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진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천진우
출생 1962년(61–62세)
국적 대한민국
분야 무기화학, 재료화학, 나노과학
소속 연세대학교

천진우(千珍宇, 1962년~)는 대한민국의 과학자이다. 현재 대한민국 연세대학교의 화학과 교수/기초과학연구원 나노의학연구단장으로 재직중이다.

연세대학교 화학과에서 학사학위(1985년)와 석사학위(1987년)를 취득하였으며,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1993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조교수, 부교수(1998년~2002년)를 거쳐 2002년부터 연세대학교 화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8년 연세대학교의 언더우드 특훈교수로 선정되었으며, 어카운츠 오브 케미컬 리서치(Accounts of Chemical Research, ACR)의 편집장(Senior Editor)를 포함하여, 나노레터스(Nano Letters, ACS), 머티어리얼 케미스트리(Materials Chemistry, RSC), 머티어리얼 호라이즌(Materials Horizons, RSC)의 저널이사(Editorial Board Member)로 활동 중이다. 천진우는 나노과학의 기초 연구를 기반으로 의학 분야로의 접목을 국내 최초로 시도하여 나노의학이라는 중요한 융합 학문을 창출하였으며[1][2], 특히 그가 2005년 입자 크기에 따른 나노-MRI의 조영 효과를 세계 최초로 실험적으로 입증하여 나노의학 분야를 개척하였다[3]. 뿐만 아니라 2011년과 2012년에는 원리적으로 모든 종류의 암 치료에 적용가능한 나노 스위치와 이중 나노입자를 개발하여, 향후 암 치료에서 새로운 진전을 가져왔다[4]. 그의 연구 결과는 Nature Materials, Nature Nanotechnology, Nature Medicine, Nature communications, Accounts of Chemical Research, JACS, Angewandte Chemie 등에 100여 편이 발간되었다. 또한 그간의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젊은 과학자상(2001년), 송곡 과학기술상(2007년), 인촌상(2010년), 지식창조대상(2010년), 포스코 청암상(2012년), 대한화학회 학술상(2013), 호암상(2015) 등을 수상 받았다.

경력[편집]

  • 2015~현재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의학연구단 연구단장
  • 2009~현재 편집장 (Senior Editor), Accounts of Chemical Research (ACS)
  • 2010~현재 편집 이사 (Editorial Advisory Board Member), Nano Letters (ACS)
  • 2013~현재 편집 이사 (Editorial Board Member), Materials Horizons (RSC)
  • 2008~2010 편집 이사 (Editorial Board Member),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RSC)
  • 2010~2016 단장, 창의적 연구지원사업 진화나노입자연구단
  • 2008~현재 언더우드 특훈 교수, 연세대학교
  • 2002~2016 교수, 연세대학교 화학과
  • 1998~2002 조교수, 부교수 KAIST 화학과
  • 1995~1998 스탭 연구원, UCLA
  • 1993~1995 박사후 연구원,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수상[편집]

  • 2017/2018 International Alumni Award for Exceptional Achievement (University of Illinois)
  • 2015 호암상 (호암재단)
  • 2014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과학자 선정 (톰슨 로이터)
  • 2013 대한화학회 학술상
  • 2012 포스코 청암과학상 (포스코 청암재단)
  • 2012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 (동아일보)
  • 2010 인촌상 (인촌 재단)
  • 2010 지식창조대상 (교육과학기술부)
  • 2007 송곡과학기술상 (KIST)
  • 2004 우수연구상 (대한화학회 무기분과)
  • 2002 젊은 과학자상 (대통령상)
  • 2001 Wiley 젊은 화학자 상 (대한화학회-Wiley & Sons)
  • 2003~현재 정회원, 한국과학기술 한림원
  • 2008~현재 석학회원 (Fellow), 영국왕립화학회 (Royal Society of Chemistry)
  • 2014~현재 석학회원 (Fellow), 미국화학회 (American Chemical Society)

대표 논문[편집]

  • Jeong, H.; Cheon, J. et al. "Tandem Intercalation Strategy for Single-layer Nanosheets a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Exfoliation Processes" Nat. Commun. 2015, 6, 5763.
  • Lee, J.; Cheon J. et al. "Magnetic Nanoparticles for Ultrafast Mechanical Control of Inner Ear Hair Cells" ACS Nano 2014, 8, 6590.
  • Han, J. H.; Cheon J. et al. "Unveiling Chemical Reactivity and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wo-dimensional Layered Nanocrystals" J. Am. Chem. Soc. 2013,135, 3736.
  • Cho, M. H.; Cheon, J. et al. “A Magnetic Switch for the Control of Cell Death Signaling in in vitro and in vivo Systems” Nature Materials 2012, 11, 1038.
  • Jeong, S.; Cheon J. et al. "Well-Defined Colloidal 2-D Layered Transition-Metal Chalcogenide Nanocrystals via Generalized Synthetic protocols" J. Am. Chem. Soc. 2012,134, 18233
  • Lee, J.; Cheon, J. et al. "Exchange-coupled Magnetic Nanoparticles for Efficient Heat Induction" Nature Nanotechnology 2011, 6, 418.
  • Cheon, J. et al. “Synergistically Integrated Nanoparticles as Multimodal Probes for Nanobiotechnology” Acc. Chem. Res. 2008, 41, 1630.
  • Jun, Y.; Cheon, J. et al. “Chemical Design of Nanoparticle Probes for High-Performance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gew. Chemie. Int. Ed. 2008, 47, 5122.
  • Lee, J.; Cheon, J. et al. "Artificially Engineered Magnetic Nanocrystals for Ultra-Sensitive Molecular Imaging" Nature Medicine. 2007, 13, 95.

각주[편집]

  1. Wiley-VCH (2011). "Inchon Prize for Jinwoo Cheon" Angew. Chem. In. Ed. 50:1753. doi:10.1002/anie.2010066894
  2. “보관된 사본”. 2013년 1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14일에 확인함. 
  3. “보관된 사본”. 2013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15일에 확인함. 
  4. “보관된 사본”. 2013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1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