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금천 나들목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5년 전 (알밤한대님) - 주제: 정리

출처 없이 되돌리지 마십시오[편집]

도로공사의 공식지도에는 제물포길의 교차로인 신월 나들목도 경인고속도로의 일부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당신은 경인고속도로는 안 고치고 서해안고속도로만 고치고 있습니다. 왜 그러시죠?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211.179.112.158(토론 | IP 정보)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그거야 나중에 고치고 되고, 게다가 막무가내 그렇게 되돌리기를 하시니, 저는 복구하느라 그거 수정할 시간이 없잖습니까... --;;; --RedMosQ (토론) 2009년 2월 7일 (토) 13:27 (KST)답변
모두들 일단 편집을 멈추고, 토론을 해주세요. 설령 되돌려지더라도, 다시 되돌리기를 하기보다는 먼저 토론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Enigma7 (토론하기) 2009년 2월 7일 (토) 13:28 (KST)답변
편집 분쟁이 이어진다면, 위키백과:보호 문서 정책에 따라 보호 할 수도 있습니다. 토론을 반드시 거치세요. --H군 (토론) 2009년 2월 7일 (토) 13:31 (KST)답변
명백한 허위입니다. 고속국도 지정령에도 일직JCT가 서해안도의 종점이라는 내용 없음.----hyolee2♪/H.L.LEE 2009년 2월 7일 (토) 13:34 (KST)답변
Hyolee2님, 고속도로 지정령의 링크를 제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대통령령으로 제시한건가요? --H군 (토론) 2009년 2월 7일 (토) 13:35 (KST)답변

다음 로드 뷰 참고 결과[편집]

  • 다음 로드뷰로 알아본 결과, 고속도로 시점, 종점 표지판은 서울방향으로 금천 나들목을 훨씬 더 지나서 중앙하이츠아파트 인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따라서 목포방향으로 금천 나들목을 더 지난 뒤에 종점 표지판이 있다는 것은 전혀 신빙성이 없음을 알립니다. Av3037 (토론) 2009년 2월 7일 (토) 13:23 (KST)답변
서울방면에는 금천나들목과 약간 떨어진 남쪽으로 시종점 표지판이 자리잡고 있는 것도 아셔야 할 텐데요.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211.179.112.158(토론 | IP 정보)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그럼 시종점표지판이 두 곳이나 소재하고 있다는 이야기입니까? Av3037 (토론) 2009년 2월 7일 (토) 13:27 (KST)답변
그렇습니다.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211.179.112.158(토론 | IP 정보)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서울방면으로 '금천나들목 직전 시종점표지판 - 금천나들목 - 서부간선도로'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일단 금천나들목 문서는 서부간선도로의 교차로라고만 설명하는 식으로 하고 토론 후에 서해안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수정하든지 합시다.
하지만, 다음 로드뷰에서 나와 있듯이, 금천교 근처 사거리(금천교사거리 아님)와 금천 나들목 사이에 시종점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사진으로도 증거가 있는데 비해, 일직분기점과 금천나들목 사이에 시종점표지판이 있다고 주장하시는 것은 아무래도 신빙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우선 도로공사에서도 서해안고속도로는 금천을 종점으로 두고 있구요. Av3037 (토론) 2009년 2월 7일 (토) 13:41 (KST)답변
일단 금천 나들목을 종점으로 말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국도체계 때문입니다. 서부간선도로가 1번국도의 일부인데 금천 나들목을 고속도로의 종점이라고 한다면 1번국도는 끊어지게 됩니다. 고속도로와 국도가 중복될 수는 없기 때문이죠. 게다가 서부간선도로쪽에서만 빠져 나갈 수 있지 고속도로 쪽에서는 빠져 나갈 수 없습니다. 이 때문에 서해안고속도로 시점이 금천 나들목을 지나서 있더라도 목포방면의 나들목이 될 수 있을지는 몰라도 서울방면의 나들목은 일직 분기점으로 끝입니다. 굉장히 애매모호합니다. 이 때문에 금천 나들목이 서해안고속도로의 나들목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이지요.—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211.179.112.158(토론 | IP 정보)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그럼 성산대교 방면의 종점 표지판과 당진 방면의 시점 표지판이 금천 나들목을 지난 이후에 위치한 까닭이 뭐죠? 이 표지판 자체가 고속도로의 시,종점을 말해주는 거 아닙니까? --알밤한대(토론) 2009년 2월 7일 (토) 14:04 (KST)답변
211.179.112.158 님 나들목은 도로가 아니기 때문에 금천 나들목이 서해안고속도록 종점이 돼도 1번 국도가 끊어진다고 볼수 없지 않나요?--Ilovesabbath (토론) 2009년 2월 7일 (토) 14:15 (KST)답변
금천 나들목은 다른 나들목과 달리 특이한 점이 있습니다. 바로 나들목 자체가 도로이고, 1번국도의 일부입니다. 그러니까 무슨 말이냐 하면 1번국도는 서부간선도로를 이용한 후 금천 나들목의 램프를 이용하여 다른 도로로 들어오는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금천 나들목의 램프와 구조물 자체가 1번국도의 일부입니다. 게다가 금천 나들목은 목포방면의 차들은 빠져나갈 수 있지만, 서울방면의 차들은 빠져 나갈 수가 없다는 점도 있습니다. 이런 것들을 종합하면 금천 나들목은 서해안고속도로의 일부라고 하기에 매우 어렵다고 할 수 있습니다.—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211.179.112.158(토론 | IP 정보)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우리는 도로의 형태를 연구하는 기관이 아닙니다. 개인의 연구 성과를 발표하는 사이트도 아니구요. 무엇보다 현재 증거들을 보았을때, 상황은 바뀌지 않을 듯 합니다. 백:독자연구 금지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RedMosQ (토론) 2009년 2월 7일 (토) 18:17 (KST)답변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편집]

