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이스창 (1900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추이스창
崔世昌
중화민국 국방부의 사무차장보
임기 1948년 2월 19일 ~ 1949년 1월 6일
대통령 장제스 국민정부 국가주석
장제스 중화민국 총통
부통령 리쭝런 부총통
총리 장췬 행정원장
웡원하오 행정원장
부수상 왕윈우 행정원 차장
구멍위 행정원 차장
장리성 행정원 차장
우톄청 행정원 차장
장관 바이충시 국방부 부장
허잉친 국방부 부장
쉬융창 국방부 부장

신상정보
출생일 1900년 2월 29일(1900-03-01)
출생지 청나라 허베이가오양
거주지 중화민국 장쑤난징
중화민국 허베이베이징
중화민국 허베이바오딩
사망일 1953년 12월 7일(1953-12-07)(53세)
사망지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샤오
학력 중화민국 국방대학교
경력 중화민국 육군 간쑤 성 란저우 보안사령관
정당 무소속
군사 경력
복무 일본 육군
국민혁명군
중화민국 육군
복무기간 1919년 2월 28일 ~ 1949년 8월 15일
최종계급 예비역 중화민국 육군 중장
지휘 중화민국 육군 제7군단장
주요 참전 중일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추이스창(崔世昌(최세창), 1900년 2월 29일(1900-03-01) ~ 1953년 12월 7일(1953-12-07))은 중화민국(본토 대륙 시대)의 군인정치인이었다.

발자취[편집]

학업[편집]

[편집]

  • 1939년 중화민국 국민혁명군 육군 제1전구사령부 부참모장(육군 중령).
  • 1942년 중화민국 국민혁명군 육군 제14군사령부 참모장(1942년 3월 16일 당시 육군 대령 진급).
  • 1943년 중화민국 국민혁명군 육군 1성 장성 진급(육군 제14군사령부 참모장 시절 1943년 3월 29일 장성 진급).
  • 1944년 중화민국 국민혁명군 육군 제5전구사령부 참모장(1944년 7월 28일).
  • 1945년 중화민국 국민혁명군 육군 제5전구사령부 부사령관(1945년 3월 23일).
  • 1945년 육군 2성 장성 진급(1945년 5월 24일).
  • 1945년 중화민국 국민혁명군 육군 제5전구사령부 부사령관 시절 일본국 패망 사태 목도(1945년 8월 15일).
  • 1946년 중화민국 국민혁명군 육군 허베이 성 제6관구사령관(1946년 1월 3일 당시 육군 3성 장성 진급).
  • 1946년 중화민국 국민혁명군 육군 장쑤 성 쑤저우 보안사령관(1946년 3월 22일).
  • 1947년 중화민국 육군 장쑤 성 쑤저우 보안사령관(1947년 12월 24일).
  • 1948년 중화민국 육군 둥베이 지역사령부 지린 성 지린 군사종합산적본부 사무국 국장(1948년 1월 8일).
  • 1948년 중화민국 국방부 사무차장보(1948년 2월 19일).
  • 1949년 중화민국 육군 간쑤 성 란저우 보안사령관(1949년 1월 6일).
  • 1949년 중화민국 육군 제7군단장(1949년 3월 24일).
  • 1949년 중화민국 육군 3성 장성 전역 후 중화민국 쓰촨 성 청두(成都)에 은거(1949년 8월 15일).
  • 1949년 중화민국 육군 예비역 3성 장성 신분으로써 중화인민공화국 쓰촨 성 더양(德陽)에서 중공(중화인민공화국 인민군)한테 전격 투항 선언(1949년 12월 25일).
  • 1949년 중공 허베이바오딩(保定)으로 압송된 후 인민형무소 수감됨(1949년 12월 26일).
  • 1950년 중공 허베이바오딩 인민재판 끝에 무기징역형 최종 선고(1950년 1월 27일).
  • 1953년 형집행정지 조치 처분으로 인하여 수감 3년차 시절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바오딩 인민형무소 가출옥 출감 조처된 직후 동시에 샤오 지역으로 압송되어 샤오 인민관저(안가)에서 가택연금 조치 처분됨(1953년 1월 27일).
  • 1953년 가택연금 10개월차 시절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샤오 지역의 인민경찰지서 파출소 사격 훈련 연습장으로 압송되어 총살형 집행 조처됨(1953년 12월 7일).

사후[편집]

  • 1986년 중공 리셴녠 인민 정부 시대(덩샤오핑 치하)에서 사후복권(死後復權) 조치 처분됨(1986년 5월 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