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마리 앙투아네트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7개월 전 (InternetArchiveBot님) - 주제: 외부 링크 수정됨 (2023년 10월)

오스트리아의 마리 앙투아네트[편집]

제목이 부적절합니다. 일단 너무 길고요. 프랑스의 왕비를 출신지의 현재 지명에 따라 "오스트리아의"라고 붙이는 것은 중립적 시각에도 문제가 있습니다. 그녀의 공식 명칭 프랑스의 왕비, 오스트리아의 대공녀중 최후의 명칭인 프랑스의 왕비라는 표시를 하거나 다른 동음이의의 뜻들이 대부분 실제 마리 앙투아네트 왕비의 영화,만화등인 만큼 그냥 "마리 앙투아네트"라고 표시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Alfpooh 2007년 3월 25일 (일) 07:56 (KST)답변

제목이 길다고 부적절하다는 것은 이해가 안되는군요. 이해를 못할 만큼 심하게 긴 것도 아니잖습니까. (그럼 원래 제목이 긴 것은 어떻게 하십니까. 마음대로 약자를 만들어 단어를 절단하십니까?) 원래 오스트리아 출신이었으니 중립적 시각이 문제가 된다고 생각은 안됩니다만. 흔히 왕비들을 칭할 때 출신지를 병기하는 모습을 많이 봤기 때문에 그리한 것입니다. 단지 출신지 표기이니 중립적 시각은 문제될 것이 전혀 없다고 생각합니다. 검색자가 오스트리아인에 프랑스 왕비라는 걸 모른다고 생각되지도 않고요. 설령 다른 위키백과가 그렇지 않더라도 검색하면 바로 넘어오게 되어있으니 문제 없는 것 아닙니까. 그것을 위한 넘겨주기이고요. 靑井 霧 2007년 3월 25일 (일) 08:09 (KST)

이 문제에 관하여 영어 위키 백과에서 토론이 있었습니다. 3월 24일에도 한번 뒤집어지는 편집이 있었더군요. 저의 의견은:

  1. "오스트리아의"가 추가적인 정보나 동명이인을 구별하는 기능이 미약한 만큼 가능한 간략하게 썼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2. 중립적시각이라는 이유는 역사적으로 마리 앙트와네트를 오스트리아의 사주를 받은 외국인 왕비로 프랑스 혁명의 위협적인 오스트리아의 대표로 보았기 때문에 프랑스의 왕비로 보다는 위협적 외국인이라는 의미에서 쓰여지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3. 1.의 보충으로 다른 마리 앙투아네트의 백과사전사례가 대부분 영화화하거나 만화화된 사례이므로 그러한 것입니다.
  4. 15자(공백문자포함)은 아무래도 좀 긴것 같습니다. 저의 생각이 주관적일 수도 있겠으나 그리 실용적이지 못하다고 생각되며 오히려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고 봅니다. 본문에서 충분히 오스트리아 태생이며 오스트리아의 대공녀라는 설명이 적절하게 현재 되어 있다고 봅니다.

--Alfpooh 2007년 3월 26일 (월) 00:08 (KST)답변

‘어디의 누구’ 식으로 제목을 쓰는 것은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군주의 영향임을 알려드립니다. --Puzzlet Chung 2007년 3월 26일 (월) 02:02 (KST)답변

감사합니다. "{지명}의 {이름}" 의 형식으로 쓰는것은 중국/한국의 각 왕조에서 여러명의 '태조'가 있는 경우와 유럽에서 여러명의 마리아란 왕족이 있는 경우등에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선택한 방법인데 비해, 본 문서인 마리 앙투아네트의 경우에는 별로 헷갈리거나 동일명의 다른인물에 대한 설명이 그리 필요하지 않은 경우라고 생각되어 단순하게 이름만가지고도 무리가 없지 않은가 하는것이 제 의견입니다. --Alfpooh 2007년 3월 26일 (월) 12:41 (KST)답변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안토니아"도 아니고 "오스트리아의 마리 앙투아네트"로 옮겨서 얻을 수 있는 이익은 없어보입니다. -- ChongDae 2007년 3월 27일 (화) 10:23 (KST)답변
ChongDae님과 다른 분들을 위해 잠깐 요약드리면...
  1. 발음에 관한 문제는 아닙니다.
  2. 간단히 표기하는 방법에 대한 제안입니다.
  3. 이 경우는 좀 특수한 경우로서 "오스트리아의"를 붙임으로서 중립적시각에 위반되지 않는가 하는 의문의 제기입니다.

감사합니다.--Alfpooh 2007년 3월 27일 (화) 11:19 (KST)답변

기타[편집]

포경수술 여부와 성불구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루이는 포경수술을 하지 않아 성불구-' 라는 대목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Rudius 2007년 5월 14일 (화) 23:44 (KST)답변

그림들에 대한 부가설명에 대해서...[편집]

마리 앙투와네트의 초상화들에 부가 설명 : 작가 및 그려진 년도, 소장하고 있는 박물관 이름 등등의 설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편집을 하고 싶어도 그린 화가들을 한국말로 어떻게 발음해야 하는지 알 수가 없네요. 맨 처음 그림의 경우 화가의 이름이 Jean-Baptiste Gautier D'agoty 인데, 장 밥티스트 고티에 다고티 라고 발음하는 것이 맞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두번째 소녀 시절을 그린 화가는 Martin van Meytens인데, 한국말로 발음하면 마틴 반 메이튼인지 마튼 벤 메이튼인지 헷갈리네요. 그리고 그림들이 대부분 다른 나라의 위키백과에서 링크해온 것들인데 보니까 몇몇 그림은 소장하고 있는 박물관에 대한 정보가 없기도 하고... 좀더 조사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Kato(Nevermind) (토론) 2008년 9월 26일 (금) 12:01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3년 10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마리 앙투아네트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3년 10월 4일 (수) 17:22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