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론:더블유스토어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 회사정보[편집]

1.1 소개[편집]

KOLON그룹의 더블유스토어(wstore)

더블유스토어(w.store)는 대한민국의 드러그스토어 체인이다. (주) 코오롱 그룹의 계열사인 (주)코오롱웰케어는 섬유사업으로 시작했다가 친환경 및 웰빙 열풍에 발맞추어 ‘웰니스’ 사업의 일환으로 더블유스토어 브랜드를 내 지난 2004년부터 사업을 시작했으나, 2017년 8월 1일 부로 (주)코오롱 계열사인 (주)티슈진 한국지점으로 변경되어 운영하고 있다. (주) 코오롱이 최대주주이다. 한국형 드럭스토어의 모습보다는 “약국”을 중시하는 외국형 드럭스토어의 모습을 표방하고 있다. CJ올리브영, GS왓슨스(현 랄라블라)에 이어 세 번째로 국내 드럭스토어 시장에 출범하였다. 2004년 창립 이래로 13년 동안 손실을 기록했으며, 매각을 추진한 바 있다. 계열사를 통해 매년 수십억원의 자금을 수혈받으며 사업을 유지하였다. 공식적인 콘셉트는 ‘우리가족 전담약국’, ‘토털 웰빙 드럭스토어’다.

회사주소는 경기도 과천시 코오롱로 13 코오롱타워 별관 2층이다. 대표 전화번호(FAX)는 02-3677-6400.

1.2 연혁[편집]

2004. 5 회사설립. 성신여대점 오픈
2006, 12 매장 50개점 오픈
2008. 8 압구정로데오점.경희대점 오픈
2009. 6 이우석 대표취임
2010. 3 고속도로휴게소(영동선 덕평랜드) 매장 오픈
2010. 12 매장 100개점 오픈
2012. 2 최초 더블유스토어 전용 일반의약품 출시 -비타빅데이
2012. 3 사옥이전(과천 별양동 그레이스빌딩)
2012. 7 더블유스토어전용 일반의약품 출시 - 벤포자임
2012. 10 가맹점 150호점 달성
2012. 11 약국최초 환경부장관 표창 수상(비산업부문 온실가스 절감 우수 사업장)00
2013. 1
  • 김경용 대표이사 취임
  • 약사전문교육 더블유아카데미 개설
2013. 3 부산대 장수생명 독점 상품 공급에 대한 MOU 체결
2013. 4
  • 최초 더블유스토어 전용 건강식품 출시 - 프로폴리스 홍삼, 프로폴리스 드롭
  • 더블유스토어 전용 건강식품 출시 - Lp, Tp, Bh, Sc, Fv, Mv, St, cy, kg
2013. 6 지주사 변경(코오롱 글로텍 100%)
2013. 7 서울특별시 약사회 공동 교육사업 MOU 체결
2013. 9
  • 더블유스토어 신제품 출시- 소성초
  • 더블유스토어 전용상품 출시 기념 골프대회 개최
  •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교육협약 MOU 체결
2013. 10
  • 대한약사회 공동 부산대 약학대학 장학기금 전달
  • BI/SI 리뉴얼
  • 사옥 강남으로 이전(역삼동 온누리 빌딩)
2013. 11 환경부장관 표창 수상(비산업부문 온실가스 절감 우수 사업장)
2014. 1
  • 신년세미나 개최
  • 건강명장 1호 선정(생초록농원 현경태 대표)
  • 시자르 독점 상품 공급에 대한 MOU 체결
  • 더블유스토어 신제품 출시 -Bo, 카테그린 치약

2. 특징 및 주요사업[편집]

2.1 특징[편집]

