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진주 검암리 운수당

진주 검암리 운수당
(晋州 儉岩里 雲水堂)
대한민국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종목문화재자료 제401호
(2006년 7월 20일 지정)
수량1동
시대일제강점기
위치
진주 검암리 운수당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진주 검암리 운수당
진주 검암리 운수당
진주 검암리 운수당(대한민국)
주소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 금곡로 197-24
좌표북위 35° 7′ 32.61″ 동경 128° 12′ 14.42″ / 북위 35.1257250° 동경 128.2040056°  / 35.1257250; 128.2040056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망추정
운강서원

진주 검암리 운수당(晋州 儉岩里 雲水堂)은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건축물이다. 2006년 7월 20일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401호로 지정되었다.[1]

개요[편집]

운수당 하윤 선생 위패를 모신 재실로 세워졌으나 근래 담장의 우측으로 사당인 경인사를 짓고 위패는 사당에 모시고 있다. 운수당은 남북방향의 길이가 약간 더 긴 직사각형의 대지에, 대지의 우측으로 약간 벗어나서 운수당과 대문채를 마주보게 배치하고 두 건물 사이의 좌측에 운수당과 직각되도록 망추정을 앉혔다.

운수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건물로 3칸 모두 방을 들이고 있는데, 좌, 우 협칸은 방 1칸, 마루 1칸으로 구성한데 비하여 어칸은 방을 1칸 반으로 하고 반칸만 마루로 쓰도록 시설하여 가운데 방이 반 칸 돌출된 형상이다.

좌측방과 가운데 방은 배면 쪽으로 1/4칸 정도 확장하였다. 기단면은 시멘트를 발라놓아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높이로 볼 때 자연석은 4~5단 정도 쌓아 조성한 것으로 보이며 기단전면에는 정면 3칸 모두에 2단씩의 계단을 두었다. 초석은 정면에만 다듬은 돌을 놓고 기둥을 세웠는데 기둥은 정면에만 원기둥을 사용하였다.

3개의 방에 모두 반자를 하였으므로 상부가구의 형식은 알 수 없으나 지붕의 형태가 합각이고 측면이 2칸으로 긴 것을 고려하면 5량으로 가구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별한 장식은 없으나 상, 중, 하 인방이 여러 위치에서 사용되었다. 홑처마에 팔작지붕형식인데 처마의 앙곡은 크지 않으나 기와의 마루곡들은 크게 두어 지붕의 곡선은 보기 좋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경상남도지사 (2006년 7월 20일). “경상남도고시제2006-239호. 경상남도 문화재 지정 등 고시” (PDF). 경남공보 제1702호. 2016년 10월 12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