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사드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5년 전 (InternetArchiveBot님) - 주제: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5월)

표제어[편집]

한국어에서 잘 쓰이지 않는 단어를 사용해 기계적인 번역 투가 너무 보입니다. 차라리 "THAAD 미사일"이나 "사드 미사일" 등이 어떻습니까?--Wikitori (토론) 2016년 2월 28일 (일) 23:20 (KST)답변

THAAD 에서 "종말"이란 유도탄의 비행 종말단계를 말하는 것으로써 생소한 사람에게는 다소 어색하게 들릴 수도 있겠지만, 이것은 단어를 직역해서 발생한 번역투가 아니라 이미 그전부터 사용된 군사용어이며, 언론 등에서도 널리 쓰이고 있는(q=%EC%A2%85%EB%A7%90%EB%8B%A8%EA%B3%84&newwindow=1&tbm=nws #) 표현입니다. 또한 THAAD 는 단일 유도탄 종류가 아니라 종말단계의 유도탄을 요격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입니다. 현재 표제어를 유지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2월 29일 (월) 04:55 (KST)답변
말씀하신 것처럼 "종말"이 사전에 없는 의미는 아니지만, 여기서 가리키는 뜻이 아닌 다른 뜻을 먼저 생각하게 됩니다. 언급하신 "언론"의 사례를 보아도 "고고도지역방어시스템"과 같이 사용하지 이렇게 쓰이지는 않습니다. 물론 이 표제어 "종말고고도지역방어" 그대로 쓰이는 것도 있지만, 비율이 떨어지며 위키백과 표제어가 이동된 시점 이후로 작성된 글이기에 이곳을 참고했다고 생각되네요. 어느 안이던지 표제어 변경은 반드시 필요해 보입니다.--Wikitori (토론) 2016년 2월 29일 (월) 20:50 (KST)답변
"종말단계" 라는 말이 이미 사용되는 용어이며(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군사용어사전), 싸드는 "종말단계"의 "고고도지역방어" 로서 이 두 성분 어느 하나라도 빠진다면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를 올바르게 옮기는 말이 아닙니다. 표제어의 통용성이나 가용성에서 검색결과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지만 그것이 절대적인 제1원칙은 될 수 없으며, 거기에만 매달려서 본래적 의미를 훼손한다면 그것이 오히려 독자연구에 해당할 수도 있습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2월 29일 (월) 22:45 (KST)답변
위에서 Wikitori 님이 제안한 '사드 미사일'이 이 문서의 표제어로 좋을 것 같습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16년 3월 6일 (일) 17:54 (KST)답변
표제어 문제에 있어서 사드는 레이저와 비슷한 경우라고 생각합니다. 친근하지 않고 언론에서도 가끔 쓰는 직역 표제어와 뒤에 붙는 '미사일'이라는 단어가 둘 다 적절하지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원어 그대로 'THAAD' 혹은 '사드 (적절한 단어)' 정도를 표제어로 했으면 좋겠습니다. --SeGyun2782 (토론) 2016년 3월 7일 (월) 20:44 (KST)답변
레이저는 1959년에 처음 용어가 만들어져 현재까지 거의 70년을 거치면서 굳어진 표현입니다. 2008년부터 생산이 시작되어 인구에 회자되기 시작한 건 불과 1,2년인 본 경우와는 좀 다르지 않을까요. 본문에서 "THAAD" 또는 "사드" 라는 말을 약자로 사용할 수는 있어도 표제어는 현재를 유지하는 게 좋아 보입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3월 11일 (금) 06:23 (KST)답변
네이버 지식백과에서의 사드 검색 결과, THAAD 검색 결과, 종말고고도지역방어 검색 결과 다른 사전들에서도 대부분 사드나 THAAD를 표제어로 하고 있으며 군사용어사전에서 전구고고도지역방어라 번역하기는 했습니다만 종말고고도지역방어란 표기를 고집하는 것은 현재 위백뿐입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3월 13일 (일) 12:54 (KST)답변