  • 약국을 중심으로 하고 각종 건강식품을 판매한다. 모든 매장이 가맹점으로, 약사가 매장 소유주가 된다. 처방 조제부터 건강 상담, 피부 상담까지 약사와 직접 상담할 수 있다.
  • 편의점과 비슷한 형태로 보이나, 이를 드럭스토어로 분류하는 것은, 편의점 주 취급품이 담배, 과자 등인 것에 반해 wstore는 약국과 화장품이 주요 아이템이기 때문이다.
  • 점주가 약사이기 때문에 드럭스토어 창업에 생소한 것을 고려, 대다수 가맹점에 본사 직원을 파견 배치해 의약품 이외에 화장품 및 기타 제품들을 관리해 제품 관리를 돕고, 동시에 가맹점 관리까지 가능하게 한다.
  • 운영 방식은 편의점과 비슷하다. 매장 수익을 매일 매일 본부로 보내 본부에서 실시간으로 가맹점 매출 현황을 알 수 있어 지속적인 매출 분석 및 관리가 가능하다.
  • 창업 시에는 평균적으로 가맹비 500만 원을 포함, 약 3천만 원 가량의 초기 투자비용이 든다.
  • 매장에 비치되는 제품의 경우 의약품은 약사인 점주들이 개별적인 루트를 통해 들여오고, 그 외의 것들은 본사 지정 협력 도매상인 편의점 전문 물류업체를 통해 주 2회 정도 탑차를 통한 배송이 이루어지는 물류시스템 형태다.
  • 매장 오픈 전에는 1주일간 사전교육을 통해 전산시스템 이해부터 매장운영, 매출관리, 서비스교육 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 의약품 외 또 다른 주요 취급품인 화장품에 대한 교육도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지며 신상품이 나올 때 마다 관련 내용을 전달, 본사 직원들이 매장 순회교육도 실시한다.
  • 일반 약품과 일반 외약품을 함께 진열할 수 있어 특화 매대를 운영한다.
  • 화장품을 위주로 하는 다른 헬스&뷰티 스토어와는 달리 모든 자사 w-store 매장에는 약국이 입점되어 있으며, 약사가 소비자 개인에게 맞는 건강기능식품과 기능성 화장품을 추천하고, 약사 상담 등 전문 서비스 제공을 하는 장점이 있다.
  • 약국과 연계하여 OTC + H&B 상품을 구성함으로써 대고객 제안 판매를 진행하고 있으며, 맘&키즈 및 헬스케어 카테고리에 있어서 다양한 상품 구색을 갖추고 있다.


  • 판매경로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다.
직영점 제조자(벤더) → 자사 → 소비자
가맹점 제조자(벤더) → 자사 → 가맹약국 → 소비자
온라인 제조사(벤더) → 자사 → 네이버스토어팜 외 온라인채널 → 소비자


  • 일반의약품 및 헬스&뷰티 상품을 당사가 가맹점 및 직영점에 공급하는 B to C 형태로 매장에서 상품 발주시 위탁물류를 이용한 배송과 거래처에서 직접 배송하는 2가지 공급거래 시스템를 운영하고 있다.
  • 영업담당자 DA (Drugstore Adviser)가 가맹점의 상품발주, 재고관리 등 매장에 일어나는 모든 영업 관련 사항을 담당하고 있으며 가맹점주인 약사와의 유대관계를 통해 가맹점에 대한 상품 공급과 서비스 제공을 하고 있다.
  • 경로의 다각화를 위해 유통의 패러다임에 맞게 온라인시장에 진출하여 2017년 1월 네이버 스토어팜을 오픈한 이후 다양한 경로의 온라인 채널에 입점,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현재(2018년 1분기)도 약국 도매상, 제약사 폐쇄물, 할인점 등 다양한 유통 채널에 상품을 입점 또는 입점 제안을 진행하고 있다.


2.2 주요사업[편집]

‘웰빙토털숍(Wellbeing Total Shop)’을 지향한다 .각종 비타민, 영양제, 다이어트용품, 건강음료를 비롯해 기능성 화장품, 건강, 리빙용품을 제품 카테고리 별로 내세워 △화장품 45% △헬스용품 25% △생활잡화 30% 등의 비율로 품목구성이 이루어져 있으며, 화장품은 아토피·여드름제품을 비롯해 천연소재화장품, 피부과 및 약국전용화장품 등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3. 현 실정[편집]

3.1 점포[편집]

강원 w-store 원주햇살약국, w-store 원주큰사랑약국
경기 w-store 하남 만남의 광장 휴게소, w-store 화성 태평양약국, w-store 판교 U&I 약국, w-store 부천조광약국, w-store 일산하이약국, w-store 용인에너스주오약국,

w-store 인계동행복약국, w-store 김포이화약국,w-store 광교상현정문약국, w-store 분당이층약국, w-store 남양주시민약국, w-store 동탄에이치원프라자약국, w-store 동탄1등약국, w-store 수원호매실약국, w-store 과천맑은샘약국, w-store 수원우리대학약국, w-store 판교더블유약국, w-store 동두천지행약국, w-store 용인한빛약국

