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풀어쓰기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5년 전 (InternetArchiveBot님) - 주제: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11월)

POV 문제[편집]

풀어쓰기의 단점에 대한 말은 왜 없나요..? --Kjoonlee 2007년 7월 20일 (금) 13:57 (KST)답변

있어야 하는데 없다고 생각하신다면 직접 찾아서 추가하시면 되지 않을까요? --한동성 2007년 7월 21일 (토) 16:09 (KST)답변
찾아봤는데 못 찾겠어요.. 이 글 출처는 대충 짐작이 갑니다. --Kjoonlee 2007년 7월 21일 (토) 23:27 (KST)답변
"이 글 출처는 대충 짐작이 갑니다."라는 것이 무슨 말씀이신지 모르겠네요……. 글 대부분은 아래 나와 있는 문헌을 참고해서 제가 직접 작성한 것입니다. 보충 설명을 하자면, 풀어쓰기는 개화기를 전후해서는 많이 주목받았지만 1950년대부터는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지 못했습니다. 분단 상황이라는 특수한 조건 때문에 한국이나 조선이나 섣불리 철자법 체계를 바꿀 수 없다는 컨센서스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한국에서는 풀어쓰기 지지자인 최현배가 문교부에 몸담고 있었고 조선에서는 풀어쓰기 지지자인 김두봉이 조선어문연구회에서 일하고 있었으나 풀어쓰기가 받아들여지지 못했고, 그 이후로는 쟁점화('반대 의견'이 의미있을 정도로)되지 못했기 때문에 풀어쓰기는 학문적인 관심 이상의 찬반을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글을 연구하는 이들은 대체로 주시경이나 최현배가 제출했던 의견에 동의하기 때문에 반대 관점으로 연구된 바가 거의 없고, 가끔 국한문 혼용론자들이 한국의 언어 생활에는 한자를 섞어 써야 한다는 이유로(모아쓰기가 풀어쓰기보다는 한자와 혼용하기에 좋으므로) 반대 의견을 드러낸 예가 있을 뿐입니다. 반대 의견을 찾아보아도 못 찾으셨다는 것은 반대 의견이 그만큼 의미있는 수준으로 발의되고 있지 않다는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풀어쓰기는 반대 의견이 제출될 만큼 주목받고 있는 사안이라기보다는 역사적으로 한때 주목받았고 지지자들이 꽤 있었던 정도로 취급되기 때문에, 굳이 찬반 양쪽의 의견을 비슷한 비중으로 적어야만 NPOV가 되는 것은 아닐 것으로 생각합니다. --한동성 2007년 7월 22일 (일) 03:20 (KST)답변
참고 문헌의 출처가 대충 짐작이 간다는 뜻이였습니다. 그렇다면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지 못한 내용에 대해 꼭 위키백과에서 다룰 필요가 있을까요? --Kjoonlee 2007년 7월 27일 (금) 04:53 (KST)답변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었느냐 아니냐가 기준이 되면 안 되죠. 백과사전에 실릴 만큼 '중요하냐 아니냐'가 기준이 되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쟁점화 여부'와 '중요성'이 같은 것은 아닙니다. 학술적으로는 의미있더라도 사회적으로는 주목받지 않는 정보는 얼마든지 있을 수 있죠. --한동성 2007년 9월 28일 (금) 00:48 (KST)답변

풀어쓰기와 발음?[편집]

'죽고'와 '백골'이 'ㅈㅜㄱㄱㅗ'와 'ㅂㅐㄱㄱㅗㄹ'로 되었을 때 어떤 발음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IPA로 옮겨 적어 봐도 차이가 있을 것 같지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첫밗 님이 적어두신 출처로 가보니 누군가 조인스닷컴의 자유게시판에 올린 글이고, 본인을 '한글 연구회 최성철'로 소개하고 있지만 한글 연구회로 검색해 보니 본인의 블로그가 나오는 것이 전부군요. 위키백과:독자연구 금지의 독자연구에 해당하는 사례 아닌가 싶습니다. --한동성 (토론) 2008년 11월 5일 (수) 13:59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11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풀어쓰기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11월 11일 (일) 13:15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