그건 Theater 가 Terminal 로 변경되기 전에 등록된 것이라 그렇겠지요. "전구고고도지역방어"라고 번역되었음은 오히려 명칭 변경 이후 등록되었다면 "종말고고도지역방어"로 사전에 표기되었을 개연성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언제나 표제어 관련 토론에서 검색어 숫자가 다가 아니고, 이런 토론 자체가 열리는 것이 검색어 숫자가 다가 아니기에 열리는 것 아닙니까? 그런 태도 좀 지양해 주십시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3월 13일 (일) 22:04 (KST)답변
근거 없이 자신의 추측만으로 논리를 전개하는 것과 다른 사용자를 무시하는 것은 지양해주시기 바랍니다. 네이버캐스트, 시사상식사전, 한경 경제용어사전 모두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입니다. 두산백과에선 아예 명칭이 변경되었다는 것까지 친절히 알려주고 있네요. 제가 제시해드린 링크를 정말로 확인하셨다면 군사용어사전을 제외하고는 '그건 Theater 가 Terminal 로 변경되기 전에 등록된 것이라 그렇겠지요.'라는 말씀은 하실 수가 없었습니다. 그만큼 님께선 다른 사용자가 제시한 근거는 확인하지 않으십니다. 혹시나 해서 리스도 검색해봤습니다만 THAAD의 결과종말고고도지역방어의 차이가 매우 크게 납니다. 전 그저 현재의 사실을 말씀드렸을 뿐입니다. 님께서는 ‘2008년부터 생산이 시작되어 인구에 회자되기 시작한 건 불과 1,2년인 본 경우와는 좀 다르지 않을까요.’라는 근거로 해당사항은 레이저와 다르다고 말씀하셨는데 그걸 왜 님이 자의로 판단합니까?? 무엇이 됐든 결국 외부의 자료로 확인해야하는 것 아닙니까? 그래서 저는 사드 내지 THAAD라는 표기가 학술계에서도 어느 정도 굳어졌다는 것을 외부 자료로 밝혀드린 겁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3월 14일 (월) 04:58 (KST)답변

"전구고고도지역방어"와 "종말고고도지역방어"를 사용하고 있는 사례는 모두 이 위키백과 문서를 토대로 번역한 것입니다. 이 표제어가 변경된 시점 이후로 해당 표현들이 나타났으며, 이전 표제어였던 "전구고고도지역방어" 역시 특정 사용자가 임의로 옮긴 것으로 공식적인 번역명이 아닌 자의적 해석입니다. 거의 쓰이지 않는 한자어를 갖다 쓰면서까지 단어를 생성할 필요 없습니다. 번역이 아닌, 번역을 위한 문장을 만드는 것이 긍정적이지는 않습니다.--Wikitori (토론) 2016년 3월 17일 (목) 00:16 (KST)답변

추가적으로 "전구고고도지역방어"는 중국어 위키백과 표제어를 그대로 음역해 처리한 것으로 보입니다.--Wikitori (토론) 2016년 3월 17일 (목) 00:18 (KST)답변
"전구고고도지역방어"라는 항목이 실린 군사용어사전은 2012년 5월 10일에 출판되었다고 나오는데요.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3월 17일 (목) 00:50 (KST)답변
저 역시 위키토리님의 이 말씀은... ‘뚜렷한 근거가 제시되지 않는 한’ 하자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사드'란 표기에 영향을 끼칠 정도까지는 아닙니다. 그냥 백:통용 표기, 내지 토론:웜홀 혹은 토론:블랙홀, 아니면 레이저대로 하면 됩니다. 현재 종말고고도지역방어라는 번역이 쓰이는 사례는... 극히 협소하며 사전, 논문, 언론 거의 모두가 '사드'라고 합니다. 그렇담 표제는 사드로 하고 병기 표제를 붙이기보다는 그저 사드는 ‘(단순하게) 종말단계에서 요격하는 거임’이라는 설명을 붙이는 것으로 족합니다. 다른 사전들은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그냥... 이런 토론에 참여하고 볼 때마다 느끼는 것입니다만... 위백에서는 개인적인 연구나 홍보가 금지되어 있습니다. (그것이 경직되어있다는 비판은 가능하겠습니다만) 그냥 외부의 흐름대로 해야 하고 또 그것이 편하다는 것만 항상 인지하고 있다면... 토론 상당수는 줄어들지 않을까 합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3월 19일 (토) 01:36 (KST)답변
