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0의무여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30의무여단
30th Medical Brigade
활동 기간
  • 1942년 7월 25일 ~ 1949년 6월 6일
  • 1953년 3월 25일 ~ 현재
국가미국 미국
소속미국 미국 육군
병과의무대
역할원정전구급 의무 지휘통제부대
명령 체계제21전구지원사령부
본부독일 셈바치 막사
표어In cruce mea fides
참전
표장
SSI

'제30의무여단'(30th Medical Brigade)는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을 지원하는 독일 셈바치 막사에 본부를 둔 의무대여단이다. 표어는 "In cruce mea fides"

역사[편집]

제2차 세계 대전[편집]

부대는 진주만 공격으로 국가 전시태세 전환에 따른 동원령이 발효되어 1942년 7월 25일, 텍사스주 캠프 바클리에서 창설된 제30의무연대였다. 부대는 1933는 10월 1일에 구상되었는데, 본부부대가 처음에는 "본부 및 본부분견대"였다가 본부근무중대로 조정되었다. 창설된 이듬해 1943년 9월 8일에 제30의무단으로 재편성되었다. 라인란트 전역과 중앙 유럽에 참전하였고, 종전 이후 동원해제에 따라 부대는 1949년 6월 6일에 조지아주 포트 베닝에서 해산하였다.

한국 전쟁[편집]

한국 전쟁의 막바지인 1953년 3월 25일, 의료와 치의지원을 위한 의무부대 중의 하나로 지정되어 한반도에서 재소집되었다.

주독 미군[편집]

한국 전쟁의 정전 이후 1955년에 주독 미군으로 지정되어 제7군으로 전속 및 당시 설립된 란트슈툴 육군 의료원에 주둔하였고, 그 해 4월에 루트비히스부르크로 이사하였다. 1965년 제7의무여단에 전속하였다. 1979년 10월 26일, 제7(VII)군단 제2군단지원사령부으로 전속되었다.

1993년 6월 17일, 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2008년 10월 27일, 제30의무사령부로 재편성되었다.

2009년,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첫 전구의무사령부으로서 전개하였다.

2013년 10월 18일, 제30의무사령부는 제30의무여단으로 재편성되고, 유럽 지역 의무사령부에서 미국 유럽 육군 휘하로 편속하였다. 원정전구급 의무 지휘통제부대로서 미국 유럽 육군과 직접적 위험작전에서 건강보호 및 보건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1]

부대[편집]

현재[편집]

  • 제519병원센터 - 카이저슬라우테른
  • 제421다기능의무대대 - 바움홀더

이전[편집]

  • 제52의무대대
  • 제56의무대대
  • 제42앰블런스중대
  • 제651앰블런스중대
  • 제4외과병원 (MASH)
  • 제31전투지원병원
  • 제128후송병원
  • 제212전투지원병원 - Miesau
  • 제47의무분견대 (헬리콥터 앰블런스)
  • 제274의무분견대 (헬리콥터 앰블런스)

기록[편집]

소속[편집]

계보[편집]

  • 1933년 10월 1일
    정규군 할당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30 Medical Regiment
    →제30의무연대, 본부 및 본부분견대
    Headquarters, Headquarters and Service Company 30th Medical Regiment
    →제30의무연대, 본부 및 근무중대
  • 1943년 9월 8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30th Medical Group
    →제30의무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
  • 1992년 3월 19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30th Medical Brigade
    →제30의무여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
  • 2008년 10월 27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30th Medical Command
    →제30의무사령부, 본부 및 본부중대
  • 2013년 10월 18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30th Medical Brigade
    →제30의무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

전역[편집]

스트리머 내역

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구

한국 전쟁
  • 1952~1953년 세번째 한국 동계
  • 1953년 한국 하계

서남아시아
  • 사우디 아라비아 방어, 1990년
  • 쿠웨이트 방어와 해방, 1991년
  • 정전

스트리머[편집]

스트리머 내역 명령서

공로부대표창
"한국", 1953년 6월 4일 ~ 1954년 1월 육군부 1954년 일반명령 제32호[2]

육군 우수부대표창
"1995-1996", 1995년 10월 15일 ~ 1996년 12월 육군부 2005년 일반명령 제25호[3]

참고[편집]

인용[편집]

  1. “30th Medical Command redesignated as 30th Medical Brigade” (PDF) (영어). U.S. Army Europe Public Affairs. 2013년 10월 18일. 2019년 6월 4일에 확인함. 
  2. “General Order No. 32” (PDF) (영어). 위성턴 D.C.: Department of Army. Army Publishing Directorate. 1954년 5월 5일: 4(32). 2023년 5월 23일에 확인함. 
  3. “General Order No. 25” (PDF) (영어). 위성턴 D.C.: Department of Army. Army Publishing Directorate. 2001년 6월 8일: 51. 2019년 1월 2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14일에 확인함. 

자료[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