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쇼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쇼기(일본어: 中将棋)는 일본의 장기 놀이의 하나로 쇼기보다 규모가 큰 추상전략 보드게임이다. 기본판의 칸은 가로 세로 각각 12칸으로, 모두 144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본 말은 모두 46개로 구성된다.

자신의 말이 놓여 있는 칸에서부터 4단 앞부터를 적진으로 본다.

초기 배치[편집]

쇼기의 변형인 주쇼기
       
                   
                       
                       
                   
       
  • 경기자와 가장 가까운 줄
    • 왕은 왼쪽에서 여섯 번째 칸에 위치한다.
    • 취상은 오른쪽에서 여섯 번째 칸에 위치한다.
    • 금장은 각각 왕과 취상 옆에 위치한다.
    • 은장은 금장의 옆에 위치한다.
    • 동장은 은장의 옆에 위치한다.
    • 맹표는 동장의 옆에 위치한다.
    • 향차는 맹표의 옆에 위치한다.
  • 경기자의 위치에서 두 번째 줄
    • 기린은 왕의 앞에 위치한다.
    • 봉황은 취상의 앞에 위치한다.
    • 맹호는 각각 봉황과 기린의 옆에 위치한다.
    • 각행은 동장의 앞에 위치한다.
    • 반차는 향차의 앞에 위치한다.
  • 경기자의 위치에서 세 번째 줄
    • 사자는 기린의 앞에 위치한다.
    • 분왕은 봉황의 앞에 위치한다.
    • 용왕은 각각 분왕과 사자의 옆에 위치한다.
    • 용마는 용왕의 옆에 위치한다.
    • 비차는 용마의 옆, 즉 각행의 앞에 위치한다.
    • 수행은 비차의 옆에 위치한다.
    • 횡행은 수행의 옆, 즉 반차의 앞에 위치한다.
  • 경기자의 위치에서 네 번째 줄에는 보병이 일렬로 위치한다.
  • 경기자의 위치에서 다섯 번째 줄에는 좌 우측에서 각각 네 번째 칸에 중인이 위치한다.

기본규칙[편집]

  • 가로세로 12칸씩 구획되어 있는 장기판에서 시행한다(한국이나 중국의 장기와 달리 체스처럼 칸 안쪽에서 이동한다).
  • 경기자 양측은 교대로 1번씩 자신의 말을 움직인다.
  • 자신의 말이 움직일 수 있는 위치에 상대방의 말이 있는 경우 그 말을 잡을 수 있다. 잡은 말은 자신이 쓸 수 없다.
  • 자신의 차례에서 반드시 1번은 말을 움직여야 한다. 2번 연속으로 움직이거나 자신의 차례를 건너뛸 수 없다.
  • 1칸에는 1개의 말 만이 존재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말이 1칸에 존재할 수 없다.
  • 말은 왕(또는 옥) · 취상 · 분왕 · 사자 · 봉황 · 기린 · 용왕 · 용마 · 비차 · 각행 · 횡행 · 수행 · 금장 · 은장 · 동장 · 향차 · 반차 · 맹표 · 맹호 · 중인 · 보병의 21종류가 존재하며, 각각의 움직임은 미리 정해져 있다.
    • 본쇼기와의 차이점은 본쇼기에 존재하는 기물 중에 계마만 주쇼기에서 유일하게 삭제되었다는 점이다.
  • 일부 기물은 이동없이 상대 기물을 잡을 수 있다.(사자 · 각응 · 비취)
  • 반상에 자기 방향 4칸을 자진, 상대방이 있는 쪽 4칸을 적진이라고 부르며, 왕장 · 분왕 · 사자이외의 말은 적진 안에서 움직이거나 나올때 승격(成り)할 수 있다.
    • 승격된 말은 승격된 말의 움직이는 방식을 따르며 뒤집어 놓는다.
    • 한 번 승격된 말은 원상태로 되돌릴 수 없다.
    • 승격되는 것은 강제적이지 않고, 원하지 않는다면 승격하지 않을 수 있다.(不成) 단, 보병, 향차의 경우에는 후퇴할 수 없는 말이기 때문에 적진의 1단째에 들어섰을 때 승격해야만 한다.
    • 각각의 승진기물에 해당되는 기본 기물은 승진이 가능하다.(보병 → 토금, 금장 → 비차, 비차 → 용왕, 용왕 → 비취 / 중인 → 취상, 취상 → 태자 / 은장 → 수행, 수행 →비우 / 동장 → 횡행, 횡행 → 분저) 그러나 승진은 1차 승진만 가능하다. 즉 보병이 비취까지 승진하는 일은 없다.
    • 적진에서 나올 때에도 승격될 수 있지만, 승격되지 않은 상태로 적진을 나온 말은 다시 들어가기 전까지는 승격될 수 없다.
  • 자신의 말이 움직이는 범위에 자신의 말이 있다면 그곳으로 움직일 수 없다.
    • 보병은 하나의 세로선상에 두 개를 연속으로 포진할 수 없는 것이 쇼기의 원칙이나, 주쇼기에서는 잡은 말을 다시 쓸 수 없기에 이 규칙은 생각하지 않는다. 단 보병의 승격말인 토금은 하나의 세로선상에 2개 이상 놓을 수 있다.

