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한상진 (사회학자)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4년 전 (InternetArchiveBot님) - 주제: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9월)

2016년 11월 24일의 삭제 신청 이의[편집]

(문서가 삭제되면 안 되는 이유를 적어 주세요) --110.35.134.20 (토론) 2016년 11월 24일 (목) 16:23 (KST)답변

한상진교수의 업적을 알리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016년 11월 24일의 삭제 신청 이의[편집]

(문서가 삭제되면 안 되는 이유를 적어 주세요) --중민재단 (토론) 2016년 11월 24일 (목) 17:01 (KST)답변

한상진 서울대 명예 교수님은 널리 알려진 한국의 사회학자로서, 세계석학인 하버마스와 울리히 벡과는 여러번 만나 학문적 논의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특히 울리히 벡과는 개인적으로도 두터운 친분으로 많은 교류를 가졌습니다. 실제로 벡 교수님과 한상진 교수님의 대담이 신문지상에 실린 적도 많았고 2014년에는 한상진 교수님께서 주최하신 국내의 국제 학술대회에 벡 교수님이 강연자로 초청되어 강연하시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벡 교수님께서 갑작스럽게 돌아가신 뒤에는 한상진 교수님께서 크게 추도식을 개최하였고 박원순 시장님 외에 여러 인사들이 참석하여 행사가 진행된 바 있습니다.


참고용 (주요 신문기사)[편집]
  • 2015: 한국서 ‘위험사회’ 울리히 벡 추도식ㆍ학술대회

http://www.hankookilbo.com/v/c971badf16dc45d69fccca2828f9697a

  • 2015: ‘한국인 절규 안에 미래 에너지 있다’던 그 애정 영원하길

http://www.hani.co.kr/arti/society/obituary/672024.html#csidx5d9aac04a415305989a9cd93f293b31

  • 2014: ‘위험사회’ 저자 울리히 벡 교수 “세월호 참사 후 시간 지나도 정치인 관행 답습, 위험 키워”

http://m.khan.co.kr/view.html?artid=201407082201175&code=960201#csidx76575de18505193af4dbf9ba48a5ec6

  • 2014: “약자들에게 집중된 위험…시민이 개입해 변화시켜야”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37241.html#csidx7be07d27c3473959414796c127abd2e

  • 2013: ‘천하공생’의 세계관으로 지구적 위험 대처

http://www.hani.co.kr/arti/culture/religion/613482.html#csidx13de31c94f4a44386a5367a29e96f7e

  • 2008: `위험사회' 저자 울리히 벡 부부 방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2016683

  • 2006: ‘지식사회가 가야 할 길’ 세계 석학 울리히 벡에게 듣는다

http://news.donga.com/3/all/20060503/8302696/1


한상진 교수의 주요 출간도서[편집]