고속국도법 제3조에 따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시행 2008.11.17] [대통령령 제21123호, 2008.11.17, 일부개정], [1]) 별표 0은 다음을 제시하네요.

종점 - 경기도 광명시 및 서울특별시 금천구

이러면 이제 어떻게 되는 건가요? '대통령령'인데요. --H군 (토론) 2009년 2월 7일 (토) 13:45 (KST)답변

이 말은 금천구 안에 고속도로가 들어와 있다는 소리지 금천 나들목을 공식 종점으로 말한 사례가 아닙니다.
그렇다고 일직 분기점을 종점으로 삼으면, 대통령령에 맞지 않게 됩니다. 게다가 틀:고속도로 나들목에서의 고속도로 종점 표시는 그 나들목의 위치가 종점이라는 표시입니다. 나들목을 지나 종점이 있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RedMosQ (토론) 2009년 2월 7일 (토) 13:57 (KST)답변
그럼 한국도로공사의 공식 종점은 어디로 지정하고 있나요? --H군 (토론) 2009년 2월 7일 (토) 13:49 (KST)답변
한국도로공사 공식 지도에 따르면 금천 나들목이 종점으로 되어 있습니다. --RedMosQ (토론) 2009년 2월 7일 (토) 14:33 (KST)답변
저는 일직 분기점을 종점으로 삼고 있지 않습니다. 서울 구간이 있다는 것은 인정합니다. 다만 금천 나들목이 종점이라는 것은 인정하지 않습니다. 제가 말하려는 것은 서해안고속도로의 마지막 나들목이 일직 분기점이라는 것 뿐입니다.
공식적으로도 종점이 금천 나들목인데요. 사실을 직시해주시죠...--;;; --RedMosQ (토론) 2009년 2월 7일 (토) 18:29 (KST)답변

시·종점 표지판[편집]

Av3037님의 말씀대로 중앙하이츠빌 아파트 옆(성산대교 방향으로 금천나들목을 지나고 난 후)에 성산대교 방향으로는 '종점'표지가, 목포방향으로는 '시점'표지가 있습니다. 이는 "국토해양부 도로종합관리센터"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금천 나들목은 1번 국도에서 성산대교 방향으로의 진입과 시흥대교 교차로 방향으로의 진출만 가능합니다. 그리고 국토해양부 도로종합관리센터에서 확인하 바 성산대교 방향으로 금천나들목에 도달하기 전에 노선 표지가 하나 있었는데, 이는 1번 국도와 합류한다는 표지로 예상됩니다. --알밤한대(토론) 2009년 2월 7일 (토) 13:54 (KST)답변

정리[편집]

211.179.112.158님이 주장하시는 내용을 제 견해로 답변드립니다.

주장1: 금천 나들목은 다른 나들목과 달리 특이한 점이 있다.

답변: 금천 나들목과 비슷한 형태의 나들목으로는 제가 알기로는 대구의 달성 나들목이 있습니다. 이 나들목도 대구방향으로만 들어올 수 있게 설계되었습니다. 다음 지도에서 위성사진으로 확인해보셔도 됩니다. 하지만 금천나들목과 다른 점이 있다면 달성 나들목의 진입로는 국도가 아닌 고속도로의 일부(램프)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주장2: 금천 나들목이 서해안고속도로의 시종점이 아니다.

답변: 금천 나들목이 서해안고속도로의 시종점으로 확실하게 말씀드릴 수는 없습니다. 이는 한국도로공사 교통정보 서비스 홈페이지인 로드플러스의 권역별 교통정보의 지도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며 이 지도를 보면 금천나들목에서 서해안고속도로 시종점까지 0.4km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를 보아 금천 나들목이 정확한 서해안고속도로의 시종점은 아니며, 서해안고속도로 시종점 표지판이 있는 금천나들목에서 성산대교 방면으로 약 0.4km 지점(중앙 하이츠빌 아파트 옆)으로 볼 수 있습니다.

주장3: 시종점표지판이 여러곳에 존재한다.

답변: 이 의견은 허위 사실입니다. 금천나들목 직전에는 어떠한 시종점 표지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알밤한대(토론) 2009년 2월 7일 (토) 20:56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