경남 w-store 창원이화약국, w-store 김해큰나무약국, w-store 김해장유서울약국, w-store 양산그린약국
경북 w-store 경주휴게소, w-store 건천휴게소, w-store상주큰사랑약국(w-store+), w-store 구미 함께하는 약국, w-store 구미 인더스트리 공장 신협매점, w-store 김천천사약국, w-store 경북경산약국
광주 w-store 광주 첨단광장약국.

w-store 광주365종로약국, w-store 광주서구녹십자약국, w-store 광주온사랑약국, w-store 광주건강한미래약국, w-store 광주미래약국

대구 w-store 대구 우리약국,

w-store 대구리더스약국, w-store 대구칠곡약국. w-store 대구중앙약국, w-store 대구이기동약국. w-store 대구송현경북약국

대전 w-store 대전 바른약국, w-store 대전문화유연약국, w-store 탄방조이약국
부산 w-store 부산 오거리약국, w-store 부산괘법경남약국,w-store 부산주례큰사랑약국,

w-store 부산화명열린약국, w-store 부산동남약국, w-store 부산동아약국

서울 w-store 성북종암점, w-store 강동 한림점(직영점), w-store 아현 바른약국, w-store 일원열린약국, w-store 논현제일그랜드약국,

w-store 반포조달약국. w-store 문래행복약국, w-store 삼성엠약국, w-store 역삼 건강약국, w-store 신촌연세약국, w-store 압구정프라자약국, w-store 상도더블유약국, w-store 봉천기분좋은약국, w-store 신정열린약국, w-store 대림산호약국, w-store 강동태린약국, w-store 강남하이약국, w-store 은평에코플러스약국, w-store 더블유수약국, w-store 강남삼성약국

울산 w-store 울산경희약국, w-store 울산효성약국, w-store 울산다정약국, w-store 울산유태일약국,w-store 울산희망약국, w-store 울산삼산현대약국
인천 w-store 송도 자연애약국, w-store 인천공항 스타약국, w-store 인천논현프라자약국,

w-store 인천화림약국, w-store 검단제일약국, w-store 인천간석약국, w-store 가정굿모닝약국, w-store 인천실로암약국, w-store 구월타워약국, w-store 검단더블유약국, w-store 부평예스약국

전남 w-store 전남 강진 미소약국, w-store 화순 그랜드약국, w-store 목포 초당약국, w-store 광양서울약국
전북 w-store 고인돌휴게소(하행선), w-store 고인돌휴게소(상행선), w-store 덕유산휴게소(상행선), w-store 덕유산휴게소(하행선),

w-store 익산예송태평양약국

제주 w-store wellcares 제주 다희연점, w-store 제주이도약국, w-store 서귀포늘푸른약국
충남 w-store 대천휴게소(하행선),w-store 대천휴게소(상행선),w-store 홍성휴게소(하행선),

w-store 홍성휴게소(상행선), w-store 인삼랜드 휴게소,w-store 입장휴계소점,w-store 당진태평양약국, w-store아산미래약국, w-store 예산시민약국,w-store 서산메디팜대흥약국,w-store 쌍용루가약국,w-store 천안쌍용세계로약국

충북 w-store 청원더블유약국,w-store 충북용암약국,w-store 제천내토메디칼약국


3.2 매출[편집]

<매출액>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138억원 117억원 92억원 79억원 62억원 53억원

2017년, 코오롱티슈진으로 운영이 변경된 이후 매출액은 15억 6100만원을 기록했고, 현재 2018년 1분기 매출액은 9억 2600만원이다.

