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탄산 구리(II)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탄산 구리(II)
이름
IUPAC 이름
Copper(II) carbonate
별칭
Cupric carbonate, neutral copper carbonate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mSpider
ECHA InfoCard 100.013.338
EC 번호
  • 214-671-4
UNII
  • InChI=1S/CH2O3.Cu/c2-1(3)4;/h(H2,2,3,4);/q;+2/p-2
    Key: GEZOTWYUIKXWOA-UHFFFAOYSA-L
  • C(=O)([O-])[O-].[Cu+2]
성질
CuCO3
몰 질량 123.5549
겉보기 gray powder[1]
reacts with water at normal conditions
10-11.45 ± 0.10 at 25 °C.[2][3][4]
구조
Pa-C2s (7)[1]
a = 6.092 Å, b = 4.493 Å, c = 7.030 Å
α = 90°, β = 101,34°°, γ = 90°
5[1]
위험
인화점 Non-flammable
관련 화합물
다른 음이온
황산 구리(II)
다른 양이온
탄산 니켈(II)
탄산 아연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아니오아니오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탄산 구리(II)(Copper(II) carbonate) 또는 탄산 구리는 화학식 CuCO3의 화합물이다. 주변 온도에서는 구리(II) 양이온인 Cu2+와 탄산염 음이온인 CO2−3으로 구성된 이온성 고체()이다.

이 화합물은 제조가 어렵고 공기 중 수분과 쉽게 반응하기 때문에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각주[편집]

  1. H. Seidel, H. Ehrhardt, K. Viswanathan, W. Johannes (1974): "Darstellung, Struktur und Eigenschaften von Kupfer(II)-Carbonat". Z. anorg. allg. Chem., volume 410, pages 138-148. doi 10.1002/zaac.19744100207
  2. Rolf Grauer (1999) "Solubility Products of M(II) Carbonates". Technical Report NTB-99-03, NAGRA - National Cooperative for the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 pages 8, 14, and 17. Translated by U. Berner.
  3. F. Reiterer, W. Johannes, H. Gamsjäger (1981): "Semimicro Determination of Solubility Constants: Copper(II) Carbonate and Iron(II) Carbonate". Mikrochim. Acta, volume 1981, page 63. doi 10.1007/BF01198705
  4. F. Reiterer (1980): "Löslichkeitskonstanten und Freie Bildungsenthalpien neutraler Übergangsmetallcarbonate". Thesis, Montanuniversität Leob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