"전구고고도지역방어"라는 표제어는 2006년 부터 특정 사용자가 임의로 옮겨 탄생한 것이고, 그 사전이란 것은 그로부터 수년 뒤에 출판되었군요. 이런 저작물과 같은 부분은 위키백과와 포털 네이버에 우선적으로 표기되는 것을 주로 참고해 명칭을 정합니다.--Wikitori (토론) 2016년 3월 19일 (토) 23:38 (KST)답변
그러니까... 그건 위키토리님의 추측이잖아요. '군사용어사전'의 편자에게 그런 것이냐고 물어보았습니까? ... 하지만 그 진실이 무엇이든 사드는 현재 한국어권 내 거의 전분야에 고정된 표기로 자리잡았습니다. 사:Salamander724님께서 다른 근거를 제기하지 못하신다면 표제를 '사드 미사일'이 아니라 '사드'로 변경하고 '종말고고도지역방어'는 넘겨주기도, 병기 처리도 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는 근거로부터 나온 의견이지, 누구를 편들거나 미워하기 때문이 아닙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3월 22일 (화) 02:33 (KST)답변
"추측"이지만, 그 용어는 위키백과 표제어가 변경된 시점에 나타났다고 이미 말씀드렸습니다. 또한 저작물이 위키백과와 포털 사이트 명명을 그대로 따르는 것은 다수의 기사와 저작물 표현을 계속 보다 보면 얼마든지 알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그 표현은 중국어 한자를 직역시킨 번역투 문장으로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표현이 아닙니다. 참고했든 참고하지 않았던 그것을 떠나서 용례와 표기 자체에서 문제가 있는 겁니다.--Wikitori (토론) 2016년 3월 23일 (수) 02:36 (KST)답변
"전구고고도지역방어"라고 특정 사용자가 중국어 위키백과를 번역시켜 표제어를 변경한 이후에 그 군사용어사전이란 도서에 등장했고, 변경 이전에는 이런 내용이 전혀 쓰이지 않았습니다. 그 사전에서 나왔다고 널리 쓰이는 표현이라고 볼 수 없지요. 90년대에 작성한 기사들에는 "전역미사일방위체제"란 표현이 압도적이었습니다.--Wikitori (토론) 2016년 3월 23일 (수) 02:40 (KST)답변
그리고 그 표현은 개칭 전 표기이므로 고려 대상이 아닙니다. salamander724 님이 기재한 문서 내부에서 사용된 개칭 전 이름, 전역고고도지역방어는 비슷한 번역으로 사용되는 용례가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수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문제되는 표현은 이 자의적으로 만들어낸 "종말고고도지역방어"입니다.--Wikitori (토론) 2016년 3월 23일 (수) 02:42 (KST)답변
현재 언론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번역명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입니다.--Wikitori (토론) 2016년 3월 23일 (수) 02:45 (KST)답변
그러니까... '추측'은 가급적 하지 않는 것이 권장됩니다. 이는 토론 상대방을 기분 나쁘게 하거나 혹은 책을 잡힐 발언이십니다. 혹여 관련 규정을 보고 싶으시다면 백:독자 연구 금지백:토론지침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어쨌든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가 상당히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렇다면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or 사드 or THAAD 중에서 택일을 하면 되겠군요. 전 용례가 더 많이 발견되고, 무엇보다 단독 표기가 훨씬 많은 사드를 지지합니다만 (보통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는 단독 표기보다는 사드와 중복해서 표기됩니다) 다른 것이 선발되어도 상관 없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3월 24일 (목) 06:19 (KST)답변
독자연구라니요? 아무 때나 독자 연구라는 표현 하지 않으셨으면 하네요. 그리고 추측이란 것은 그 군사용어 사전의 저자가 위키백과를 참고했다는 것이지, 위키백과 표제어가 변경된 시점 이후에 해당 기계적 번역명이 나타난 것은 사실입니다.--Wikitori (토론) 2016년 3월 26일 (토) 18:44 (KST)답변
