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특잇값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3년 전 (ChongDae님) - 주제: 사이시옷에 대하여

사이시옷에 대하여[편집]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한글 맞춤법 §30.2(1)에 따르면, 한자어("특이" 特異) + 순우리말("값") 꼴의 합성어에서 후자의 자음이 된소리화될 경우 ("특이깝") 사이시옷을 표기하게 되어 있습니다. (반면, 한자어 + 한자어 꼴의 합성어의 경우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는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습니다.)

비슷한 경우로, 토론:고윳값이나 토론:절댓값을 참고하세요. 마찬가지로, 국립국어원 출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은 형태들이 수록돼 있습니다.

경곗값, 고윳값, 근삿값, 극댓값, 극솟값, 기댓값, 대푯값, 도맷값, 유짓값, 세뱃값, 소맷값, 수산깃값, 숫값(數-), 시셋값, 요솟값(要素-), 유횻값, 원잣값, 전셋값, 절댓값, …

(아예 대신 한자어로 "특이치"로 표기하면 이 문제를 피할 수 있지만, "고윳값"과의 일관성 때문에 이 형태를 사용하였습니다.) Osteologia (토론) 2017년 1월 19일 (목) 08:13 (KST)답변

@Osteologia: 전문용어의 경우, 사이시옷을 문법 규정대로 넣지는 않습니다. 대표적으로 생물 분류에서도 개과, 고양이과갯과, 고양잇과라고 부르는 경우가 없습니다. "특잇값"도 쓰이지 않는 표현 아닌가요? -- ChongDae (토론) 2020년 12월 22일 (화) 17:24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9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특잇값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9년 9월 11일 (수) 20:37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