였으며, 경성 축구단의 창립 맴버로 입단하였다.[2]

생애[편집]

일본 잡지에 실린 결승전에서의 정용수 선수의 수비 장면

축구 외에도 야구정구, 탁구 선수로도 활동했으며, 탁구의 경우 관서체육대회에서 일등을 기록하기도 했다.[2][5][6]그 외에도 축구 심판 등의 일제강점기 당시 스포츠계에서 활발히 활동했으며, 특히 경성 축구단 입단 및 조선 축구 대표팀 선발 등 축구계에서 가장 활발히 활동하면서 조선 축구 대표팀의 메이지 신궁 경기 대회 등 일본 본토에서 열린 대회 우승에 기여했다. 이후 이러한 활약 덕분에 일본 잡지에도 경기에서의 모습이 실렸으며 일본 대표팀에도 선발되었다.[7][2][8][1]

독립 이후에는 재일교포들을 대상으로 한 스포츠 단체의 단장직을 맡아 축구, 자전거, 탁구 등의 여러 스포츠를 진행했다.[9]

이후 대한테니스협회 부회장직과 연서대OB축구 명예회장직을 맡으며 스포츠계에서 활동을 이어갔으며, 1979년 1월 6일 자택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1]

각주[편집]

  1. “원로 체육인 정용수씨”. 조선일보. 1971년 10월 31일. 
  2. “일류선수 망라하여 경성축구단 창립”. 동아일보. 1933년 5월 13일.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다"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3. “제삼회경평 대항축구 입일부터 삼일간”. 동아일보. 1933년 3월 21일. 
  4. “축협부서결정”. 동아일보. 1939년 3월 15일. 
  5. “정구리그사일 보성배재득승”. 조선일보. 1927년 6월 19일. 
  6. “관서탁구대회 일등은 정용수군”. 동아일보. 1928년 11월 6일. 
  7. “중등축구리그전의패 네번째 경신진두에”. 동아일보. 1936년 6월 14일. 
  8. 류청 외 7명 (2016년 11월 28일). “경성축구단, 일제강점기 일왕배를 제패하다”. storyfunding. 2016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7월 15일에 확인함. 
  9. “재일교포체육단귀국”. 조선일보. 1957년 11월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