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론:청해진해운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년 전 (InternetArchiveBot님) - 주제: 외부 링크 수정됨 (2022년 11월)
 이 문서는 다음 위키프로젝트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병합 제안[편집]

세월호 침몰 사고로 병합했으면 합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4월 17일 (목) 16:58 (KST)답변

찬성 넘겨주기 --18호 (토론) 2014년 4월 17일 (목) 17:09 (KST)답변
예완료 최초 기여자인 18호님께서 찬성하여, 넘겨줍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4월 17일 (목) 17:10 (KST)답변

문서 재생성[편집]

생성될 문서 내용을 볼 때 단일 기업 문서로 생성할 충분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며, 사건 전후로 저명성도 상당 부분 있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또한 타 기업간의 연관성도 존재하여 기존 토막글 수준의 문서를 갱신하여 재생성하였음을 알립니다. --KAWAI (토론) 2014년 4월 20일 (일) 00:38 (KST)답변

㈜ 표기의 사용[편집]

KAWAI 사용자께서는 '㈜'라는 약호 표기가 이 기업의 공식 상호명이라고 하셨는데, 엄밀히 말해 '㈜'는 '주식회사'의 약칭이자 통용 표기로서 대한민국의 법정 문서인 법인 등기부 등본 등에는 '㈜' 약호가 사용되지 않고 모두 '주식회사'로 표기됩니다. 그리고 위키백과에서 주식회사의 약칭인 '㈜'기호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주식회사'라고 풀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부득이하게 쓸 경우 특수기호 '㈜' 대신 일반 문자인 '(주)'로 표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일단 해당 부분은 수정합니다. --182.231.78.164 (토론) 2014년 4월 20일 (일) 01:08 (KST)답변

관련 토론, 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4년 제19주#위키백과의 기업 문서에서 법인 형태 및 법률상 본사/사업자등록지 표기 질문 참고 바람 --아드리앵 (토·기) 2014년 5월 8일 (목) 18:03 (KST)답변

내용 수정 알림[편집]

백:일반에 질의를 통해 타 사용자들의 총의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에 따라 내용을 수정·보완하였음을 알립니다. --월/남/스/키/부/대 (이야기·발자취·편지) 2014년 5월 8일 (목) 20:33 (KST)답변

운항보고 계통도 상에서의 "제주본사", "인천지점" 표기 관련[편집]

선박의 운항 보고 계통도는 선박회사가 임의로 작성하는 것이 아닌 대한민국 해양수산부대한민국 해양경찰청에서 관장하는 법정 문서로서, 이 문서에서 선박회사의 본사/지점 표기는 실제 주사무소와 지점 운영 여부 또는 해당 선박회사의 대외적 홍보 내용에 따르지 않고 법인등기 또는 사업자 등록상의 본사와 지점에 따라 표기합니다. 앞서도 서술하였듯이 청해진해운의 경우 사업자 등록 및 법인등기 상의 본사를 제주에 두고 있기는 하나 말 그대로 등기상의 본사일 뿐, 실제 제주항 사무소는 경영진 등 핵심 인물이 상주하지 않고 인천-제주 선박의 입/출항 및 탑승객 관리 업무 기능을 수행하는 지역본부로 운영되고 있으며 청해진해운의 경영에 관계하는 핵심 인물들은 모두 인천 주사무소에 상주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운항이 중지된 오하마나호 역시 제주항이 아닌 인천항에 정박되어 있으며[1] 세월호 역시 운항하지 않는 주말에는 제주항이 아닌 인천항에 정박하여 왔다는 점도[2] 이를 뒷받침합니다. 등기상 본사는 제주시인 것은 맞으므로 기업정보 틀의 본사 란에 제주도 사무소의 주소를 표기하되, 위의 사항들을 고려하여 실제 제주지역본부로 운영되고 있음을 명기하고 인천 주사무소 주소를 함께 표기하는 것이 정확한 편집이라고 판단됩니다. 위키백과는 법정 또는 등록상 사항보다 실제 사항을 우선시 하니까요. --월/남/스/키/부/대 (이야기·발자취·편지) 2014년 5월 17일 (토) 10:01 (KST)답변

