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멜레온자리 DI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멜레온자리 DI
카멜레온자리 DI A, B와 주변 성운의 사진. A와 B는 각자가 눈에 보이지 않는 짝별을 데리고 있다.
카멜레온자리 DI A, B와 주변 성운의 사진. A와 B는 각자가 눈에 보이지 않는 짝별을 데리고 있다.
명칭
다른 이름 카멜레온자리 DI, HIP 54365, CD−76°486, WDS J11073-7738, AAVSO 1104-77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카멜레온자리
적경(α) 11h 07m 20.72163s[1]
적위(δ) −77° 38′ 07.2903″[1]
겉보기등급(m) 10.655[2]
위치천문학
연주시차 4.49 ± 1.59 밀리초각[1]
성질
광도 Aa: 4.7 / Ba·Bb: 0.11 L[3]
나이 Aa: 710만 / Ba·Bb: 300만 년[3]
분광형 G0e[4]
추가 사항
질량 Aa: 1.7 / Ba·Bb: 0.18 M[3]
표면온도 Aa: 6030 / Ba·Bb: 3130 K[3]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카멜레온자리 DI 또는 Hen 3-593, HIP 54365는 카멜레온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700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사중성계이다.

카멜레온자리 DI는 황소자리 T형 항성으로 변광성이며 주계열성 단계로 접어들기 전에 있는 젊은 항성체이다. 겉보기 등급은 10.65로부터 10.74까지 불규칙하게 변한다.[5] 비록 이 별이 시각적으로는 어둡게 보이나 스펙트럼상 눈에 띄는 방출선을 보여주기 때문에 존재가 각인 되었다.[6]

1977년 카멜레온자리 DI 주변에 본체보다 훨씬 더 어두운 동반성 B가 있음이 밝혀졌다.[7] 주성과의 각거리는 4.6"으로 측정되었으며 이를 실제 거리로 환산하면 약 644 천문 단위(AU)였다.[8] 이후 B로부터 각거리상 고작 0.066"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약 10 AU)에 숨은 동반성 하나가 있음을 발견했으며[9] 분광형은 둘 다 M5.5로 같았다.[10] 마지막으로 주성 A 또한 0.2" 각거리에 분광형 M6의 동반성을 거느리고 있음이 밝혀졌다.[10]

각주[편집]

  1.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2. Kilkenny, D.; Whittet, D. C. B.; Davies, J. K.; Evans, A.; Bode, M. F.; Robson, E. I.; Banfield, R. M. (1985). “Optical and infrared photometry of southern early-type shell stars and pre-main-sequence variables”. 《In its South African Astronomical Observatory Circular No. 9 p 55-86 (SEE N86-18271 08-89)》 9. Bibcode:1985SAAOC...9...55K. 
  3. Daemgen, S.; Petr-Gotzens, M. G.; Correia, S.; Teixeira, P. S.; Brandner, W.; Kley, W.; Zinnecker, H. (2013). “Protoplanetary disk evolution and stellar parameters of T Tauri binaries in Chamaeleon I”. 《Astronomy & Astrophysics》 554: A43. arXiv:1304.1150. Bibcode:2013A&A...554A..43D. doi:10.1051/0004-6361/201321220. 
  4. Torres, C. A. O.; Quast, G. R.; Da Silva, L.; de la Reza, R.; Melo, C. H. F.; Sterzik, M. (2006). “Search for associations containing young stars (SACY). I. Sample and searching method”. 《Astronomy and Astrophysics》 460 (3): 695. arXiv:astro-ph/0609258. Bibcode:2006A&A...460..695T. doi:10.1051/0004-6361:20065602. 
  5. Samus, N. N.; Durlevich, O. V.; 외.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Bibcode:2009yCat....102025S. 
  6. Henize, Karl G. (1963). “Emission-Line Stars in an Obscured Region in Chamaeleon”. 《Astronomical Journal》 68: 280. Bibcode:1963AJ.....68S.280H. doi:10.1086/109141. 
  7. Schwartz, R. D. (1977). “A survey of southern dark clouds for Herbig-Haro objects and H-alpha emission stars”.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35: 161. Bibcode:1977ApJS...35..161S. doi:10.1086/190473. 
  8. Reipurth, Bo; Zinnecker, Hans (1993). “Visual binaries among pre-main sequence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278: 81. Bibcode:1993A&A...278...81R. 
  9. Lafrenière, David; Jayawardhana, Ray; Brandeker, Alexis; Ahmic, Mirza; Van Kerkwijk, Marten H. (2008). “A Multiplicity Census of Young Stars in Chamaeleon I”. 《The Astrophysical Journal》 683 (2): 844–861. arXiv:0803.0561. Bibcode:2008ApJ...683..844L. doi:10.1086/590239. 
  10. Schmidt, T. O. B.; Vogt, N.; Neuhäuser, R.; Bedalov, A.; Roell, T. (2013). “New companions in the stellar systems of DI Cha, Sz 22, CHXR 32, and Cha Hα 5 in the Chamaeleon I star-forming region”. 《Astronomy & Astrophysics》 557: A80. arXiv:1307.1082. Bibcode:2013A&A...557A..80S. doi:10.1051/0004-6361/201220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