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쿨리지 효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쿨리지 효과(영어: Coolidge effect)는 생물학심리학에서, 포유류의 수컷(그리고 더 적은 수의 암컷)이 새로운 교미 대상이 나타났을 때, 심지어 아직까지 이전의 파트너와 있고 이 파트너와 교미를 중단한 후인데도 새롭게 성적인 흥분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1][2][3][4] 수컷은 다수의 암컷들과의 교미에 대해서라면 여러 차례 흥분할 준비가 되어 있다.[5]

용어의 기원[편집]

생태학자인 프랭크 비치(Frank A. Beach)가 1955년의 저작에서 처음으로 사용하였다.[6] 그는 이 신조어를 이렇게 표현하였다.[6]

캘빈 쿨리지가 대통령이었을 때의 우스개소리이다. 대통령과 영부인이 정부가 새로 만든 농장을 (따로) 시찰하였다. 영부인이 닭장에 가보았더니 수탉이 매우 자주 교미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녀가 관리인에게 수탉이 얼마나 자주 하냐고 묻자 "매일 수십번은 합니다"라는 대답을 들을 수 있었다. 그녀는 "대통령이 들를 때 그걸 얘기해 주세요."라고 전해두었다. 이 얘기를 듣자 대통령이 물었다. "매번 같은 암탉하고 하나요?" 대답은 "아뇨 대통령님, 매번 다른 암탉과 한답니다"였고 대통령이 이렇게 말했다. "그걸 영부인에게 얘기해 주세요."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Reber, A. S. & Reber, E., 《The Penguin dictionary of psychology》 3판, London: Penguin, ISBN 0-14-051451-1 
  2. Brown, R. E. (1974), “Sexual arousal, the Coolidge effect and dominance in the rat (Rattus norvegicus)”, 《Animal Behaviour》 22 (3): 634–637, doi:10.1016/S0003-3472(74)80009-6 
  3. Lester, GL; Gorzalka, BB (1988), “Effect of novel and familiar mating partners on the duration of sexual receptivity in the female hamster”, 《Behavioral Neural Biology》 49 (3): 398–405, doi:10.1016/s0163-1047(88)90418-9, PMID 3408449 
  4. Pinel, John (2007), 《Biopsychology》 6판, Boston: Pearson Allyn and Bacon, ISBN 0-205-42651-4 
  5. Carlson, N. (2013). Reproductive Behavior. In Physiology of Behavior (11th ed., p. 332). Boston, MA: Pearson Education.
  6. Dewsbury, Donald A. (2000) "Frank A. Beach, Master Teacher," Portraits of Pioneers in Psychology, Volume 4, p269-281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