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 스파이크단백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파이크 당단백질(spike glycoprotein,S 또는 스파이크 단백질(spike protein) 또는 이전에는 E2)은 코로나바이러스에서 보여지는 4가지 주요 구조 단백질 중 가장 크다.[1][2][3] 스파이크 단백질은 스파이크(spikes) 또는 페플로머(peplomers)라고 하는 큰 구조를 형성하는 삼량체(三量體, trimer)로 조립되며, 이는 비리온(virion)의 표면에서 돌출되어있다.[3][4] 음성 염색(negative stain)방식의 투과 전자 현미경(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을 사용하여 시각화했을 때 이러한 스파이크의 독특한 모양은 '태양 코로나를 회상'(recalling the solar corona)하여 바이러스 패밀리에 이름을 부여했다고 알려져있다.[5][1]

코로나바이러스 그래픽모델[편집]

(예시)SARS-CoV-2 비리온 : 파란색: 바이러스 외피(E)

청록색: 스파이크 당단백질(S) 빨간색: 외피 단백질(E) 녹색: 막 단백질(M) 주황색: 글리칸(glycan)

SARS-CoV-2 델타 변이[편집]

SARS-CoV-2 오미크론 변이[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Deng, X.; Baker, S.C. (2021). “Coronaviruses: Molecular Biology (Coronaviridae)”. 《Encyclopedia of Virology》: 198–207. doi:10.1016/B978-0-12-814515-9.02550-9. 
  2. Masters, Paul S. (2006). “The Molecular Biology of Coronaviruses”. 《Advances in Virus Research》 66: 193–292. doi:10.1016/S0065-3527(06)66005-3. PMC 7112330. 
  3. Wang, Yuhang; Grunewald, Matthew; Perlman, Stanley (2020). “Coronaviruses: An Updated Overview of Their Replication and Pathogenesis”. 《Coronaviruses》 2203: 1–29. doi:10.1007/978-1-0716-0900-2_1. PMC 7682345. 
  4. Zhu, Chaogeng; He, Guiyun; Yin, Qinqin; Zeng, Lin; Ye, Xiangli; Shi, Yongzhong; Xu, Wei (2021년 6월 14일). “Molecular biology of the SARs‐CoV‐2 spike protein: A review of current knowledge”. 《Journal of Medical Virology》: jmv.27132. doi:10.1002/jmv.27132. 
  5. “Virology: Coronaviruses”. 《Nature》 220 (5168): 650–650. November 1968. doi:10.1038/220650b0. PMC 7086490. 
  6. Spike Variants: Delta variant, aka B.1.617.2 24 June 2021, covdb.stanford.edu, accessed 1 July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