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단오 (한국)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5년 전 (InternetArchiveBot님) - 주제: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11월)

UNESCO[편집]

According to Chinese wikipedia, Koreans have applied this thing to UNESCO's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and it has been approved or is being approved. Is it true? If so, please add this incident to the article. It is a honorable historical step to Korea. Thank you.--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67.188.139.200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수릿날[편집]

제목을 단오라고 하기보다는 수릿날이라고 하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단오라는 명절은 중국에도 있기 때문에 혼선을 가져올 것이기 때문이죠.

우리나라 단오의 기원은 중국의 단오의 기원과 다른데, 옛날 삼한시대 5월에 제사지내던 풍습이 지금까지 이어져 온 것이고 이것으 우연찮게 중국명절인 단오와 날짜가 같아져서 단오라고 불렀던 것입니다. 원래 이름은 수릿날입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68.252.37.253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koreans steal chinese history and culture. shame on koreans.--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118.20.101.120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유네스코에서 인정된 것은, '단오'가 아니라 '강릉 단오제'입니다. 중국에도 고유한 단오제가 있다면 신청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jtm71 (토론) 2008년 12월 4일 (목) 07:51 (KST)

이동 제안[편집]

내용 대부분이 한국의 단오에 대한 것이어서, 별도의 문서로 분리 또는 이동을 제안합니다. jtm71 (토론) 2008년 12월 4일 (목) 08:42 (KST)답변

옮겼습니다.[1] --Puzzlet Chung (토론) 2009년 7월 26일 (일) 23:17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11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한국의 단오에서 2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11월 11일 (일) 18:42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