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론: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에 대한 대한민국의 논란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3년 전 (Altostratus님) - 주제: 분할 토론

분할 토론[편집]

찢어놓읍시다. 지금 상황으로 봤을때 한 곳으로 모아둘 정도로 특필할 가치가 있어보이지 않습니다.--Alto (토론) 2011년 4월 8일 (금) 18:08 (KST)답변

반대 단일 정책도 아니고, 1회성 사건에 대한 논란을 모아놓은것입니다. 방사능이 이미 한국에까지 퍼져있습니다. 찢어놓으면 한국의 대응을 총괄하는 문서를 어디서 찾아야 할지도 어려워지며, 이 문서는 단일문서로써의 가치는 충분합니다. 일본에 지원이나 방사능에 대한 조치 등등 말이죠. 이명박 정부 문서에 넣을만한 연관성은 떨어진다고 봐요. 그렇게 따지면 이명박 정부의 문서에 '리비아 사태'를 비롯한 각종 국제사건에 대한 이명박 정부의 조치에 대한것들도 넣어야 합니다. 엄청 조잡해지겠죠. 독도분쟁 문서에 이 문서의 내용을 넣을경우 독도분쟁 문서가 지엽적으로 될 가능성이 높으며, 직접적인 연관성이 떨어집니다. --1 (토론) 2011년 4월 8일 (금) 21:59 (KST)답변
지금 이 문서에서 다루려고 하는 내용은 이명박 정부에 대한 비판인가요. 아니면 논란 자체인가요. 후자면 잘 간추려서 동일본 대지진 관련 문서에 넣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만.--Alto (토론) 2011년 4월 8일 (금) 22:08 (KST)답변
차라리, 원래 있었던 세계 각국의 반응을 다시 살려서 거기에 추가하는 건 어떨까요? 나라별 한국어 출처도 쉽게 찾을 수 있어서, 대한민국 측 반응으로만 쏠리지 않을 것 같은데 말이죠. --가람 (논의) 『Carpediem』 2011년 4월 9일 (토) 16:45 (KST)답변
'세계 각국의 반응' 문서에 이 문서를 넣으면 그 문서에는 '대한민국의 조치'가 어떠했는지 넣을 수 없습니다. 한국과 일본의 독도 분쟁도 넣기 애매해집니다. 한국에서 벌어지는 일들만 나열해도 앞으로 문서량은 계속 늘어날걸로 보입니다.--1 (토론) 2011년 4월 11일 (월) 02:08 (KST)답변
일단 현재 문서의 발전 상황을 봤을 때 현재의 문서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제목은 약간 수정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Ellif (토론) 2011년 4월 10일 (일) 21:08 (KST)답변
앞으로 문서가 계속 커질것입니다. 그러므로 유지가 합당합니다.--1 (토론) 2011년 4월 11일 (월) 02:08 (KST)답변

의견 #방사능 논란 같은 경우 "대한민국 정부는 일본 영토 상공에서 항상 편서풍이 불고 있으므로 방사능이 한반도로 넘어올 가능성은 없다고 밝혀왔으나, 4월 이후 대한민국 전역에서 소량의 방사능이 검출되면서 정부의 발표가 잘못됐다는 비판과 함게 불신이 커졌다. 이를 비롯해 축소논란도 잇달았다"로 축약이 가능하며 #일본 지원 논란은 "대한민국 정부가 일본 재건을 위해 전폭적인 지원을 해주었으나 독도 명기 교과서를 통해 (대충) 배신 맞았다"로, 조치, 재점검, 우려 또한 전부 마찬가지입니다. 중요한 것은 얼마나 특필할 가치가 있느냐 입니다. 앞서 말한대로 대폭 축약이 가능한데 누구누구는 비판하고 여론이 어땠고 어떤 반박이 있고 이것저것 있는 것 없는 것 다 같다 붙여서 매우 부풀려져 있는 상태입니다. 이렇게 논란 하나하나를 크게크게 부풀려 써야할 필요가 있나요. 전부 잘라내야 합니다. (1님을 비판하는 건 아닙니다만)--Alto (토론) 2011년 4월 11일 (월) 18:05 (KST)답변

토론이 진전이 안되는데 일단 제가 이명박 정부독도 분쟁은 어디까지나 예를 든 것이고 ja:東日本大震災に関連した犯罪 처럼 동일본 대지진에 관한 논란이 만들어 지면 여기에 전부 집어 넣을 수 있을꺼라 생각합니다. 어떤가요?--Alto (토론) 2011년 4월 15일 (금) 16:56 (KST)답변

누차 말씀드리지만 이미 2만바이트가 넘어갔고 앞으로 얼마나 늘지 알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바다에 뿌린 방사능도 곧 올거같고요. 동일본 대지진에 관한 논란에 넣으신다면 분명 대한민국 사정이 대부분 차지할게 뻔해보이고 그러면 KPOV로 사실상 효용성이 없어지겠죠. 논란도 충분하고 지속적이며 저명성도 충분한데 왜 자꾸 다른것과 섞으려 하시는건지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정부와 국민들의 불안, 각종 조치와 해산물 판매량에 대한 광범위한 영향력은 그 문서에 넣을수도 없고, 지진에 대한 불안감 가중과, 원전 재점검 등도 '전세계 논란'이라는 통합된 문서에 넣기에 부적절합니다. --1 (토론) 2011년 4월 15일 (금) 17:28 (KST)답변
그리고 이명박 정부나 독도분쟁으로 나누자는 이야기는 어디까지나 예를 든거라고 하시면서 계획을 바꾸셨는데, 그렇다면 지금까지 의견을 내놓은건 그냥 이 문서를 쪼개고싶다는 것 뿐인가요? 타당한 이유를 제기해서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설득력이 없다고 생각하면 철회했으면 합니다. 결과에 목적을 짜맞추지 말고요. --1 (토론) 2011년 4월 15일 (금) 17:35 (KST)답변
꽤 기다린 것 같은데 이제야 대답하시네요. 제가 맨 처음에 제기한 요약 문제도 그렇고 kpov 둘다 맞습니다. "요약"해서 "전세계"에서의 논란으로 집어 넣는게 맞아요. 정부와 국민들의 불안, 각종 조치와 해산물 판매량에 대한 광범위한 영향력은 그 문서에 넣을수도 없고, 지진에 대한 불안감 가중과, 원전 재점검. 대한민국에서만 있는 게 아닌 전세계 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거 맞지요?--Alto (토론) 2011년 4월 15일 (금) 18:11 (KST)답변


그냥 그만하겠습니다. 철회합니다. 공격적으로 나오시는 것도 그렇고 제 쪽에서도 억지 주장으로 비춰보이는 것도 그렇고 이 토론에서 얻으려고 하는 게 없어보입니다. 최근 여러가지 일로 스트레스 받기도 해서 여기에서 장기적으로 봤을 때 꽤 지친 일로 될 것 같고 또 토론:우리민족끼리 사이버 공격 사건에서 괜히 소모적 논쟁으로 비춰보이는 것도 다 싫고 하니 역시 그만두는 게 최상책일 것 같네요. 언제나 수고하세요.--Alto (토론) 2011년 4월 15일 (금) 18:21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