<시장점유율>

2009 2010 2011
9.1% 5.9% 3%

<순손실>

2012 2013 2014
20억 27억원 34억원

<자금 수혈>

2013 2014 2015 2016
46억원(6,11월) 34억원(3,7월) 20억원(2월) 18억원
  • 손실이 커져 사업유지가 힘들어지자 코오롱그룹은 지난 2013년 적자 계열사인 코오롱웰케어의 최대주주를 코오롱제약에서 코오롱글로텍으로 변경하고 자금 수혈을 시작했다. 현재는 (주)티슈진 한국지점이다. 당시 코오롱글로텍은 코오롱제약이 보유하고 있는 코오롱웰케어 주식 111만8800주(100%)를 전액 인수하며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 코오롱글로텍은 매년 코오롱웰케어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자금 지원을 하였었다. 자동차 소재 전문기업인 코오롱글로텍은 본업 외에도 수입 자동차 판매와 스포츠센터(스포렉스), 호텔 사업 등 그룹 신사업 부문의 연착륙을 돕는 인큐베이터 역할을 해왔다.
  • 집계가 가능한 연도별 실적을 보면 코오롱웰케어는 지난 2007년 매출액 111억원에 영업손실 28억원을 기록했다. 2008년에는 126억원 매출액에 35억원 영업적자, 2009년에는 138억원 매출에 25억원 영업손실을 나타냈다.
  • 코오롱웰케어의 실적은 최대주주로 있었던 코오롱제약의 실적에도 영향을 미쳤다. 2011년 664억원 매출액에 영업이익 18억원을 기록했지만 이후에는 616억원 매출액에 영업손실 14억원, 당기순손실 82억원을 나타내 적자전환됐었다.

3.3 현재[편집]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대기업 본사 마케팅 담당자와 가맹점주인 약사간 의약품, 일반상품 공급에 의견 차이가 있어 의약품을 전문적으로 유통하는 약국체인 업체보다 약국과의 상생이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계열사의 지원 속에서도 실적개선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지원에도 불구, 매출액은 고점 대비 50% 가까이 줄었고, 20억~30억원에 달하는 적자폭도 줄어들지 않고 있다. 적자가 쌓이면서 부분 자본잠식에 빠진 상태다. 업계에 따르면 코오롱그룹은 코오롱웰케어의 매각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현재 2018년 1분기,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드럭스토어사업부문의 경우에는 취급 아이템의 효율화를 추진하여 매출 부진 아이템은 과감하게 정리하고 경쟁력있고, 마진이 높은 상품의 취급을 확대하고 , 독점 브랜드 소싱을 집중적으로 진행하는 상품 전략을 전개해나가고 있다." 라고 밝혔다.
  • 가맹사업의 경우, 소아과처방 전문 약국 위주로 유아특화존 구성을 함으로써, 경쟁력있고 독점 유통 가능한 유아화장품 브랜드를 비롯한 맘&키즈 카테고리를 중점적으로 공급해 매출 증진을 지속적으로 도모해 나갈 것이다"라고 밝혔다.
구분 세부 실천내용
운영 전략
  • 약국 방문대상 고객 마케팅 강화 (월별프로모션, 초특가행사)
  • 맘&키즈 특화 매대 구성을 통한 매출증대 및 재방문 유도
서비스증대
  • 헬스&뷰티 측정및 상담 코너 운영을 통한 고객만족서비스
  • 맘&키즈 매장 만들기위한 특화매대 운영 서비스 확대
상품력증대
  • ONE&ONLY PB제품 개발을 통한 아이템 밸류 강화
  • 맘&키즈 상품 차별화 및 구색증대
  • 현재(2018년 1분기)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수입되지 않은 해외 유망 유아브랜드의 독점수입을 검토 중이며 약국 최저가 공급 확대를 통한 상품 경쟁력을 도모하고 있다. 이와 함께 매장 별로 상권에 맞게 경쟁력있는 특가행사 상품을 기획하여, 고객 수를 늘리고 객단가를 증대하는 전략을 펼쳐나가고 있다.
  • 현재(2018년 1분기)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심각한 수준의 미세먼지 및 황사를 대비한 제품 및 유기농/천연 컨셉의 제품을 PB로 개발 진행 중에 있다. PB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해 우수 외부 업체와의 제휴도 진행함으로써 자사 약국 채널 등 오프라인과의 협업을 통해 매출을 극대화할 예정이다.

독점적인 제품을 소싱하고 직접 개발함으로써 차별화된 상품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을 말하였다.

출처 및 참고문헌[편집]

외부링크[편집]

wstore 공식 웹사이트-http://www.wstor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