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론:착한아이 콤플렉스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9년 전 (Exj님) - 주제: 심리학적 정의

심리학적 정의[편집]

‘착한아이 콤플렉스’라는 말을 누가 먼저 사용하기 시작했는지, 심리학계에서 일반적으로 쓰는 말인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Puzzlet Chung (토론) 2013년 3월 16일 (토) 17:07 (KST)답변

@PuzzletChung: 출처가 없는 내용을 문서에 다룰 순 없겠지만 이 문서가 만들어지기 이전부터 어느정도 사용되었다는 걸 여기에 적어야겠네요. 이 문서가 만들어진 2011년 이전을 검색으로 살펴보자면
  • 1998년 미국의 심리학자 윌리엄 페즐러의 착한 여자 신드롬(GOOD GIRL SYNDROM)의 번역본 착한여자 컴플렉스 ISBN 9788970122212
  • 2005년 독일 상담가의 착한아이 콤플렉스 ISBN 9788991075184
  • 2007년 부터 한국의 여러 심리학회 활동을 하고 교수를 지낸 권수영에 의해서 직접 사용되었고
  • 2007년 부터 여러 리포트에도 등장해왔고
  • 2009년 착한 딸 컴플렉스 ISBN 9788989456148
  • 2009년 내 인생을 힘들게 하는 좋은 사람 콤플렉스 ISBN 9788960601109
  • 이외에도 인터넷의 기사로도 간헐적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더불어 일본 와세다대학교 심리학 명예교수 가토다이조에 의해 '착한아이'라는 표현을 써 해당 내용을 담은
    2003년 착한 아이의 비극 ISBN 9788985777964 이 번역되었습니다.
    물론 이 문서가 만들어지고 포털에 노출되어 해당 명칭이 더 널리 사용되는데 일조하였지만, 이후에도 여러 심리학 저자들에 의해 사용되고있는 표현이기에 지금에 와서는 일반적으로 쓰는 표현이라 봐도 될 것 같네요.--Exj (토론) 2015년 5월 11일 (월) 05:00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