  • 2015 『중민 이론과 한국사회[e-book]』, 중민출판사. /ISBN 9791195588800
  • 2015 『정치는 감동이다』, 최종숙과 공저, 메디치미디어. /ISBN 9791157060238
  • 2012 Divided Nations and Transitional Justice: What Germany, Japan and South Korea can Teach the World. Former President of South Korea Kim Dae Jung and former President of Germany Richard von Weizsäcker, edited by Han Sang-Jin, Boulder: Paradigm Publisher. /ISBN 9781594519017
  • 2010 『위험에 처한 세계와 가족의 미래』, 심영희와 공편, 새물결. /ISBN 9788955592832
  • 2007 The Global Forum on Civilization and Peace (Co-edited with Duck-Hong Yun), Academy of Korean Studies. /ISBN 9788971056134
  • 2007 Human Rights in North Korea (Co-edited with Kie-Duck Park), Seoul: Sejong Institute. /ISBN 9788974295103
  • 2006 『역동적 균형과 한국의 미래1: 민주정치와 균형외교』, 임동원 등과 공편, 서울: 나남. /ISBN 9788930081627
  • 2006 『역동적 균형과 한국의 미래3: 사회통합과 균형성장』, 송기도 등과 공편, 서울: 나남. /ISBN 9788930081641
  • 2003 『386세대, 그 빛과 그늘』, 문학사상사. /ISBN 8970124950
  • 2003 『노사신뢰의 열쇠』, 원창희 등과 공편, 서울: 나남. /ISBN 9788930039666
  • 2000 『사실성과 타당성 (Jürgen Habermas, Faktizität und Geltung)』, 박영도와 공역, 서울: 나남. /ISBN 9788930082266
  • 1998 『현대사회와 인권』, 서울: 나남. /ISBN 9788930036467
  • 1998 『동양의 눈으로 세계를 향하여』, 서울: 나남. /ISBN 9788930036535
  • 1998 『제3의 길 (Anthony Giddens, The Third Way)』, 박찬욱과 공역, 서울: 생각의 나무. /ISBN 9788988045336
  • 1998 Habermas and the Korean Debat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ISBN 9788970963235
  • 1997 『하버마스: 이성적 사회의 기획, 그 논리와 윤리』, 서울: 나남. /ISBN 9788930035613
  • 1996 『현대성의 새로운 지평: 하버마스 한국 방문 7강의』, 서울: 나남. /ISBN 9788930035019
  • 1995 『눈카마스, 이제는 그만』, 서울: 책세상. /ISBN 9788970130590
  • 1992 『한국, 제3의 길을 찾아서』, 서울: 책세상. /ISBN 9788970130019
  • 1992 『사회운동과 사회개혁』, 양종회와 공편, 서울: 전예원. /ISBN 2005737000970
  • 1991 『중민 이론의 탐색』, 서울: 문학과 지성사. /ISBN 2002194006217
  • 1991 『마르크스주의와 민주주의』, 서울: 사회문화연구소. /ISBN 2002904000030
  • 1990 『국가이론과 위기분석』, 서울: 전예원. /ISBN 2005737000215
  • 1990 『미셸 푸꼬론』, 서울: 한울사. /ISBN 2008039001614
  • 1990 『체제비교의 사회학 (H. Davis & R. Scase, "Western Capitalism and State Socialism," Oxford: Basil Blackwell, 1985) 』, 서울: 느티나무사. /ISBN 2001158000254
  • 1990 『유럽의 교훈과 제3세계 (Dieter Senghaas, "von Europa Lernen," Suhrkamp, 1982)』, 유팔무 교수와 공역, 서울: 나남사. /ISBN 2000989005438
  • 1988 『한국사회와 관료적 권위주의』, 서울: 문학과 지성사. /ISBN 2002194007375
  • 1988 『변혁의 주체는 누구인가』, 서울: 동아일보사.
  • 1987 『민중의 사회과학적 인식』, 문학과 지성사. /ISBN 2002194002707
  • 1984 『제3세계 정치체제와 관료적 권위주의』, 서울: 한울사. /ISBN 2008039004073
  • 1984 『계급이론과 계층이론』, 서울: 문학과 지성사. /ISBN 2002194000239
  • 1984 『현대사회이론과 이데올로기 (J. Larrain, "The Concept of Ideology," London: Hutchinson, 1979)』, 심영희와 공역, 서울: 한울사. /ISBN 2008039005773
  • 1984 『관료적 권위주의와 조합체제 (Gillermo O’Donnell, Bureaucratic Authoritarianism and corporation)』, 서울: 한울사. /ISBN 2008039000501
  • 1983 『한국사회 어디로 가고 있나』, 현대사회연구소.
  • 1983 『비판사회학 (A. Giddens, "Sociology: A Brief but Critical Introduction," London: Macmillan, 1982)』, 서울: 현상과 인식사.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9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한상진 (사회학자)에서 2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9년 9월 12일 (목) 07:12 (KST)답변