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칼로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자장론에서 칼로론(영어: caloron 캘러론[*])은 유한한 온도의 양-밀스 이론을 나타내는 솔리톤이다.[1][2][3] 즉, 이는 한 차원을 축소화유클리드 공간 위의 양-밀스 순간자이다.

정의[편집]

콤팩트 리 군 가 주어졌다고 하자. 칼로론은 4차원 리만 다양체

위의, 게이지 군 에 대한 양-밀스 순간자이다. 여기서 양의 실수 는 주기적 차원의 주기이다. 물리학적으로, 이는 (볼츠만 상수를 1로 놓았을 때) 절대 온도의 역수에 해당한다.

성질[편집]

모듈라이 공간[편집]

SU(N) 게이지 군의 칼로론의 모듈라이 공간을 생각하자. 모듈라이 공간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매개 변수들이 필요하다.

  • 순간자수
  • 무한대에서의 윌슨 고리 (홀로노미) . 이는 게이지 군을 카르탕 부분군으로 깬다. 그 고윳값을 이라고 하자.
  • 자하(磁荷) . 이들은 카르탕 부분군에 대한 자하이다.

그렇다면 이에 대한 칼로론 모듈라이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리만 계량을 갖춘 차원의 오비폴드이며, (오비폴드 특이점을 무시하면) 초켈러 다양체이다.

남 방정식[편집]

SU(N) 칼로론은 남 방정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남 방정식은 원 위에 정의되며, 이 원 위의 벡터 다발의 차원은 개의 점에서 바뀔 수 있다. 즉, 원은 개의 구간으로 구성되며, 각 구간에서 벡터 다발의 차원은 일정하다.

남 방정식 물리량
원의 분할에서, 각 구간의 길이 무한대에서의 윌슨 고리고윳값
원의 둘레 길이 절대 온도 (에 비례)
각 구간에서 벡터 다발의 차원 순간자수 및 자하(磁荷)
구간의 수 N 게이지 군 SU(N)의 이중 콕서터 수

자기 홀극과의 관계[편집]

칼로론 모듈라이 공간의 차원은

이다. 여기서 는 게이지 군의 이중 콕서터 수이며, 는 순간자수이다. 한 개의 (즉, ) 칼로론은 사실 개의 조각들로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각 조각은 자기 홀극으로 생각할 수 있다. 즉, 각 조각은 순간자수 를 가지며, 자하(磁荷)의 절댓값이 1이다. 조각들의 자하의 총합은 0이며, 순간자수의 총합은 1이 되어 이는 한 개의 칼로론을 이룬다.

또한, 칼로론은 고리군 값의 자기 홀극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4][5]

역사[편집]

칼로론은 1978년에 배리 해링턴(영어: Barry J. Harrington)과 하비 셰퍼드(영어: Harvey K. Shepard)가 최초로 발견하였다.[6] ‘칼로론’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calor 칼로르[*](열 熱)에서 유래하였으며, 유한 온도의 양-밀스 이론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각주[편집]

  1. Nógrádi, Dániel (2005). 《Multi‐calorons and their moduli》 (영어). 박사 학위 논문. 레이던 대학교. arXiv:hep-th/0511125. 
  2. Nye, Thomas M. W. (2001). 《The geometry of calorons》 (영어). 박사 학위 논문. 에든버러 대학교. arXiv:hep-th/0311215. 
  3. 이원종 (2004년 12월). “특집 2004 노벨물리학상. Confinement and Lattice QCD” (PDF). 《물리학과 첨단기술》 13 (12): 10–12.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 Garland, H.; Murray, Michael K. (1988). “Kac-Moody monopoles and periodic instantons”.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120 (2): 335–351. doi:10.1007/BF01217968. MR 973538. Zbl 0699.53094. 
  5. Murray, Michael K.; Vozzo, Raymond F. (2010년 9월). “The caloron correspondence and higher string classes for loop groups”. 《Journal of Geometry and Physics》 (영어) 60 (9): 1235–1250. arXiv:0911.3464. doi:10.1016/j.geomphys.2010.04.010. ISSN 0393-0440. 
  6. Harrington, Barry J.; Shepard, Harvey K. (1978년 4월 15일). “Periodic Euclidean solutions and the finite‐temperature Yang–Mills gas”. 《Physical Review D》 (영어) 17 (8): 2122–2125. doi:10.1103/physrevd.17.2122.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