백:독자연구#공개 발표된 자료를 근거로 새로운 결론을 이끌어 내는 것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스스로 말씀하셨듯 군사용어사전의 저자가 위백의 내용을 전사했는지 아닌지는 추측의 영역이지 사실의 영역이 아닙니다. 토론을 하실 때는 가급적 '사실'만 말하고 '추측'은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부분은 숙련된 사용자들도 자주 실수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논리 전개는 상대방에게 억지로 받아들여질 요량이 크므로 앞으로 주의해주셨으면 좋겠다는 것이지 다른 뜻은 없습니다. 어쨌든 후보 셋이 도출되었고 그중 하나를 선발하면 되는 것 아니겠습니까?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3월 27일 (일) 16:42 (KST)답변
계속 돌려서 말하시네요. "군사용어사전의 저자가 위백의 내용을 전사"했다는 것이 아니라, "위키백과 표제어가 변경된 시점 이후에 해당 기계적 번역명이 나타난 것"이 사실이란 것입니다. 이 사실은 해당 도서의 표제어 선택 시에 고려했다는 것이 사실이란 정보가 아니라, 언론 기사를 포함해 다른 저작물들에서도 한국어권에서 쓰이지 않는 표현인 '전구고고도지역방어'란 이름을 위키백과 표제어 변경 시점 이후부터야 사용했다는 것이란 것입니다. 이는 충분히 확인됩니다.--Wikitori (토론) 2016년 3월 28일 (월) 05:18 (KST)답변
이런 결과적인 부분을 토대로 단순히 "쓰이는 곳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무리라는 의견을 표한 것입니다. 표제어 이동 사용자가 주장하는 직역 표현과 가깝게 사용되는 언론 기사는 "종말단계고고도지역방어", "최종단계 고고도지역방어"가 있습니다. 각각 2012년, 2007년부터 언론 기사에 등장해 위키백과 표제어 훨씬 이전부터 사용됬던 표현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제어 이동 사용자의 주장대로 "직역에 가깝게 표현"하려 한다면, 실제 사용되는 용례도 존재하는 이 두 표현 중 하나로 택일해서 표제어를 수정해야 한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는 종말단계보다 "최종단계 고고도지역방어"를 지지합니다.--Wikitori (토론) 2016년 3월 28일 (월) 05:25 (KST)답변
제 설명이 어렵습니까... 조금더 차근차근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위키백과 표제어가 변경된 시점 이후에 해당 기계적 번역명이 나타난 것’(이하 A)은 사실입니다. ‘군사용어사전의 저자가 위백의 내용을 전사했다’(이하 B)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 주장입니다. 님께서는 마지막으로 ‘종말고고도지역방어가 자의적인 번역어이므로 쓰일 수 없다’(이하 C)는 주장을 하셨습니다. 즉 님께서는 A라는 사실을 근거로 B라는 주장을 하셨고 B라는 주장을 근거로 또 C라는 주장을 하셨지요. 주장의 근거는 사실로써 대야지, 주장의 근거로 주장을 대셔서는 안됩니다. 또 A와 B 간에는 추측은 가능하더라도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는 없습니다.
님께서는 ‘군사용어사전의 저자가 위백의 내용을 전사’했다는 주장을 안 했다고 주장하시는데... 님께서는 정확히 '"전구고고도지역방어"와 "종말고고도지역방어"를 사용하고 있는 사례는 모두 이 위키백과 문서를 토대로 번역한 것입니다. 이 표제어가 변경된 시점 이후로 해당 표현들이 나타났으며, 이전 표제어였던 "전구고고도지역방어" 역시 특정 사용자가 임의로 옮긴 것으로 공식적인 번역명이 아닌 자의적 해석입니다.' 라고 말씀하셨지요... 그것도 이 페이지에서 말입니다. ...... 물론 베드로도 닭이 울기 전에 세 번 하나님을 부인했듯 코너에 몰릴수록 더 부인하는 것이 사람의 심성이라는 것을 이해합니다. 하지만... 토론은 이기고 지는 것도 아니요, 자존심 대결을 하는 것도 아닙니다. ‘자신의 글이 자신의 근거가 될 수 없다’는 것은 백:원칙이기에 앞서 토론의 기본입니다. 잘못이 드러났다면 앞으로 고치면 될 일입니다.
