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참령(參領)은 조선왕조대한제국군대 계급 중 하나이다. 정위[1]보다 높고 부령[2]보다는 낮은 계급으로, 현재의 소령 계급에 해당한다.

역사[편집]

참령 계급이 설치된 것은 조선왕조 군대가 근대 국가의 군대 체계를 도입한 1894년(고종 31년) 12월이며,[3] 기존의 여러 군영(부대)에 설치되었던 참령관(參領官) 명칭을 고려하여 정해졌다.[4] 즉, 당시에는 오늘날과 같은 대(大), 중(中), 소(少)가 아닌 정(正), 부(副), 참(參) 글자를 앞에 붙여 정령, 부령, 참령, 정위, 부위, 참위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계급 명칭을 정하였다.[5]

기타[편집]

참령 계급은 대한민국 임시정부광복군에도 그대로 채택되었고, 대한민국 해방 직후인 국방경비대에서도 사용되다가 1946년 12월 1일에 소령으로 개칭되었다. 또 대한제국 시기의 구세군을 계승한 현재 구세군 대한본영에서도 참령 계급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각주[편집]

  1. 정위(正尉)는 현재 대한민국 군대의 대위에 해당하는 계급이다.
  2. 부령(副領)은 현재 대한민국 군대의 중령에 해당하는 계급이다.
  3. 《승정원일기》 3053책, 1894년(고종 31년) 12월 4일 병오일 기사, '육군장관직제를 재가하므로 준행하라는 칙령'
  4. 정령관(正領官), 부령관(副領官), 참령관 직책이 존재하였다. 정령관은 종2품 또는 정3품 당상관, 부령관은 정3품 당하관에서 종6품 사이, 참령관(參領官)은 종9품에 상당하였다.
  5. 장군 계급은 대장, 부장, 참장으로 정하였다. 즉, 대장(大將) 계급만은 정장(正將)으로 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