여기에 오하마나호와 세월호가 인천 선적임을 확인할 수 있는, 즉 청해진해운의 실제 본사 역할이 인천 주사무소에 부여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문화방송의 보도 내용[3]뉴시스 기사 내용[4]을 첨부합니다. --월/남/스/키/부/대 (이야기·발자취·편지) 2014년 5월 17일 (토) 10:18 (KST)답변

그래서, 제주본사와 주사무소라는 명칭을 병기하였습니다. 최근 언론보도에서, 제주본사라는 표기가 빈번하게 표기되어 있습니다. 혹시나해서, 주사무소 옆에 사실상 본사로 운영되고 있다라고 주석을 달았습니다. 혹시나 해서, 아예 사실상 본사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정도면 충분하시죠? --아드리앵 (토·기) 2014년 5월 17일 (토) 14:51 (KST)답변
본문에 제가 인천 주사무소 뒤에 붙인 출처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해당 기사와 마찬가지로 인천 주사무소를 본사로, 등기상 본사인 제주사무소를 제주지역본부로 소개하는 언론 보도도 상당수 존재합니다.[5][6][7] 님의 의견이 틀렸다는 말이 아니라, 주사무소라는 말 자체가 실질적 본사임을 의미하는 말이니 사실상 본사라는 말을 굳이 덧붙일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이미 본문에 등기상 본사인 제주항 사무소가 제주지역본부로 운영되고 주사무소가 인천에 설치되어 있음을 언급하였으니, 굳이 중복 서술할 필요 없이 기존대로 등기상 본사인 제주지역본부 주소를 상단에 표기하고 꼬리말에 제주지역본부 표기를 첨부하며, 하단에 인천 주사무소 주소와 '주사무소' 꼬리말을 첨부하는 것만으로도 등기상 본사와 사실상 본사를 구별하고 등기상의 본사가 실제로는 제주지역본부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리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판단되네요. --월/남/스/키/부/대 (이야기·발자취·편지) 2014년 5월 17일 (토) 16:04 (KST)답변
참고로 님이 출처로 제시하신 MBN 기사를 읽어보니 기자 관점에서 서술한 내용이 아니라 검찰 관계자의 말을 직접 인용한 부분이군요. 법무부 관계자라면 실제 기업의 운영체계와 관계없이 등기상 본사를 본사로 언급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봅니다. --월/남/스/키/부/대 (이야기·발자취·편지) 2014년 5월 17일 (토) 16:12 (KST)답변
덧붙이자면, 법무부의 언급 이후 제주본사라고 표기하는 기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무시하기는 어렵지 않을까요? --아드리앵 (토·기) 2014년 5월 17일 (토) 16:44 (KST)답변

여러 자료를 확인하다 보니 답변이 늦어졌네요. 비슷한 사례의 타 기업 문서들을 꼼꼼히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어 대안을 제시합니다.

  • "제주본사" 표기는 유지하되 기존에 인천 사무소에 대해 "주사무소"로 표기하였던 부분은 "영업본부"로 수정합니다. 아무튼 해당 기업의 대외자료나 실제로도 지점으로 운영되지는 않으므로 "인천지점"이라는 표기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 {{회사 정보}} 틀에는 "제주본사", "영업본부" 표기만 부착하고 기타 내용은 생략합니다.
  • 문서의 본문에 등기상(등록상) 본사가 제주임을 명시하되, 실제로는 제주지역본부로 운영되고 있음을 언급하고 실제 본사의 기능을 수행하는 영업본부는 인천에 있다고 밝힙니다.

이렇게 하는 것이 가장 간결하고 합리롭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월/남/스/키/부/대 (이야기·발자취·편지) 2014년 5월 18일 (일) 23:11 (KST)답변

동의합니다. --아드리앵 (토·기) 2014년 5월 18일 (일) 23:14 (KST)답변
대안을 제시한 대로 내용을 수정 반영하였습니다. 친절하게 토론에 임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 --월/남/스/키/부/대 (이야기·발자취·편지) 2014년 5월 18일 (일) 23:29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11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청해진해운에서 4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11월 10일 (토) 16:39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4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청해진해운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9년 4월 17일 (수) 07:52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2년 3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청해진해운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2년 3월 23일 (수) 13:55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2년 11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청해진해운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2년 11월 7일 (월) 14:24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