그리고 한 가지 더 말씀드릴 것이... 님이 '사실'이라 주장하시는 것도 사실은 '사실'이 아닙니다. 종말고고도지역방어란 표제가 위백에 등장한 것이 2015년 3월 25일입니다. 하지만 그 이전에도 쓰인 사례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전구 고고도 지역방어"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이것이 위백에 등장한 것이 2006년 9월 3일입니다. 하지만 그 이전에도 다른 서적에서 쓰였던 사례를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님께서는... 처음부터 사실 확인도 꼼꼼히 하지 않으셨던 겁니다. 또 외부에서 그러한 용어를 사용했던 분들은 위백을 토대로 번역한 것일까요, 그 이전의 외부 자료를 토대로 번역한 것일까요, 아니면 직관으로 번역한 것일까요.... 저는...... 그 인과관계까지 알 수 있는 백:확인 가능한 자료는 없습니다. 전... 그저 위백의 토론이 누구를 편들어주거나 감정싸움을 하는 것이 아니라 좀더 근거 중심의 토론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3월 29일 (화) 06:59 (KST)답변
표현의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Terminal"의 번역 때문인데, 사전을 찾아 보시면 알겠지만 굳이 잘 쓰지도 않는 "종말"이라는 단어를 고집할 필요 없습니다. "최종 단계"라고 해도 의미 얼마든지 통하고 같습니다. 아마 "단계"란 뜻의 단어가 없다고 이의 제기하는 분이 있지 않을까 하는데, Terminal 의 의미 자체는 종점이란 것이기 때문에 그 한 단어 자체를 "최종 단계"라고 번역하면 됩니다. --Wikitori (토론) 2016년 3월 28일 (월) 05:31 (KST)답변
표제란 틀리지 않다면 친숙한 것으로 선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 사례는 언론...도 중요하지만 전문가들의 사용례 역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HAAD나 사드는 언론에서의 사용례는 물론이거니와 전문가에서의 사용례도 다른 표제에 비해 압도적이라는 것을 이전에 밝혔습니다. (전문가는 아니지만) 타 위키인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디시위키 모두 표제가 THAAD이고 이에 관련한 분쟁은 없습니다. 위백만 유독 다른 표제를 선택할 이유는 없지 않겠습니까? 표제는 THAAD나 사드라 하고 설명에 ‘최종단계 혹은 종말단계에서’라는 것을 붙이면 될 것 같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3월 29일 (화) 06:59 (KST)답변
정보 브리태니커에서는 "사드(THAAD)" 라는 표제어로 등재되어 있고 풀네임은 "종말단계 고고도 미사일방어"라고 했습니다. 더불어 Terminal Phase 는 위에서 제시된 군사사전들과 마찬가지로 "종말단계"라고 했습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3월 29일 (화) 10:50 (KST)답변
"종말" 이라는 용어가 본문에서 명확히 밝혀진다면 약자(THAAD, 또는 사드)로의 표제어 변경에 동의합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3월 29일 (화) 10:52 (KST)답변
의견 요청 틀이 떨어지기는 했습니다만 약간만 기다려보고 표제는 THAAD로 변경하고, 사드는 THAAD로 다이렉트연결하고 사드 (동음이의) 문서를 생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4월 2일 (토) 09:16 (KST)답변

레이더 탐지 범위에 대한 부분은 기존 내용을 수정하지 마시고 차라리 논란 부분을 만들어서 작성해 주세요. 미국이 북한이 아닌 다른 국가를 대상으로 한 것인 투로 작성하셔서 그렇습니다. 근거도 꼭 같이 작성해 주시고요. Metalogician (토론) 2018년 3월 29일 (목) 10:54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7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THAAD에서 6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7월 18일 (수) 08:24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5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THAAD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9년 5월 23일 (목) 07:14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