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채광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채광정
2006년의 헬싱키의 캄피 센터.

건축분야에서 채광정(영어: lightwell, light well, air shaft)은 어두컴컴하거나 환기가 되지 않을 공간에 과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큰 건물에 설치하는 지붕이 없는 외부 공간이다. 채광정은 내부 공간으로 반사되는 태양광을 늘리기 위해 광택이 있는 벽돌을 깔 수도 있다.

채광정은 전기 조명의 필요성을 줄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빌딩에 내부 공간을 더하고, 창문을 통해 보이는 내부의 열린 공간을 제공하여 바깥을 바라보는 듯한 느낌을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에어리어웨이[편집]

지하층에 채광을 제공하기 위한 건물 전면의 지하 채광정은 에어리어웨이라고 불린다.

역사[편집]

고대에 채광정은 고대 이집트[1]문명의 다양한 건물들과 미노아 문명 시절 크레타크노소스 궁전에 사용되었다.[2] 로마 시절에도 채광정이 사용되었다.[3]

참고 문서[편집]

각주[편집]

  1. Bagnall, Roger S; Frier, Bruce W (2006). 《The demography of Roman Egypt》. Cambrid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46123-8. OCLC 28927049. 
  2. Hogan, C Michael (2008년 4월 14일). “Knossos”. 《The Modern Antiquarian》. 2008년 5월 24일에 확인함. 
  3. Higginbotham, James Arnold (1997). 《Piscinae: Artificial Fishponds in Roman Italy》. Chapel Hill, NC: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ISBN 978-0-8078-2329-3. OCLC 35172558. 

틀:환경공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