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함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진함조
晉含祚
고려상서좌복야
국왕 고려 현종

신상정보
출생일 미상
출생지 미상
사망일 미상
사망지 미상
국적 고려
성별 남성
본관 남원

진함조(晉含祚, ?~1030년 8월 28일(음력 7월 27일)[1])는 고려 전기의 문신·정치인이다. 본관은 남원이다.[2]

생애[편집]

1009년(목종 12년)에 김치양(金致陽)이 난을 일으켜 천추전(千秋殿)에 불이 났을 때 진함조는 태복(太卜)으로서 태의(太醫) 기정업(奇貞業), 태사(太史) 반희악(潘希渥), 재신(宰臣)인 참지정사(叅知政事) 유진(劉瑨), 중추원사(中樞院使) 최항(崔沆), 급사중(給事中) 채충순(蔡忠順) 등과 함께 은대(銀臺)에서 직숙(直宿)하며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다.[3]

1018년(현종 9년)에 호부상서(戶部尙書)로 임명되었다.[4]

1020년(현종 11년)에 우복야 겸 도정사(右僕射 兼 都正使)가 되었다.[5]

1023년(현종 14년)에 그는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올랐고, 주덕명(朱德明)은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로 임명되었다.[6]

1030년(현종 21년)에 죽었는데, 《고려사》에서는 그를 매우 낮게 평가하고 있다.[7]

각주[편집]

  1. 《고려사》 권5, 〈세가〉5, 현종 21년(1030년) 7월 27일(무인)
  2. 기우만, 《송사집》 권32, 成均博士晉公墓碣銘, “晉氏南原人。高麗僕射含祚其始祖。”
  3. 《고려사》 권3, 〈세가〉3, 목종 12년(1009년) 1월 16일(임신)
  4. 《고려사》 권4, 〈세가〉4, 현종 9년(1018년) 8월 3일(임진)
  5. 《고려사》 권4, 〈세가〉4, 현종 11년(1020년) 1월 11일(계해)
  6. 《고려사》 권5, 〈세가〉5, 현종 14년(1023년) 1월 17일(임오)
  7. 해당 원문은 다음과 같다. "含祚治術數, 每遇國家有事, 輒質以圖讖, 遂至大用, 時議輕之."(《고려사》 권5, 〈세가〉5, 현종 21년(1030년) 7월 27일(무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