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붕당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5년 전 (Knight2000님) - 주제: 시파, 벽파, 신서파, 공서파.

역사적 평가[편집]

역사적 평가 부분에서 메이지 유신을 언급한 부분은 출처가 명확치 않아 일단 출처 필요 틀을 달아 두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일본의 "강력한 왕권"이란 부분은 통상적인 일본 왕권에 대한 평가와 다른 점이 있다고 생각되는 부분입니다. 출처 표기가 장시간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백:독자연구로 간주될 수 잇습니다.Jjw (토론) 2008년 9월 12일 (금) 20:19 (KST)답변

메이지 유신 시기의 일본은 "강력한 왕권"이 맞습니다. 헌법까지도 마음대로 개폐할 수 있을 만큼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었고, 천황은 헌법을 비롯한 모든 법령으로부터 자유로왔습니다. 조선의 왕이 그렇게 했다면 당장 반정이 일어났겠죠. --Knight2000 (토론) 2008년 9월 13일 (토) 00:19 (KST)답변
묻고싶은게 있는데, 통상적인 일본 왕권에 대한 평가는 어떤것입니까? Hanlg12 (토론) 2008년 9월 13일 (토) 10:34 (KST)답변
막부 시대의 일본의 왕은 정치적 의미가 전혀 없는 존재, 메이지 초기에는 유신 세력의 명분 이 정도 입니다만, 일본의 흠정 헌법이 반포된 것은 메이지 22년의 일로 메이지 시기 전반에 걸쳐 왕권이 강력했다는 것은 표현 상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출처 표기는 부탁드립니다.Jjw (토론) 2008년 9월 13일 (토) 12:42 (KST)답변
제 주장의 출처는 여기에 표기해 두겠습니다. (1) 이에나가 사부로, 이영 옮김, 《일본문화사》, 까치 ISBN 89-7291-227-1.238 - 249 쪽. (2)가쿠 고조 감수, 양억관 옮김, 《이야기로 배우는 일본의 역사》, 고려원미디어, ISBN 89-12-52095-4, 제5장 새로운 시대의 시작-메이지 유신. Jjw (토론) 2008년 9월 13일 (토) 13:28 (KST)답변

Jjw 님 글을 보니 메이지 유신 시기 전체에 대해서는 "강력한 왕권"이 성립하지 않군요. --Knight2000 (토론) 2008년 9월 13일 (토) 18:25 (KST)답변

Hanlg12 님의 출처 표기를 기다리는 중입니다. 이번 주에도 아무런 답변이 없다면 해당 편집을 삭제할 생각입니다.Jjw (토론) 2008년 9월 16일 (화) 23:24 (KST)답변
  • Hanlg12 님이 기여한 아래의 내용에 대해 아무런 해명이 없기 때문에 문서에서 삭제했습니다. 아래의 내용의 출처를 분명히 밝히기 전에는 문서에 삽입하지 말아주시기를 당부드립니다. Jjw (토론) 2008년 9월 20일 (토) 15:42 (KST)답변
    • 삭제한 부분: 또한 붕당으로 인해 자주적인 근대화의 실패라는 시각도 다분히 일제시대를 원망하는 현대적인관점의 시각인 선입견에 가까우며, 메이지유신 또한 강력한 왕권을 배경으로 한 신하들과의 소통으로 자주적인 근대화가 가능했던것이다.

시파, 벽파, 신서파, 공서파.[편집]

이 네 당파는 기존 사색당파(동서남북인)와 동일하지 않습니다. 기존 당파에서 특정 정치 문제를 기준으로 이합집산한 것이 시파, 벽파, 신서파, 공서파이기 때문입니다. 시파와 벽파는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한 견해 차이, 신서파와 공서파는 천주교인에 대한 처벌에 대한 견해 차이로 갈라섭니다. 이때 중심이 된 당파는 벽파와 공서파는 노론이 중심이고, 시파는 소론이 중심이었으며, 신서파는 딱히 중심 세력이 없습니다만, 소론을 거론하기도 합니다. 다만 신서파의 인물은 남인 계열이 많습니다. --Knight2000 (토론) 2009년 1월 12일 (월) 09:05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