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세간의 마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출세간의 마음(팔리어: lokuttaracittāni 로-꿋따라 찟따-니, lokuttara citta 로-꿋따라 찟따), 영어: supramundane consciousness)은 욕계 · 색계 · 무색계3계를 벗어난 수다원(예류) · 사다함(일래) · 아나함(불환) · 아라한 · 보살(초지~십지) · 붓다무루의 마음을 말한다. 특히 상좌부의 교학과 아비담마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이 경우 욕계 · 색계 · 무색계 · 출세간에 속한 총 89가지 마음 중 출세간에 속한 마음들로서, 다음과 같은 총 8가지(4도4과 = 4향4과)를 말한다.[1][2] 또는 이 8가지를 초선 · 제2선 · 제3선 · 제4선의 4선의 체계가 아닌, 초선 · 제2선 · 제3선 · 제4선 · 제5선의 5선정의 체계에 따라 세분한 40가지(8 × 5 = 40)를 말한다. 이렇게 40가지로 세분할 때 욕계 · 색계 · 무색계 · 출세간에 속한 총 121가지 마음이 있게 된다(89 - 8 + 40 = 121).[3]

  • 출세간의 유익한 마음 4가지 또는 20가지
    • 예류도(예류향)의 마음
    • 일래도(일래향)의 마음
    • 불환도(불환향)의 마음
    • 아라한도(아라한향)의 마음
  • 출세간의 과보의 마음 4가지 또는 20가지
    • 예류과의 마음
    • 일래과의 마음
    • 불환과의 마음
    • 아라한과의 마음

세간의 마음과 출세간의 마음의 가장 큰 차이는 전자는 후유(後有)를 낳고 후자는 후유를 낳지 않는다는 것에 있다. 세간의 마음은 몸 · 말 · 뜻으로 선한 행위 또는 악한 행위를 하여, 인과의 법칙 즉 업과 업의 과보의 법칙에 따라, 선업(유익한 업) 또는 악업(불선업, 해로운 업)을 쌓고 그에 따라 좋은 과보 또는 나쁜 과보를 받는다. 즉, 3계윤회한다. 이에 비해 출세간의 마음은 몸 · 말 · 뜻으로 선한 행위를 하지만 그 행위는 선업을 쌓지 않고, 선업에 비할 수 없는 출세간지혜무루의 지혜 즉 완전한 깨달음의 힘 즉 진여의 무분별지가 더욱 더 잘 발현되게 한다. 즉, 후자의 행위는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이다. 따라서 후유가 없다. 출세간의 마음은 후유가 생기지 않는다는 의미에서는 인과의 법칙 즉 업과 업의 과보의 법칙 즉 연기의 법칙을 초월한 것이라고 할 수 있고, 무분별지가 더욱 더 잘 발현되게 된다는 의미에서는 여전히 인과의 법칙 즉 업과 업의 과보의 법칙 즉 연기의 법칙과 함께 한다.

출세간의 마음은 다음의 분류 또는 체계에 속한다.

각주[편집]

  1. Bhikkhu Bodhi & Allan R. Bomhard (2007).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p.55.
    Supramundane Consciousness (lokuttaracittāni) — 8
  2. Bhikkhu Bodhi & Allan R. Bomhard (2007).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p.56.
    §28. Summary of Supramundane Consciousness
    Catumaggappabhedena catudhā kusalaṁ tathā
    Pākaṁ tassa phalattā ti aṭṭhadh’ānuttaraṁ mataṁ.
    The wholesome consciousness is fourfold, divided by way of the four paths. So too are the resultants, being their fruits. Thus, the supramundane should be understood as eightfold.
  3. Bhikkhu Bodhi & Allan R. Bomhard (2007).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p.60~61.
    121 Types of Consciousness
    (ekavīsasatāni cittāni)
    §30. In Brief
    Ittham ekūnanavutippabhedaṁ pana mānasaṁ
    Ekavīsasataṁ v’ātha vibhajanti vicakkhaṇā.
    These different classes of consciousness, which thus number eighty-nine, are divided by the wise into one hundred twenty-one.
    §31. In Detail
    Kathaṁ ekūnanavutividhaṁ cittaṁ ekavīsasataṁ hoti?
    1. Vitakka-vicāra-pīti-sukh’-ekaggatā-sahitaṁ paṭhamajjhāna-sotāpattimaggacittaṁ.
    2. Vicāra-pīti-sukh’-ekaggatā-sahitaṁ dutiyajjhāna-sotāpatti-maggacittaṁ.
    3. Pīti-sukh’-ekaggatā-sahitaṁ tatiyajjhāna-sotāpatti-maggacittaṁ.
    4. Sukh’-ekaggatā-sahitaṁ catutthajjhāna-sotāpatti-maggacittaṁ.
    5. Upekkh’-ekaggatā-sahitaṁ pañcamajjhāna-sotāpatti-maggacittañ cā ti.
    Imāni pañca pi sotāpatti-maggacittāni nāma. Tathā sakadāgāmi-magga, anāgāmi-magga, arahatta-maggacittañ cā ti samavīsati maggacittāni.
    Tathā phalacittāni cā ti samacattāḷīsa lokuttaracittāni bhavantī ti.
    How does consciousness that is analyzed into eighty-nine types become one hundred twenty-one types?
    1. The first jhāna path consciousness of stream-entry together with initial application, sustained application, zest, happiness, and one-pointedness.
    2. The second jhāna path consciousness of stream-entry together with sustained application, zest, happiness, and one-pointedness.
    3. The third jhāna path consciousness of stream-entry together with zest, happiness, and one-pointedness.
    4. The fourth jhāna path consciousness of stream-entry together with happiness and one-pointedness.
    5. The fifth jhāna path consciousness of stream-entry together with equanimity and onepointedness.
    These are the five types of path consciousness of stream-entry. So too for the path consciousness of once-returning, of non-returning, and of Arahantship, making twenty types of path consciousness. Similarly, there are twenty types of fruition consciousness. Thus, there are forty types of supramundane conscious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