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론:집단지도자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댓글: WaffenSS님 (17년 전)
 이 문서는 다음 위키프로젝트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1933년 이전 SS제대 구성은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SS집단(SS-Gruppen): 사단급
  • SS여단(SS-Brigaden): 여단급
  • SS연대(SS-Standarten): 연대급

1933년 이후는 아래와 같이 개편되었습니다.

  • SS상급국경수비단(SS-Oberabschnitts): 사단급
  • SS국경수비여단(SS-Abschnitte): 여단급
  • SS연대(SS-Standarten): 연대급

당시 SS연대 병력이 실제 연대급에 준하는 2,000명 전후 수준이었는지 불명입니다(300~500명 정도로 대대 수준에 지나지 않았다고 하는 자료 존재). 마찬가지로 SS여단이나 SS집단 역시 실제 병력이 여단이나 사단급에 준할 정도로 충분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원문인 영어 위키백과 SS중장 항목에서처럼 널리 알려진 규모로 표기했음을 밝혀둡니다. 덧붙여, 1934년에 편성된 SS전투부대 예하 SS연대들은 충분한 인원을 확보해 2,000명 전후의 병력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장갑냐옹이 2006년 11월 6일 (월) 03:28 (KST)답변

국경수비대는 본래 경찰 소속인데, 지금 시기를 알수 없지만, 히믈러가 SS로 편입시켰습니다. 국가 조직을 당 조직의 하부로 편입시킨 사례인데, 그 조직 아닌가요? 무장친위대와는 별개의 조직입니다. --WaffenSS 2006년 11월 6일 (월) 03:32 (KST)답변

무장친위대 창설 이전과 이후의 차이

  • SS-Abschnitt I

SS-Oberführer Josef Dietrich (11 July 1930 - 31 Oct 1930)

  • SS-Abschnitt III

SS-Oberführer Kurt Daluege (1 Mar 1931 - 7 Aug 1932)

  • SS-Abschnitt VIII

SS-Oberführer Ernst Kaltenbrunner (15 June 1935 - 12 Mar 1938)

출처: Axishistory.com

요제프 디트리히가 SS준장 시절에 SS 제 1 국경수비 여단장을 지낸 걸 보면 파울 하우서 등 육군 장교들이 대거 유입되기 이전인 1934년 전까지 SS국경수비여단은 단순히 경찰과 SS가 뒤섞인 잡탕조직이 아니라 기본 제대로서 SS의 근간이 된 조직이 확실합니다. 그 유명한 쿠르트 달뤼게 역시 SS준장으로 SS 제 3 국경수비 여단장을 지냈으니 더더욱 확실하겠죠. 마지막으로 인간 망종으로 유명한 에른스트 칼텐브루너가 1935년에 국경수비여단장을 한 걸 보면 1934년이나 1935년 이후에 무장친위대와 일반친위대 소속 SS경찰부대가 찢어진 걸로 보입니다. 문제는 SS여단이 SS국경수비여단으로 개편되었다는 이야기인데, 아무래도 이 개편에서 내용에 혼란이 온 듯 합니다. SS여단이 SS국경수비여단이 되었다는 건지 아니면 SS여단 중 일부가 국경수비연대가 되었다는 건지 불분명하죠. 문맥으로 보면 SS여단이 SS국경수비여단이 되었다고라고 밖에 볼 수 없지만 말입니다. 그럼, 아래 문장을 봐주십시오.

11.7.30: Dietrich appointed as SS-Oberführer, and commander of SS-Gruppe 'Süd'.

출처: http://www.geocities.com/wolfram55/index.html

"1930년 7월 11일, 디트리히는 SS준장에 임명되어 "남부" SS집단 사령관이 되었다"입니다.

  • SS-Oberabschnitt Süd

SS-Oberführer Josef "Sepp" Dietrich (31 Oct 1930 - 1 Oct 1932)

출처: Axishistory.com

1930년 10월 31일, "남부" SS상급국경수비단 사령관 요제프 디트리히 SS준장입니다. 아무래도 후자가 맞겠죠. 여기서 흥미로운 건 SS-Gruppe 'Süd' = SS-Oberabschnitt Süd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SS-Brigaden = SS-Abschnitte도 성립해야 합니다. 무장친위대 설립 이후 Brigaden은 무장친위대 여단이고, 그 이전 일반친위대 소속 정치 깡패 조직과 경찰 부대만 존재하고 있었을 때 Brigaden은 Abschnitte와 동일한 용어로 일반친위대 여단을 뜻한다고 봐야겠죠. 무장친위대 창설을 기점으로 조직의 성격이 달라져서 분리, 독립, 확장 순서로 조직이 분화되었다고 보면 간단하겠죠. 장갑냐옹이 2006년 11월 6일 (월) 04:17 (KST)답변

장황하게 늘어놓았는데, 몇 줄로 요약하면 SS소장 항목처럼 됩니다. SS-Brigaden의 성격 변화에 관한 글이라도 한 편 써봐야겠습니다.장갑냐옹이 2006년 11월 6일 (월) 04:29 (KST)답변

또 골치아픈 주제가 생겼군요. 허허 -_- --WaffenSS 2006년 11월 6일 (월) 13:41 (KST)답변

무장친위대 창설 이전 일반친위대 소속 SS여단 목록[편집]

  • SS-Brigade Bayern
  • SS-Brigade Mittelsteiermark
  • SS-Brigade Obersteiermark
  • SS-Brigade West
  • SS-Brigade 2
  • SS-Brigade 6
  • SS-Brigade 73
  • SS-Brigade 74
  • SS-Brigade 173

출처: http://www.feldgrau.com/brigaden.html

참고삼아 올렸습니다. 이 SS여단들이 전부 SS국경수비여단이 되었겠죠. 무장친위대 여단은 이미 아실테니 따로 올리지 않겠습니다.장갑냐옹이 2006년 11월 6일 (월) 04:37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