말의 움직임[편집]

본래의 말 움직임 승격한 말 움직임

왕장, 옥
         
   
   
   
         
모든 방향으로 1칸씩 움직일 수 있다. - - -
취상

         
   
   
     
         
후퇴를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1칸씩 움직일
수 있다.
태자

         
   
   
   
         
왕과 움직임이 같다. 두 번째 왕처럼 행동해 태자가 같이 잡혀야 게임이 끝난다.
분왕

   
   
   
   
비차와 각행을 합친 것처럼 모든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움직일 수 있다. 체스과 움직임이 같다. - - -
사자

2칸 이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1칸 앞의 기물을 뛰어 넘을 수도 있다.
적의 기물일 경우에는 잡으면서 뛰어넘을 수 있으며(안 잡아도 된다.) 1칸 이내에 놓인 적의 기물을 이동 없이 잡을 수 있다.
■로 옮겼을 경우는 왕장의 움직임을 한번 더 할 수 있으며(안 움직여도 된다.) 제자리로 돌아올 수도 있다.
- - -
봉황

     
       
   
       
     
직선 방향으로 1칸씩 움직일 수 있다.
대각선 방향은 2칸씩 움직일 수 있는데 이 때 다른 기물을 넘을 수 있다.
분왕

   
   
   
   
모든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움직일 수 있다.
기린

       
     
   
     
       
대각선 방향으로 1칸씩 움직일 수 있다.
직선 방향은 2칸씩 움직일 수 있는데 이 때 다른 기물을 넘을 수 있다.
사자

2칸 이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1칸 앞의 기물을 뛰어 넘을 수도 있다.
적의 기물일 경우에는 잡으면서 뛰어넘을 수 있으며(안 잡아도 된다.) 1칸 이내에 놓인 적의 기물을 이동 없이 잡을 수 있다.
■로 옮겼을 경우는 왕장의 움직임을 한번 더 할 수 있으며(안 움직여도 된다.) 제자리로 돌아올 수도 있다.
용왕

       
   
   
       
비차와 왕을 합친 것처럼 움직일 수 있다.
비취

   
   
   
   
전방 대각선을 제외하고 분왕과 움직임이 같다.
전방 대각선은 사자와 움직임이 같다.
용마

     
   
   
   
     
각행과 왕을 합친 것처럼 움직일 수 있다.
각응

   
   
   
   
전방을 제외하고 분왕과 움직임이 같다.
전방은 사자와 움직임이 같다.
비차

       
       
       
       
직선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용왕

       
   
   
       
비차와 왕을 합친 것처럼 움직일 수 있다.
각행

     
     
       
     
     
대각선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용마

     
   
   
   
     
각행과 왕을 합친 것처럼 움직일 수 있다
수행

       
       
   
       
       
좌우로 1칸 움직일 수 있고 앞뒤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비우

   
   
       
   
   
좌우를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움직일 수 있다.
횡행

         
       
       
         
앞뒤로 1칸 움직일 수 있고 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분저

     
     
     
     
앞뒤를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움직일 수 있다.
금장

         
   
   
       
         
전후좌우나 앞방향 대각선으로 1칸에 한해 움직일 수 있다. 비차

       
       
       
       
직선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은장

         
   
       
     
         
전방 또는 대각선으로 1칸에 한해 움직일 수 있다. 수행

       
       
   
       
       
좌우로 1칸 움직일 수 있고 앞뒤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동장

         
   
       
       
         
전방, 후방 또는 대각선 전방으로 1칸에 한해 움직일 수 있다. 횡행

         
       
       
         
앞뒤로 1칸 움직일 수 있고 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맹표

         
   
       
   
         
전방, 후방 또는 대각선으로 1칸에 한해 움직일 수 있다. 각행

     
     
       
     
     
대각선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맹호

         
     
   
   
         
전방을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1칸씩 움직일 수 있다. 비록

       
   
  鹿  
   
       
전후방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대각선과 좌우로는 1칸씩 움직일 수 있다.
향차

       
       
       
         
         
앞으로는 원하는 만큼 움직일 수 있다. 백구

   
   
       
       
       
전후방이나 대각선 앞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반차

       
       
       
       
       
전후방으로 원하는 만큼 움직일 수 있다. 경예

       
       
       
   
   
전후방이나 대각선 뒤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중인

         
       
       
       
         
앞뒤로 1칸에 한해 움직일 수 있다. 취상

         
   
   
     
         
후퇴를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1칸씩 움직일 수 있다.
보병

         
       
       
         
         
앞으로 1칸에 한해 움직일 수 있다. 토금

         
   
   
       
         
금장처럼 전후좌우나 앞방향 대각선으로 1칸에 한해 움직일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