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
(靑陽 長谷寺 上 大雄殿)
(Upper Daeungjeon Hall of Janggoksa Temple, Cheongyang)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제162호
(1963년 1월 21일 지정)
수량1동
시대고려시대
소유장곡사
주소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장곡리 14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靑陽 長谷寺 上 大雄殿)은 충청남도 청양군 장곡사에 있는 불교 건축물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62호로 지정되었다.

개요[편집]

장곡사는 칠갑산에 있는 사찰로 신라 후기 보조국사가 세웠다고 한다. 자세한 연혁은 전하지 않으나 조선 정조 1년(1777) 고쳐 짓고 고종 3년(1866)과 1906년, 1960년에 크게 고쳐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절은 지형을 따라 위아래에 2개의 대웅전이 있는 특이한 배치를 하고 있다. 상·하 대웅전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었는데, 상대웅전은 하대웅전보다 훨씬 높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

상대웅전은 앞면 3칸·옆면 2칸 크기이며, 지붕은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특이한 양식을 보이고 있다. 건물 안쪽 바닥에는 전돌을 깔았으며, 그 중에는 통일신라 때 것으로 보이는 잎이 8개인 연꽃무늬를 새긴 것도 섞여 있다.

지붕 처마를 받치는 부재들의 짜임수법이 특이하여 건축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으며,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국보 제58호)와 《청양 장곡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및 석조대좌》(보물 제174호) 등 귀중한 문화재를 보관하고 있다.

사진[편집]

같이 보기[편집]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